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장애 또는 문제의 종류와 증상
2) 장애 또는 문제의 극복 방법
3) 느낀 점과 자신의 생각
2) 장애 또는 문제의 극복 방법
3) 느낀 점과 자신의 생각
본문내용
가는 과정이 나오는 영화였던 걸로 기억이 난다.
또한 영화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에서 극중 이나영은 사촌오빠에게 강간을 당하지만 그 사실을 자신의 엄마에게 말하자, 그 엄마는 절대 말하지 말라고 이나영을 다그쳤다. 그 일로 더 상처를 받게 된 이나영은 그 상처를 안고 살아가게 된다.
이러한 영화들이 함께 생각나면서 자신의 상처를 감추고 사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이야기하면서, 헤이든의 말처럼 그것을 다 끄집어 내서 청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 같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서는 그것이 매우 중요한 것 같다. 물론 너무 심하게 끄집어 내는 것은 피해야겠지만 말이다.
그리고 드레이크의 사례를 읽으면서 이 아이가 선택적 무언증을 걸리게 한 것은 무엇일지 매우 궁금했다. 할아버지의 지나친 집착 때문은 아닐까 싶기도 했고, 할아버지가 아이를 어릴 때부터 다그쳤기 때문일 것 같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아이의 어머니의 태도를 보면서 뭔가 꺼림칙한 것이 있었고, 결국엔 아이의 어머니가 거짓말을 한 것이었다.
사실 책에서는 자신과 자신의 남편을 보호하기 위해서 아이를 희생시켰다고 한다. 하지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는 않는다. 정말 자신과 자신의 남편을 보호하기 위했던 것일까? 만일 아이가 원래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자신의 남편과 아이의 할아버지에게 알렸다면 그것이 아이를 위한 것이었을까?
이 아이에게는 결국 정신병리는 존재하지 않았다. 다만 이 아이의 가족만이 문제를 가진 가정이었던 것이다. 완벽을 추구하고, 어느 상황에서는 매우 경제적인 면을 추구하는 할아버지, 그런 할아버지 밑에서 소심하게 자라온 아들인 아이의 아버지, 그런 할아버지에 억압받고 소심한 남편 사이의 연약한 아이의 어머니... 아이의 정신이 건강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 같다. 그럼에도 불하고 드레이크는 매우 활발하고 열정적이고 매력적인 아동이었다. 언어적인 면에서 장애를 가지고 있긴 하지만, 이것은 장애가 아니라 그냥 불편한 것일 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정상인과 비정상인, 장애인과 비장애인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된 사례인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마지막으로 느낀 것은 장애 또는 문제를 가진 사람들을 상담해주는 것이 매우 힘들겠지만, 지치겠지만 매우 멋진 일인 것 같다. 어쩌면 카산드라를 치료하면서 처음에 했던 모습이 시행착오로 보일 수 있겠지만, 그런 치료과정이 있었기에 카산드라가 자신이 받은 상처에 대해서 말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또한 영화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에서 극중 이나영은 사촌오빠에게 강간을 당하지만 그 사실을 자신의 엄마에게 말하자, 그 엄마는 절대 말하지 말라고 이나영을 다그쳤다. 그 일로 더 상처를 받게 된 이나영은 그 상처를 안고 살아가게 된다.
이러한 영화들이 함께 생각나면서 자신의 상처를 감추고 사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이야기하면서, 헤이든의 말처럼 그것을 다 끄집어 내서 청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 같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서는 그것이 매우 중요한 것 같다. 물론 너무 심하게 끄집어 내는 것은 피해야겠지만 말이다.
그리고 드레이크의 사례를 읽으면서 이 아이가 선택적 무언증을 걸리게 한 것은 무엇일지 매우 궁금했다. 할아버지의 지나친 집착 때문은 아닐까 싶기도 했고, 할아버지가 아이를 어릴 때부터 다그쳤기 때문일 것 같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아이의 어머니의 태도를 보면서 뭔가 꺼림칙한 것이 있었고, 결국엔 아이의 어머니가 거짓말을 한 것이었다.
사실 책에서는 자신과 자신의 남편을 보호하기 위해서 아이를 희생시켰다고 한다. 하지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는 않는다. 정말 자신과 자신의 남편을 보호하기 위했던 것일까? 만일 아이가 원래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자신의 남편과 아이의 할아버지에게 알렸다면 그것이 아이를 위한 것이었을까?
이 아이에게는 결국 정신병리는 존재하지 않았다. 다만 이 아이의 가족만이 문제를 가진 가정이었던 것이다. 완벽을 추구하고, 어느 상황에서는 매우 경제적인 면을 추구하는 할아버지, 그런 할아버지 밑에서 소심하게 자라온 아들인 아이의 아버지, 그런 할아버지에 억압받고 소심한 남편 사이의 연약한 아이의 어머니... 아이의 정신이 건강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 같다. 그럼에도 불하고 드레이크는 매우 활발하고 열정적이고 매력적인 아동이었다. 언어적인 면에서 장애를 가지고 있긴 하지만, 이것은 장애가 아니라 그냥 불편한 것일 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정상인과 비정상인, 장애인과 비장애인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된 사례인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마지막으로 느낀 것은 장애 또는 문제를 가진 사람들을 상담해주는 것이 매우 힘들겠지만, 지치겠지만 매우 멋진 일인 것 같다. 어쩌면 카산드라를 치료하면서 처음에 했던 모습이 시행착오로 보일 수 있겠지만, 그런 치료과정이 있었기에 카산드라가 자신이 받은 상처에 대해서 말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추천자료
(아동복지론)아동보육의 개념과 실태현황 및 문제점 개선방안
[아동복지]아동학대의 발생 원인과 대처방안 및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인, 사회, 국가의 ...
[아동복지]아동 성학대(성폭력) 문제의 현황과 개선방안
[아동복지] 아동학대의 발생원인 분석과 예방대책 - 발생원인, 후유증, 학대의 예방
우리나라 아동수당제도와 아동복지정책 리포트
장애 아동과 아동복지
[아동복지B]아동학대의 발생 현황 및 원인을 제시하고 예방대책에 대해 논하시오
아동의 권리와 아동복지 대상 서비스
[아동복지/4학년 공통] 아동학대의 발생 현황 및 원인을 제시하고 예방대책에 대해 논하시오
[아동복지론]아동학대 보고서
빈곤 아동을 위한 아동복지실천방안을 자기의 생각으로 정리
[아동복지론] 아동학대보호서비스 문제점에 대한 과제 및 개선방안
우리나라 시설아동의 현황과 아동복지시설의 발전방향
아동양육시설보호에 대하여(아동복지시설의 평가와 발전방향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