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사소송법]소송능력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의의

Ⅱ. 소송능력자

Ⅲ. 소송무능력자

Ⅳ. 소송능력의 소송법상 효과
1. 소송행위의 유효요건
2. 추인
3. 소송능력의 조사와 보정
4. 소송능력의 흠이 소송에 미치는 영향
(1) 소제기과정에 소송능력의 흠이 있는 경우
(2) 소제기 후 소송능력의 흠이 생긴 경우
(3) 소송능력에 관하여 당사자간에 다툼이 있는 경우
(4) 소송무능력을 간과한 판결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이 있는 경우에는 중단되지 않는다.
(3) 소송능력에 관하여 당사자간에 다툼이 있는 경우
조사결과 능력이 없을 때에는 소를 각하할 것이지만, 그 능력이 긍정되는 경우에는 중간판결이나 종국판결의 이유에서 판단하여야 한다.
소송무능력자라 하더라도 그 능력의 존부가 기판력 있는 판결로 확정되기까지는 소송능력을 다투는 한도 내에서는 유효하게 소송행위를 할 수 있다.
(4) 소송무능력을 간과한 판결
소송무능력을 간과하고 본안판결을 하였을 때에는 판결이 당연무효라고 할 수 없고, 당사자는 상소로써 다툼을 수 있으며, 확정된 뒤에는 재심의 소를 제기할 수 있다.
◎ 참고문헌
- 이시윤, 『신민사소송법』, 박영사, 2010
- 호문혁, 『민사소송법』, 법문사, 2011.
- 네이버(www.naver.com)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1.05.10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58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