생물산업의 기술혁신 패턴: 생명공학 유전공학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생물산업의 변화 동향

3. 분석 방법

4. 생물산업 기술혁신의 일반 현황

5. 유전체연구의 기술혁신 동향

6. 분석결과의 시사점

7. 결 론

본문내용

의 승인연도와 1년∼4년 정도의 앞 뒤 간격을 가지고 이루어졌다. 이러한 사실은 내국인들의 연구개발이 신물질의 개발보다는 외국에서 그 효과가 이미 입증되거나 그럴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진 물질의 모방 또는 개량 연구에 많은 비중을 두어왔음을 간접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셋째, 외국인이 해당 신물질에 대하여 특허를 출원하였고 그 효과가 이미 입증된 기술 아이템들에 대해 모방 또는 개량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국내의 대표적 생명공학기업들이 경쟁적으로 동일 기술 아이템에 대하여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이 신물질에 대한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내국인이 후속적인 모방이나 개량연구를 통해 신기술의 개발에 성공하여 특허를 출원한다 하더라도 물질특허의 특성상 목표로 하는 시장의 규모와 수익성은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미 외국인이 특허를 출원한 신물질들에서 국내의 대표적인 기업들이 동일 아이템들에서 경쟁적으로 기술개발에 참여하여 특허를 출원하고 있다는 사실은 국내 기업들이 매우 소모적인 경쟁에 매달려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국가 전체적인 자원배분 측면에서도 매우 비효율적인 것이다.
7. 결론
이 연구에서는 미국에 등록된 특허 자료를 활용하여 생물산업의 기술혁신 패턴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허분석 결과, 생물산업의 국가간 경쟁력 변화 동향, 세부 응용산업별 기술혁신 동향, 기술혁신 주체들간의 역할 정도, 한국의 위상 등을 어느 정도 가늠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들은 생물산업 관련 특허정보에 대한 거시적 분석만을 수행한 결과일 뿐이다. 수집된 특허자료를 기초로 <그림 3>에서와 같이 개별 기술 분야 또는 기술아이템별로 기술혁신 흐름, 기술수준, 출원인 관계 등을 추가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추가적인 분석은 정부 또는 기업에서 구체적인 기술혁신전략을 수립할 때 보다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분석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특허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허지도 (patent map) 방법이라 한다. 특허지도 방법은 특허정보를 도식화하는 분석작업으로, 특허정보를 수집, 정리, 분석한 다음, 분석결과를 시각화하는 분석기법이다. 특허지도 방법은 기술개발 동향, 기술수준, 기술예측, 기술가치분석, 권리관계분석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정부 기술기획과 기술평가는 전문가평가 (peer review)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전문가평가는 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많이 활용되고 있는 기술기획 및 평가 방법이다. 그러나 활용할 수 있는 전문가 풀이 제한적인 경우 전문가평가는 평가의 주관성, 정치적 이해관계 반영 가능성 등에 있어 결정적인 약점을 가질 수 있다. 국내에서 활용되고 있는 전문가평가 또한 이러한 약점에 노출되어 있을 가능성이 충분하다. 전문가평가가 갖는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은 가능한 한 객관적인 자료를 토대로 기술기획과 기술평가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정보로서 특허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것은 기술기획과 기술평가에 있어 거시적인 동향 (mega trends)을 파악하는 것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기술전략을 수립함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참 고 문 헌>
안두현·정교민 (2000a), 「생명공학산업의 기술혁신패턴 및 전개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안두현·정교민 (2000b), 「유전체연구의 전략적 대응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교민, 「생명공학과 특허」, 한울, 1993.
Archibugi, D. (1992), "Patenting as an Indicator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 Review", Science and Public Policy, Vol. 19, No. 16.
Archibugi, D. and Pianta, M. (1996), "Measuring Technological Change through Patents and Innovation Surveys", Technovation, 16(9).
Brockhoff, K. (1992) "Instruments for Patent Data Analyses in Business Firms", Technovation, Vol. 12, No. 1.
Jacobsson, S. and Philipson J. (1996), "Sweden's Technological Profile: What can R&D and Patents Tell and What do They Fail to Tell Us?", Technovation, 26(5).
Mogee, M. E. (1991), "Using Patent Data for Technology Analysis and Planning", Research·Technology Management, 34(4).
Office of Technology Policy (1998), The New Innovators: Global Patenting Trends in Five Sectors, US Department of Commerce.
Paci, R., Sassu, A. and Usai, S. (1997), "International Patenting and National Technological Specialization", Technovation, 17(1).
Poter, M. E. etc. (1999), The Challenge to America's Prosperity: Findings from the Innovation Index.
Rifkin, J. (1998), The Biotech Century, Penguin Putnam Inc..
Schimank, U. et al. (1999), Public Sector Research in Europe: Comparative Case Studies on the Organization of Human Genetics Research, TSER Project No. SOE1-CT96-1036.
  • 가격2,3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2.10.14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4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