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해양학 : 바다와 관련된 모든 것을 연구하는 학문
2. 해양탐험의 시대
3. 근대의 해양학\\
4. 현대의 해양학
5. 새로운 해양학
2. 해양탐험의 시대
3. 근대의 해양학\\
4. 현대의 해양학
5. 새로운 해양학
본문내용
성 저기압: 태풍, 허리케인, 사이클론, 윌리윌리→ 초속 17m/sec
ㆍ태풍의 크기는 15m/sec이상의 풍속이 미치는 범위가 300km미만은 소형, 800km이상이면 초대형
ㆍ태풍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중심을 향해 분다.
ㆍ태풍의 중심부: 태풍의 눈 (기압경도력과 원심력이 커지므로 전향력과 마찰력이 커짐→미풍이 불고 맑음)
ㆍ7~11월 사이에는 태풍이 서~서북서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점차 북쪽으로 방향을 바꿈→위도30º부근에서 북동쪽으로 전향→우리나라, 일본 피해
ㆍ태풍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오른쪽 반원을 위험반원(위험o), 왼쪽반원을 가항반원(위험x)
ㆍ과거 한국은 왼쪽이라서 가항반원지역 이었지만, 현재는 북태평양기단의 영향으로 위험반원지역
ㆍ14호 매미: 2003.09.12 발생, 최대풍속 60m/sec
ㆍ2000년부터 아시아 태풍위원회에서 태풍이름 제정하여, 아시아 14개국의 고유이름 사용!
5. 기상관측: 대기의 성분, 기온, 기압, 풍속, 풍향, 습도 등을 측정하여 그 변화량을 아는 것.
1. 빙하: 수권의 약 2%인 담수의 대부분은 빙하로 존재, 육지의 약 10%는 빙하로 덮여 있음
ㆍ빙하기(Ice Age): 중위도 지역까지 눈과 얼음이 뒤덮임
ㆍ빙하의 형성: 해수의 증발에 의해 내리는 눈에 의해 형성
ㆍ만년설(fim): 눈송이의 비중이 0.5초과 할 때부터 만년설 (만년설원의 하한-설선)
ㆍ빙하얼음(glacial ice): 만년설이 더욱 치밀해져서 비중이 0.8이상이 될 때
ㆍ눈→눈 알갱이→만년설→빙하얼음
ㆍ얼음결정 사이에 많음 기포: 눈이 쌓여서 압력을 받아 얼음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미처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갇혔기 때문이다.
ㆍ빙하작용은 지형학적인 관점에서 중요함: 빙하지역, 해안 및 하곡지형의 발달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
ㆍ현재 빙하작용의 흔적: 북미대륙 60%, 북유럽 20%, 나머지는 고산지대에 분포
ㆍ우리나라도 백두산과 관모봉의 고산지대에 빙하작용 흔적 있음[P.240그림]ㆍ흘러내리는 빙하가 침식작용과 운반작용을 하면서 여러 가지 빙하지형을 남기고, 빙하가 후퇴하면서 운반해온 퇴적물들을 남기면서 빙하지형을 만듬→전자를 빙하의 침식작용에 의한 지형, 후자는 운반 및 퇴적작용에 의한 빙하지형[P.241]
2. 빙하지형[P.243]
ㆍU자곡: 유수에 의해 만들어지는 산골짜기는 V자형태 이지만, 빙하에 의해 만들어지는 골짜기는 깊은 U자곡
ㆍ하늘계곡: 주 계곡이 바닥에 비해 매우 높아 마치 높은 하늘에 걸려있는 모습
ㆍ권곡: 밥공기를 엎어놓은 것 같음
ㆍ호른: 피라미드 끝처럼 뾰족한 뿔 같은 산꼭대기
ㆍ빙하표석: 빙하의 침식에 의해 떨어져 나온 커다란 돌덩어리, ‘미아석‘(집잃은돌)이라고도 부름
ㆍ빙하 광택: 기반암의 표면이 햇빛에 반사되어 반들거림
ㆍ찰흔: 기반암에 빙하의 바닥에 붙은 모래가 지나가면서 평행한 줄무늬의 긁힌 자국을 남기는데 이 빙하 줄무늬 [P.246]
ㆍ그루브(Groove): 생성과정은 찰흔과 같지만 훨씬 더 큰 자갈이 지나가면서 줄무늬 폭이 크고 깊이가 깊은 자국
ㆍ빙하호: 빙하의 무게에 의해 가라앉거나 빙식이 되어 평원이 된 후, 빙하가 녹은 물이 채워져 생긴 호수
3. 빙하학의 선구자
ㆍ19세기: 대홍수설(성서에 나옴)
ㆍ라일(1830년): 대홍수설을 약간 수정한 빙산설 주장
ㆍ피에르 페로댕: 암석에 패인 흔적을 빙하의 무게와 압력에 의해 생긴 것으로 주장
ㆍ루이스 아가시: ‘빙하기(Ice Age)‘란 용어 처음 사용, 빙하설의 창시자!
4. 빙하기의 원인
ㆍ밀루틴 밀랑코비치
- 공전궤도의 이심률 변화: 약 10만년을 주기. 이심률 최대(빙하기), 이심률 최소(간빙기)
- 지구 자전축의 경사효과: 약 4만 1천년 주기. 경사 최대(간빙기), 경사 최소(빙하기)
- 세차운동의 효과: 팽이 축이 지면에 경사져 있을 때 팽이가 비틀거리며 도는 현상(회전운동을 하는 물체가 자전축이 일정한 범위내에서 회전하는 것), 약 2만 3천년 주기, 북반구의 여름이 원일점이 생기고, 겨울은 근일점이 생겨서 여름은 시원하고 겨울은 온화
ㆍ빙하기는 북반구에 있어 추운겨울이 아닌 서늘한 여름에 시작
ㆍ지각 평형설: 빙산이 바다에 떠 있는 것처럼 지각도 맨틀 위에 떠 있어 평형을 유지한다는 학설
ㆍ코리올리 효과: 북반구에선 고기압이 시계방향, 저기압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
ㆍ해들리 세포: 적도와 남북위 위도 30º사이에서 대류 운동을 하는 대기 순환 세포.
북반구에서는 북동 무역풍, 남반구에서는 남동 무역풍을 발생시킨다!
ㆍ태풍의 크기는 15m/sec이상의 풍속이 미치는 범위가 300km미만은 소형, 800km이상이면 초대형
ㆍ태풍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중심을 향해 분다.
ㆍ태풍의 중심부: 태풍의 눈 (기압경도력과 원심력이 커지므로 전향력과 마찰력이 커짐→미풍이 불고 맑음)
ㆍ7~11월 사이에는 태풍이 서~서북서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점차 북쪽으로 방향을 바꿈→위도30º부근에서 북동쪽으로 전향→우리나라, 일본 피해
ㆍ태풍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오른쪽 반원을 위험반원(위험o), 왼쪽반원을 가항반원(위험x)
ㆍ과거 한국은 왼쪽이라서 가항반원지역 이었지만, 현재는 북태평양기단의 영향으로 위험반원지역
ㆍ14호 매미: 2003.09.12 발생, 최대풍속 60m/sec
ㆍ2000년부터 아시아 태풍위원회에서 태풍이름 제정하여, 아시아 14개국의 고유이름 사용!
5. 기상관측: 대기의 성분, 기온, 기압, 풍속, 풍향, 습도 등을 측정하여 그 변화량을 아는 것.
1. 빙하: 수권의 약 2%인 담수의 대부분은 빙하로 존재, 육지의 약 10%는 빙하로 덮여 있음
ㆍ빙하기(Ice Age): 중위도 지역까지 눈과 얼음이 뒤덮임
ㆍ빙하의 형성: 해수의 증발에 의해 내리는 눈에 의해 형성
ㆍ만년설(fim): 눈송이의 비중이 0.5초과 할 때부터 만년설 (만년설원의 하한-설선)
ㆍ빙하얼음(glacial ice): 만년설이 더욱 치밀해져서 비중이 0.8이상이 될 때
ㆍ눈→눈 알갱이→만년설→빙하얼음
ㆍ얼음결정 사이에 많음 기포: 눈이 쌓여서 압력을 받아 얼음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미처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갇혔기 때문이다.
ㆍ빙하작용은 지형학적인 관점에서 중요함: 빙하지역, 해안 및 하곡지형의 발달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
ㆍ현재 빙하작용의 흔적: 북미대륙 60%, 북유럽 20%, 나머지는 고산지대에 분포
ㆍ우리나라도 백두산과 관모봉의 고산지대에 빙하작용 흔적 있음[P.240그림]ㆍ흘러내리는 빙하가 침식작용과 운반작용을 하면서 여러 가지 빙하지형을 남기고, 빙하가 후퇴하면서 운반해온 퇴적물들을 남기면서 빙하지형을 만듬→전자를 빙하의 침식작용에 의한 지형, 후자는 운반 및 퇴적작용에 의한 빙하지형[P.241]
2. 빙하지형[P.243]
ㆍU자곡: 유수에 의해 만들어지는 산골짜기는 V자형태 이지만, 빙하에 의해 만들어지는 골짜기는 깊은 U자곡
ㆍ하늘계곡: 주 계곡이 바닥에 비해 매우 높아 마치 높은 하늘에 걸려있는 모습
ㆍ권곡: 밥공기를 엎어놓은 것 같음
ㆍ호른: 피라미드 끝처럼 뾰족한 뿔 같은 산꼭대기
ㆍ빙하표석: 빙하의 침식에 의해 떨어져 나온 커다란 돌덩어리, ‘미아석‘(집잃은돌)이라고도 부름
ㆍ빙하 광택: 기반암의 표면이 햇빛에 반사되어 반들거림
ㆍ찰흔: 기반암에 빙하의 바닥에 붙은 모래가 지나가면서 평행한 줄무늬의 긁힌 자국을 남기는데 이 빙하 줄무늬 [P.246]
ㆍ그루브(Groove): 생성과정은 찰흔과 같지만 훨씬 더 큰 자갈이 지나가면서 줄무늬 폭이 크고 깊이가 깊은 자국
ㆍ빙하호: 빙하의 무게에 의해 가라앉거나 빙식이 되어 평원이 된 후, 빙하가 녹은 물이 채워져 생긴 호수
3. 빙하학의 선구자
ㆍ19세기: 대홍수설(성서에 나옴)
ㆍ라일(1830년): 대홍수설을 약간 수정한 빙산설 주장
ㆍ피에르 페로댕: 암석에 패인 흔적을 빙하의 무게와 압력에 의해 생긴 것으로 주장
ㆍ루이스 아가시: ‘빙하기(Ice Age)‘란 용어 처음 사용, 빙하설의 창시자!
4. 빙하기의 원인
ㆍ밀루틴 밀랑코비치
- 공전궤도의 이심률 변화: 약 10만년을 주기. 이심률 최대(빙하기), 이심률 최소(간빙기)
- 지구 자전축의 경사효과: 약 4만 1천년 주기. 경사 최대(간빙기), 경사 최소(빙하기)
- 세차운동의 효과: 팽이 축이 지면에 경사져 있을 때 팽이가 비틀거리며 도는 현상(회전운동을 하는 물체가 자전축이 일정한 범위내에서 회전하는 것), 약 2만 3천년 주기, 북반구의 여름이 원일점이 생기고, 겨울은 근일점이 생겨서 여름은 시원하고 겨울은 온화
ㆍ빙하기는 북반구에 있어 추운겨울이 아닌 서늘한 여름에 시작
ㆍ지각 평형설: 빙산이 바다에 떠 있는 것처럼 지각도 맨틀 위에 떠 있어 평형을 유지한다는 학설
ㆍ코리올리 효과: 북반구에선 고기압이 시계방향, 저기압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
ㆍ해들리 세포: 적도와 남북위 위도 30º사이에서 대류 운동을 하는 대기 순환 세포.
북반구에서는 북동 무역풍, 남반구에서는 남동 무역풍을 발생시킨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