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글
2. 장애인 캐어 서비스의 등장 배경
3. 외국의 장애인 캐어 서비스의 현황과 과제
4. 마치는 글
■ 참고 문헌
2. 장애인 캐어 서비스의 등장 배경
3. 외국의 장애인 캐어 서비스의 현황과 과제
4. 마치는 글
■ 참고 문헌
본문내용
임 금
기 타
가
사
도
우
미
가정집
오전 9시 ~ 오후 5시
25,000원
40평 미만
오전 9시 ~ 오후 5시
30,000원
40평 이상
반나절
오전 9시 ~ 오후 1시
16,000원
한달 이상 고용함
오후 1시 ~ 오후 5시
16,000원
이삿집
오전 9시 ~ 오후 5시
30,000원
40평 미만
오전 9시 ~ 오후 5시
35,000원
40평 이상
식당
오전 9시 ~ 오후 5시
30,000원
야간시간은 하지 않음
상가집
오전 9시 ~ 오후 5시
50,000원
1시간 추가시 5,000원
간
병
인
병원
24시간 (2명이 교대근무)
30,000원
1인당
24시간 (1인)
50,000원
식사는 별도제공
12시간 (주간)
30,000원
식사는 별도제공
12시간 (야간)
35,000원
식사는 별도제공
가정집
24시간 (1인)
60,000원
집안청소는 간단히
12시간 (주간)
35,000원
12시간 (야간)
40,000원
산
모
구
환
가정집
8시간 (오전9시 ~ 오후 5시)
35,000원
식사준비
집안청소
12시간 (시간지정)
45,000원
24시간 (시간지정)
80,000원
① 예정일 15일전에 사무실로 나와서 신청서를 작성하셔야 함
② 첫아이가 있을 경우 - 7세미만 : 3,000원
- 8세이상 : 2,000원 추가
요
리
사
20인분 기준 (8시간)
50,000원
10명추가시
10,000원
보조원동반 (뒷정리)
30,000원
시장 같이 보기
20,000원
★ 간병인/산모구환의 추가요금은 1시간 3,000원
★ 상가집을 제외한 일손의 규정시간외 파출부임금 1시간당 추가요금이 3000원임
4. 마치는 글
지금까지 장애인의 캐어 서비스에 대한 각 국의 제도를 고찰 해보았다. 현재 우리나라는 장애인의 지역자립생활과 관련하여 어떠한 장애인 정책을 실시하여야 하는가에 대하여 신중하게 고민하고 한 정책 결정을 내려야 할 시기에 와 있다고 볼 수 있다.
스웨덴이나 캐나다 일본 등과 같은 역사적인 변천 과정을 거치기 에는 너무도 많은 시간의 소요와 정책적 결정의 어려움을 감수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서구의 사례를 통하여 본다면 지역자립생활을 위한 캐어 매너지먼트의 도입이 필요하고 중증장애인을 중심으로 장애인 자립생활 활동 도우미 제도를 제도화하여야 할 것이며 재원의 마련에 있어서는 국고보조 형태의 조합 방식이 타당하다고 볼 수 있겠다. 또한 산발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도우미 제도나 간병인 제도를 통합하여 상기의 국고보조(50%이상) 형태의 조합 방식으로 운영함이 적절하다고 필자는 결론을 내린다.
■ 참고 문헌
* 정종화(2001), “중증 장애인의 자립생활 지원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아태장애인10년 평가 및 한국장애인 행동계획안 수립』제9회 RI KOREA 재활대회 발표논문집, p.105-126.
* 정종화(2001),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한국의 장애인복지 전망과 전략 -자립생활 모델의 한국적 도입을 위하여-”『2001 국제 장애인복지 실천세미나 장애인자립생활실천을 위한 과제와 전망』세미나 발표 자료집, p.25-38.
* Gerben DeJong, “독립적 생활 : 사회운동에서 분석패러다임에 이르기까지”, 「신체장애의 심리적사회적 충격」, 한국뇌성마비복지회 역, 을유문화사, 1998.
* 보건복지부「보건복지백서 2000년도」,보건복지부.2000,10.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0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보고서」2001, 1.
* 오혜경, “장애인자립생활실천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리뷰>제3집, 카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1999.
* 정종화 번역(1998) 자립생활 프로그램 매뉴얼Human Care Association, Tokyo Japan.
* 정종화(2000), 중증장애인의 지역자립생활 지원방안, 재활소식 제257호, (910월호), P.15-21
* 鄭鍾和, 中西, 中原, Self Managed Care HandbookHuman Care 協會, 2000.3, Tokyo.
* 鄭鍾和, "カナダスウェデンの障害者介助サビスモデル硏究", 月刊 協同の發見 第97號,P.26-39, 2000, Tokyo.
* Jeong Jong-Hwa(2000),Self-Managed Care Handbook, Human Care Association, Tokyo Japan.
* jeong, Maruyama「自薦登錄ヘルバ制度の實態調査」Human Care 協會, 1999, Tokyo.
*森和子「アメリカにおけるIL運動とリハビリテション法」障害者問題硏究27號 P.72-77,1981, Tokyo.
* 安積純子, 尾中文哉, 岡原正幸, 立岩眞也著,「生の技法」, 藤原書店,1995年5月,p.366
* 池田孝一「第一若胸の家20周年記念誌」第一若胸の家, 1998, Tokyo.
*定藤丈弘「障害者と社會參加-機會平等の現實(アメリカと日本)-」部落解放硏究所, 1994.
* 「ノマライゼェションの現在-當事者決定の倫理-」現代書館, 1992.Tokyo.
Adolf D. Ratzka(1997), Independent Living and attendant care in sweden; A consumer perspectiveGendaishyokan, Tokyo japan.
Wolfensberger, W. (1983). “Social Role Valorisation: A Proposed New Term for the Principle of Normalisation”, Mental Retardation, vol.21, no.6, pp.234- 9.
Wolfensberger, W. (1989). “Human service policies: The rhetoric versus the reality”, in Barton, L. (ed.) Disability and Dependency. London: Falmer Press.
Gerbon Dejong (Independent Living & Disability in the Netherlands: Three Models of Residential Care & Independent Living, World Rehabilitation Fund, Report #27, New York, 1984.
기 타
가
사
도
우
미
가정집
오전 9시 ~ 오후 5시
25,000원
40평 미만
오전 9시 ~ 오후 5시
30,000원
40평 이상
반나절
오전 9시 ~ 오후 1시
16,000원
한달 이상 고용함
오후 1시 ~ 오후 5시
16,000원
이삿집
오전 9시 ~ 오후 5시
30,000원
40평 미만
오전 9시 ~ 오후 5시
35,000원
40평 이상
식당
오전 9시 ~ 오후 5시
30,000원
야간시간은 하지 않음
상가집
오전 9시 ~ 오후 5시
50,000원
1시간 추가시 5,000원
간
병
인
병원
24시간 (2명이 교대근무)
30,000원
1인당
24시간 (1인)
50,000원
식사는 별도제공
12시간 (주간)
30,000원
식사는 별도제공
12시간 (야간)
35,000원
식사는 별도제공
가정집
24시간 (1인)
60,000원
집안청소는 간단히
12시간 (주간)
35,000원
12시간 (야간)
40,000원
산
모
구
환
가정집
8시간 (오전9시 ~ 오후 5시)
35,000원
식사준비
집안청소
12시간 (시간지정)
45,000원
24시간 (시간지정)
80,000원
① 예정일 15일전에 사무실로 나와서 신청서를 작성하셔야 함
② 첫아이가 있을 경우 - 7세미만 : 3,000원
- 8세이상 : 2,000원 추가
요
리
사
20인분 기준 (8시간)
50,000원
10명추가시
10,000원
보조원동반 (뒷정리)
30,000원
시장 같이 보기
20,000원
★ 간병인/산모구환의 추가요금은 1시간 3,000원
★ 상가집을 제외한 일손의 규정시간외 파출부임금 1시간당 추가요금이 3000원임
4. 마치는 글
지금까지 장애인의 캐어 서비스에 대한 각 국의 제도를 고찰 해보았다. 현재 우리나라는 장애인의 지역자립생활과 관련하여 어떠한 장애인 정책을 실시하여야 하는가에 대하여 신중하게 고민하고 한 정책 결정을 내려야 할 시기에 와 있다고 볼 수 있다.
스웨덴이나 캐나다 일본 등과 같은 역사적인 변천 과정을 거치기 에는 너무도 많은 시간의 소요와 정책적 결정의 어려움을 감수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서구의 사례를 통하여 본다면 지역자립생활을 위한 캐어 매너지먼트의 도입이 필요하고 중증장애인을 중심으로 장애인 자립생활 활동 도우미 제도를 제도화하여야 할 것이며 재원의 마련에 있어서는 국고보조 형태의 조합 방식이 타당하다고 볼 수 있겠다. 또한 산발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도우미 제도나 간병인 제도를 통합하여 상기의 국고보조(50%이상) 형태의 조합 방식으로 운영함이 적절하다고 필자는 결론을 내린다.
■ 참고 문헌
* 정종화(2001), “중증 장애인의 자립생활 지원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아태장애인10년 평가 및 한국장애인 행동계획안 수립』제9회 RI KOREA 재활대회 발표논문집, p.105-126.
* 정종화(2001),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한국의 장애인복지 전망과 전략 -자립생활 모델의 한국적 도입을 위하여-”『2001 국제 장애인복지 실천세미나 장애인자립생활실천을 위한 과제와 전망』세미나 발표 자료집, p.25-38.
* Gerben DeJong, “독립적 생활 : 사회운동에서 분석패러다임에 이르기까지”, 「신체장애의 심리적사회적 충격」, 한국뇌성마비복지회 역, 을유문화사, 1998.
* 보건복지부「보건복지백서 2000년도」,보건복지부.2000,10.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0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보고서」2001, 1.
* 오혜경, “장애인자립생활실천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리뷰>제3집, 카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1999.
* 정종화 번역(1998) 자립생활 프로그램 매뉴얼Human Care Association, Tokyo Japan.
* 정종화(2000), 중증장애인의 지역자립생활 지원방안, 재활소식 제257호, (910월호), P.15-21
* 鄭鍾和, 中西, 中原, Self Managed Care HandbookHuman Care 協會, 2000.3, Tokyo.
* 鄭鍾和, "カナダスウェデンの障害者介助サビスモデル硏究", 月刊 協同の發見 第97號,P.26-39, 2000, Tokyo.
* Jeong Jong-Hwa(2000),Self-Managed Care Handbook, Human Care Association, Tokyo Japan.
* jeong, Maruyama「自薦登錄ヘルバ制度の實態調査」Human Care 協會, 1999, Tokyo.
*森和子「アメリカにおけるIL運動とリハビリテション法」障害者問題硏究27號 P.72-77,1981, Tokyo.
* 安積純子, 尾中文哉, 岡原正幸, 立岩眞也著,「生の技法」, 藤原書店,1995年5月,p.366
* 池田孝一「第一若胸の家20周年記念誌」第一若胸の家, 1998, Tokyo.
*定藤丈弘「障害者と社會參加-機會平等の現實(アメリカと日本)-」部落解放硏究所, 1994.
* 「ノマライゼェションの現在-當事者決定の倫理-」現代書館, 1992.Tokyo.
Adolf D. Ratzka(1997), Independent Living and attendant care in sweden; A consumer perspectiveGendaishyokan, Tokyo japan.
Wolfensberger, W. (1983). “Social Role Valorisation: A Proposed New Term for the Principle of Normalisation”, Mental Retardation, vol.21, no.6, pp.234- 9.
Wolfensberger, W. (1989). “Human service policies: The rhetoric versus the reality”, in Barton, L. (ed.) Disability and Dependency. London: Falmer Press.
Gerbon Dejong (Independent Living & Disability in the Netherlands: Three Models of Residential Care & Independent Living, World Rehabilitation Fund, Report #27, New York, 1984.
추천자료
장애인의 독립생활에 관한 고찰
장애인복지관의 지역사회중심센터로의 변화 모색
[장애][장애인][장애발생원인][장애유형][장애인 현황][장애인 생활실태][장애인복지][장애인...
장애인생활시설에 대하여
미혼모의 자립 생활 능력 배양 프로그램
지역사회 지적장애인 재활 개입 사례
생활체육 대상에 따라 영역을 분류하시오, 생활체육 대상 _ 유아,아동,청소년,성인,장애인
[가족스트레스, 가족생활주기]가족의 개념, 가족의 기능, 가족과 가족스트레스, 가족과 가족...
실생활 가운데서 장애들이 힘들었던 점과 창의적인 장애인 정책이나 서비스 제안
지역사회복지 이념 중 정상화 이념을 설명하고 장애인의 경우 이 이념 실천이 중요한 이유와 ...
지역사회복지기관 프로그램 분석 및 평가 - (사)장애인부모회 화성지부
장애인 복지를 위하여 가장 시급한 복지사업은 무엇인지 지역사회 측면에서 서술.
장애인생활시설 해든솔 - 사회복지현장실습, 실습기관분석 PPT자료
우리나라 장애인 이용시설과 생활 시설의 서비스 현황,장애 개념과 장애인 복지 패러다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