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목차
(要 約)
Ⅰ. 中國經濟의 急浮上 1
1. 經濟․交易 大國으로 成長 1
2. 世界工場으로서의 役割 3
3. 巨大 資源消費國으로 登場 6
Ⅱ. 日-中 經濟關係의 深化 10
Ⅲ. 中國經濟 浮上에 대한 日本의 認識과 對應 14
1. 日本의 認識 變化 14
2. 日本企業 등의 對應 25
Ⅳ. 評價 및 示唆點 39
Ⅰ. 中國經濟의 急浮上 1
1. 經濟․交易 大國으로 成長 1
2. 世界工場으로서의 役割 3
3. 巨大 資源消費國으로 登場 6
Ⅱ. 日-中 經濟關係의 深化 10
Ⅲ. 中國經濟 浮上에 대한 日本의 認識과 對應 14
1. 日本의 認識 變化 14
2. 日本企業 등의 對應 25
Ⅳ. 評價 및 示唆點 39
본문내용
중국으로부터 日本 國內에 回歸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음
― 이와 함께 日中間 補完關係을 이용하여 쇠퇴산업은 중국에 이전하는 대신 새로운 국내산업을 육성하는 ‘空洞化 없는 高度化政策’을 추구
― 최근에는 중국의 인건비 상승 등에 따른 生産費用 上昇으로 中國 以外 第3國家 등으로 공장의 일부를 이전하는 소위 'China 플러스 one’ 戰略을 구사하는 기업도 증가
― 또한 2008년 北京올림픽 개최 등에 따른 중국의 內需市場 확대를 겨냥한 진출이 최근 크게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일본기업들은 중국의 高所得層을 타켓으로 한 판매 전략으로 성공을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가운데서도 한편으로는 對중국 견제심리 또한 만만치 않은 것으로 보임
― 최근 일본이 한국, ASEAN 등과 FTA를 적극 추진하고 東아시아共同體 구상 등을 제안하는 이면에는 아시아 지역에서 中國과의 헤게모니 쟁탈전을 의식한 측면이 강한 것이 사실
(우리나라에의 示唆點)
□ 최근 들어 중국 위협론이 퇴조하고 일본이 중국의 급성장을 오히려 기회로 활용하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도 日本의 높은 技術力이 뒷받침되고 있기 때문에 가능
―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철강, 조선, 전자, 화학 등 重化學工業에 있어서 일본에 비해 中國과의 競合度가 높고 技術隔差도 점점 축소되고 있는 실정임에 비추어
중국과의 기술격차를 유지확대하기 위한 정부 및 기업의 노력이 긴요
― 이와 함께 중국으로의 技術流出로 인한 부메랑效果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첨단산업의 對중국 진출에 보다 신중을 기하는 것이 바람직
ㅇ 중국과 工程間 分業體制를 구축하되 附加價値가 높거나 高級技術을 요하는 분야는 국내에 거점을 마련하도록 유도할 필요
□ 比較優位를 상실한 쇠퇴산업(기업)의 海外移轉은 불가피한 면이 있다고 하더라도
일본의 경우처럼 새로운 國內 成長産業의 개발육성 등을 통해 空洞化를 방지하는 한편 中國 등으로의 진출을 우리나라 産業構造 高度化의 계기로 삼을 필요
□ 中國 內需市場 공략은 소득계층별, 지역별로 확실한 타켓을 정하여 일본 등 경쟁국과의 경쟁관계 등을 고려하여 추진
― 일본이 高所得層을 겨냥하고 있는 분야(예 : 샤프의 가전, 혼다의 자동차 등)로서 우리나라 제품의 경쟁력이 처지는 경우에는 中間所得層이나 低所得層을 타켓으로 하는 방안도 강구
― 白色家電 등 많은 소비재 부문에서 일본과 경합이 치열한 것은 사실이나
過去史 문제 등 政治的 弱點*을 안고 있는 일본보다는 중국 내수시장 공략에 다소 유리한 측면이 있는 점을 감안하여 보다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을 구사
* 최근 일본기업이 중국에서 과거사 문제, 고이즈미(小泉) 수상의 야스쿠니神社 參拜 등에 따른 反日感情의 벽에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증가.
그 한 예로 중국의 한 웹사이트에 9월 18일 발매하는 캐논의 신형디지탈카메라를 사지 말자는 내용이 계속 게재되어 곤혹을 치룬 적이 있음. 9월 18일은 舊 일본군이 중국의 동북지방 침략을 개시한 날(1931년 9월 18일)로서 중국인이 수치스럽게 여기는 날이었기 때문
□ 한편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점점 커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중국 이외 販賣市場으로서 잠재성이 큰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 여타 BRICs에 대한 진출을 확대하고
중국 현지의 생산비 상승에 대비하여 베트남 등 중국 인접국에 부품, 완제품 등의 供給基地를 확보하는 등 과도한 中國依存度에서 탈피할 필요
― 이와 함께 ‘中國 挫折論’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만큼 현지기업의 경우 內需와 輸出의 균형을 중시한 생산판매체제의 구축 등을 통해 장래 발생할 리스크의 분산을 도모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
<參考文獻>
구본관, “일본기업의 생산거점 U턴과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CEO Informa- tion』, 2004.9월
박덕배, “중국 금융기관의 부실채권 문제와 전망”, 현대경제연구원 『주간경제정보』, 2004.5월
박번순,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의 대응”, 삼성경제연구소『CEO Information』, 2004.9월
堺屋太一, 「中國大活用」, NTT出版, 2003.1월
經濟産業省, “第33回 海外事業活動基本調査 槪要“, 2004.3월
__________, 「通商白書」, 각호
經濟産業省厚生勞性文部科學省, 「ものづくり白書」, 각호
經濟産業硏究所, “日本人のための中國經濟再入門”, 經濟産業硏究所 討論資料, 2002.10월
小峰隆夫, 「最新 日本經濟入門」, 日本評論社, 2003.7월
國際協力銀行, “わが國製造業企業の海外事業展開に關する調査報告”, 2002.5월
內閣府, 「經濟財政白書」, 각호
唐津 一, 「中國は日本を追い拔けない!」PHP硏究所, 2004.11월
미즈호總合硏究所, “日本企業にとっての中國內販市場”, 『미즈호리포트』, 2003.12. 15일
_______________, “多樣化深化を迫られる中國ビジネス”,『미즈호리서치』, 2004.1월
_______________, “分業制が進展するアジアビジネス”,『미즈호리서치』, 2004.6월
_______________, “중국, アジアを巡る日本の貿易構造化”, 『미즈호리서치』, 2004.11월
服部健治, “市場としての中國の台頭と日本企業の對應”, 大阪國際金融세미나 발표 자료, 2004.9월
信金中央金庫總合硏究所, “中國經濟の台頭と日本との協調發展の可能性” 『內外經濟金融動向』, 2003.8월
伊丹敬之 외 4명, “製造業の國內回歸, 日本製で勝つ”, 週刊エコノミスト, 2004.7.27일
日本經濟新聞社編, 「円と元」, 日本經濟新聞社, 2004.9월
日本商工會議所, “わが國の地域産業空洞化に關する定量分析結果”, 2004.5.14일
日中經濟協會 調査部, “2003年の國民濟社會發展に關する統計公報”, Internet Home Page
中小企業廳, 「中小企業白書」, 각호
浜田宏一內閣府經濟社會總合硏究所, 「世界經濟の中の中國」, NTT出版, 2003.11월
韓基早, “外國系企業の中國化と日本の産業空洞化問題”, 日本國際經濟學會 『第62回全國大會』 발표 논문, 2003.10월
UNCTAD, 「Trade and Development Report」, 2002년, 2004년
World Bank,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database, 2004.9월
― 이와 함께 日中間 補完關係을 이용하여 쇠퇴산업은 중국에 이전하는 대신 새로운 국내산업을 육성하는 ‘空洞化 없는 高度化政策’을 추구
― 최근에는 중국의 인건비 상승 등에 따른 生産費用 上昇으로 中國 以外 第3國家 등으로 공장의 일부를 이전하는 소위 'China 플러스 one’ 戰略을 구사하는 기업도 증가
― 또한 2008년 北京올림픽 개최 등에 따른 중국의 內需市場 확대를 겨냥한 진출이 최근 크게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일본기업들은 중국의 高所得層을 타켓으로 한 판매 전략으로 성공을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가운데서도 한편으로는 對중국 견제심리 또한 만만치 않은 것으로 보임
― 최근 일본이 한국, ASEAN 등과 FTA를 적극 추진하고 東아시아共同體 구상 등을 제안하는 이면에는 아시아 지역에서 中國과의 헤게모니 쟁탈전을 의식한 측면이 강한 것이 사실
(우리나라에의 示唆點)
□ 최근 들어 중국 위협론이 퇴조하고 일본이 중국의 급성장을 오히려 기회로 활용하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도 日本의 높은 技術力이 뒷받침되고 있기 때문에 가능
―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철강, 조선, 전자, 화학 등 重化學工業에 있어서 일본에 비해 中國과의 競合度가 높고 技術隔差도 점점 축소되고 있는 실정임에 비추어
중국과의 기술격차를 유지확대하기 위한 정부 및 기업의 노력이 긴요
― 이와 함께 중국으로의 技術流出로 인한 부메랑效果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첨단산업의 對중국 진출에 보다 신중을 기하는 것이 바람직
ㅇ 중국과 工程間 分業體制를 구축하되 附加價値가 높거나 高級技術을 요하는 분야는 국내에 거점을 마련하도록 유도할 필요
□ 比較優位를 상실한 쇠퇴산업(기업)의 海外移轉은 불가피한 면이 있다고 하더라도
일본의 경우처럼 새로운 國內 成長産業의 개발육성 등을 통해 空洞化를 방지하는 한편 中國 등으로의 진출을 우리나라 産業構造 高度化의 계기로 삼을 필요
□ 中國 內需市場 공략은 소득계층별, 지역별로 확실한 타켓을 정하여 일본 등 경쟁국과의 경쟁관계 등을 고려하여 추진
― 일본이 高所得層을 겨냥하고 있는 분야(예 : 샤프의 가전, 혼다의 자동차 등)로서 우리나라 제품의 경쟁력이 처지는 경우에는 中間所得層이나 低所得層을 타켓으로 하는 방안도 강구
― 白色家電 등 많은 소비재 부문에서 일본과 경합이 치열한 것은 사실이나
過去史 문제 등 政治的 弱點*을 안고 있는 일본보다는 중국 내수시장 공략에 다소 유리한 측면이 있는 점을 감안하여 보다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을 구사
* 최근 일본기업이 중국에서 과거사 문제, 고이즈미(小泉) 수상의 야스쿠니神社 參拜 등에 따른 反日感情의 벽에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증가.
그 한 예로 중국의 한 웹사이트에 9월 18일 발매하는 캐논의 신형디지탈카메라를 사지 말자는 내용이 계속 게재되어 곤혹을 치룬 적이 있음. 9월 18일은 舊 일본군이 중국의 동북지방 침략을 개시한 날(1931년 9월 18일)로서 중국인이 수치스럽게 여기는 날이었기 때문
□ 한편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점점 커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중국 이외 販賣市場으로서 잠재성이 큰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 여타 BRICs에 대한 진출을 확대하고
중국 현지의 생산비 상승에 대비하여 베트남 등 중국 인접국에 부품, 완제품 등의 供給基地를 확보하는 등 과도한 中國依存度에서 탈피할 필요
― 이와 함께 ‘中國 挫折論’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만큼 현지기업의 경우 內需와 輸出의 균형을 중시한 생산판매체제의 구축 등을 통해 장래 발생할 리스크의 분산을 도모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
<參考文獻>
구본관, “일본기업의 생산거점 U턴과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CEO Informa- tion』, 2004.9월
박덕배, “중국 금융기관의 부실채권 문제와 전망”, 현대경제연구원 『주간경제정보』, 2004.5월
박번순,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의 대응”, 삼성경제연구소『CEO Information』, 2004.9월
堺屋太一, 「中國大活用」, NTT出版, 2003.1월
經濟産業省, “第33回 海外事業活動基本調査 槪要“, 2004.3월
__________, 「通商白書」, 각호
經濟産業省厚生勞性文部科學省, 「ものづくり白書」, 각호
經濟産業硏究所, “日本人のための中國經濟再入門”, 經濟産業硏究所 討論資料, 2002.10월
小峰隆夫, 「最新 日本經濟入門」, 日本評論社, 2003.7월
國際協力銀行, “わが國製造業企業の海外事業展開に關する調査報告”, 2002.5월
內閣府, 「經濟財政白書」, 각호
唐津 一, 「中國は日本を追い拔けない!」PHP硏究所, 2004.11월
미즈호總合硏究所, “日本企業にとっての中國內販市場”, 『미즈호리포트』, 2003.12. 15일
_______________, “多樣化深化を迫られる中國ビジネス”,『미즈호리서치』, 2004.1월
_______________, “分業制が進展するアジアビジネス”,『미즈호리서치』, 2004.6월
_______________, “중국, アジアを巡る日本の貿易構造化”, 『미즈호리서치』, 2004.11월
服部健治, “市場としての中國の台頭と日本企業の對應”, 大阪國際金融세미나 발표 자료, 2004.9월
信金中央金庫總合硏究所, “中國經濟の台頭と日本との協調發展の可能性” 『內外經濟金融動向』, 2003.8월
伊丹敬之 외 4명, “製造業の國內回歸, 日本製で勝つ”, 週刊エコノミスト, 2004.7.27일
日本經濟新聞社編, 「円と元」, 日本經濟新聞社, 2004.9월
日本商工會議所, “わが國の地域産業空洞化に關する定量分析結果”, 2004.5.14일
日中經濟協會 調査部, “2003年の國民濟社會發展に關する統計公報”, Internet Home Page
中小企業廳, 「中小企業白書」, 각호
浜田宏一內閣府經濟社會總合硏究所, 「世界經濟の中の中國」, NTT出版, 2003.11월
韓基早, “外國系企業の中國化と日本の産業空洞化問題”, 日本國際經濟學會 『第62回全國大會』 발표 논문, 2003.10월
UNCTAD, 「Trade and Development Report」, 2002년, 2004년
World Bank,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database, 2004.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