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도 입
1. 운영수입의 의의
2. 운영수입의 계산구조
3. 운영수입의 유용성
Ⅱ. 운용수입 개념의 도입배경
Ⅲ. 운영수입개념에 대한 논의
1. 이연자산 상각(amortization)과 감가상각(depreciaton)
2. 비경상적인 항목과 특별항목에 대한 처리
3. 비연결 종속회사에 대한 처리
4. 운영수입의 공시
5. 부동산매각에 따른 이득과 손실
Ⅳ. 보충적 공시
1. 자본적지출
2. 정액법에 따른 임대료의 상각
Ⅴ. 운영수입 산정방식의 적용
1. 운영수입의 의의
2. 운영수입의 계산구조
3. 운영수입의 유용성
Ⅱ. 운용수입 개념의 도입배경
Ⅲ. 운영수입개념에 대한 논의
1. 이연자산 상각(amortization)과 감가상각(depreciaton)
2. 비경상적인 항목과 특별항목에 대한 처리
3. 비연결 종속회사에 대한 처리
4. 운영수입의 공시
5. 부동산매각에 따른 이득과 손실
Ⅳ. 보충적 공시
1. 자본적지출
2. 정액법에 따른 임대료의 상각
Ⅴ. 운영수입 산정방식의 적용
본문내용
Ⅰ. 도 입
1. 운영수입의 의의
1991년 NAREIT는 REITs의 영업성과를 표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인 운영수입(FFO ; Fund From Operations)의 개념을 채택하였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GAAP ;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하에서 산출된 당기순이익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성과평과지표로서 1995년과 1999년에 개념이 명확히 정의되었으며, 현행의 운영수입 개념은 다음과 같음
2. 운영수입의 계산구조
운영수입은 당기순이익(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에 따라 계산된 수치)에서 부동산 순매각이득(gains or losses from sales of property)을 차감하고 감가상 각비와 이연자산상각비(depreciation and amortization)를 가산한 뒤, 비연결 종속 회사에 대한 연결조정(adjustments for unconsolidated partnership and joint ventures)을 행한 결과 산출되는 이익
비연결 종속회사에 대한 연결조정은 동일한 기준 하에서 운영수입의 계산에 반영하기 위하여 계산됨
3. 운영수입의 유용성
1) 영업성과평가 지표로서의 당기순이익의 문제점
- 부동산 자산에 대한 역사적 원가주의에 의한 회계처리는 부동산 자산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가상각이 진행됨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가치가 감소한다는 암묵적인 가정에 입각
- 부동산의 가치는 시장상황에 따라 상승하기도 하고 하락하기도 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역사적 원가주의에 따른 감가상각비의 계상으로 인한 영업성과는 투자자들의 의사결정을 오도하고 정보로서의 유용성이 감소
1. 운영수입의 의의
1991년 NAREIT는 REITs의 영업성과를 표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인 운영수입(FFO ; Fund From Operations)의 개념을 채택하였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GAAP ;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하에서 산출된 당기순이익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성과평과지표로서 1995년과 1999년에 개념이 명확히 정의되었으며, 현행의 운영수입 개념은 다음과 같음
2. 운영수입의 계산구조
운영수입은 당기순이익(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에 따라 계산된 수치)에서 부동산 순매각이득(gains or losses from sales of property)을 차감하고 감가상 각비와 이연자산상각비(depreciation and amortization)를 가산한 뒤, 비연결 종속 회사에 대한 연결조정(adjustments for unconsolidated partnership and joint ventures)을 행한 결과 산출되는 이익
비연결 종속회사에 대한 연결조정은 동일한 기준 하에서 운영수입의 계산에 반영하기 위하여 계산됨
3. 운영수입의 유용성
1) 영업성과평가 지표로서의 당기순이익의 문제점
- 부동산 자산에 대한 역사적 원가주의에 의한 회계처리는 부동산 자산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가상각이 진행됨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가치가 감소한다는 암묵적인 가정에 입각
- 부동산의 가치는 시장상황에 따라 상승하기도 하고 하락하기도 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역사적 원가주의에 따른 감가상각비의 계상으로 인한 영업성과는 투자자들의 의사결정을 오도하고 정보로서의 유용성이 감소
키워드
추천자료
캐나다 뱅쿠버 한국 백화점 입점에 따른 분석 운영안
[정부회계제도][정부회계][회계제도][회계]회계의 개념적 틀, 회계정보, 정부 회계기준, 회계...
[학교급식][단체급식]학교급식(단체급식)의 정의, 학교급식(단체급식)의 목적, 학교급식(단체...
[항공화물운송사업]항공화물운송산업 중요성, 항공화물운송산업 특성, 세계 항공화물운송산업...
의무기록관리학- 제11, 12장 의무기록/정보의 법률적 측면, 의무기록부서의 운영
[예산][재정][발생주의예산][예산회계제도개혁]예산의 개념, 예산과 재정의 관계, 정부회계개...
[중소벤처기업창업]중소벤처기업창업의 개념, 중소벤처기업창업의 절차, 중소벤처기업창업시 ...
최저임금제(최저임금제도)의 효과, 최저임금제(최저임금제도)의 운영기구, 최저임금제(최저임...
[국제경제학] 선진국의 일반특혜관세[GSP] 운영 현황
[일본학교급식, 학교급식, 학교급식회, 위탁급식]일본학교급식의 유형, 일본학교급식의 운영,...
[재정력 분석 (財政力 分析)] 재정력의 개념, 우리나라 및 외국(한국, 일본, 미국)의 재정력 ...
1880년대 독일 비스마르크 사회입법의 제정 목적 및 성격, 시대적 배경, 운영원칙, 주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