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본문내용
우리나라는 1989년 고용평등법의 제2차 개정시 “현존하는 차별을 해소하기 위하여 국가, 지방자치단체 또는 사업주가 잠정적으로 특정성의 근로자를 우대하는 조치를 취하는 것을 차별로 보지 아니한다”라고 규정함으로써 여성고용차별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잠정적으로 여성을 우대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한 바 있다(김엘림, 1990). 실제로 제한된 의미의 적극적 조치로서 여성공무원 채용목표제, 관리직 여성공무원 임용목표제, 공기업 여성채용 인센티브제 등이 실시된 바 있지만 이와 같이 공공부문에 한정된 할당제의 파급력은 미미한 형편이다(김유경, 2001). 현재 거의 시정되고 있지 못한 간접차별의 예방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적극적 조치 실행을 위해 미국의 계약준수제와 같이 국가와 계약을 체결하고자 하는 사기업까지 고용평등이행계획서를 제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적극적 조치는 기존 보수 세력이 구축한 사회구조의 틀을 깨는 가장 효과적이고 진보적인 정책이다. 비록 계약준수제를 통한 적극적 조치의 실시가 여성과 같이 명백하고 주된 차별의 대상에 한정되어 실시된다 하여도, 궁극적으로 인적자원관리의 합리화와 공정성 확보를 통해 고령자나 장애인, 학벌이나 출신지역, 고용지위에 따른 차별 역시 추가적으로 시정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적극적 조치의 실효성 있는 실행을 위해서는 사용자에 대한 사전 홍보와 교육, 제출된 고용평등이행계획의 심사와 현장조사 등 필수적인 업무 확대에 대비하기 위해 관련 정부(노동부) 조직의 개편과 인력보강이 필수적이다. 현재 추진중인 고용평등촉진에관한법률 안에 이러한 내용이 충분히 반영되어 노동부가 충분한 인력과 자원을 가지고 기업에 컨설팅과 통계자료확보 같은 기술적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참고 문헌
김경희, 2002. “남녀고용평등과 적극적 조치의 정치: 미국 AT&T 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엘림, 1990. 『남녀고용평등법 시행 10년의 성과와 과제』,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김유경, 2001, “성에 근거한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석사학위논문.
김태홍, 이승길, 김미경, 2003, 『정부조달계약 인센티브제도 도입 및 실효성 제고방안 연구』 여성부 정책연구보고서.
이승욱, 2003, “여성고용에서의 간접차별에 대한 실효적 규제를 위한 법적 규율”
『노동법학』17.
이주희, 2003, “여성관리직 진출기업의 특성: 인적자원관리 관행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7:5.
이주희, 전병유, Jane Lee, 『유리천장 깨기?: 여성관리직의 일과 삶(가제)』한울출판사에서
출판 예정.
정영숙, 2003. “고용상의 간접차별, 어떻게 판단하고 대응할 것인가”에 대한 토론문.
제 8회여성주간 기념토론회 자료집. 한국여성단체협의회.
한국여성민우회, 1997, 『왜 차별을 이야기 하는가?』 5대그룹 대졸여성 승진실태에
관한 토론회 자료집.
Altonji, Joseph G. and Rebecca M. Blank, 1999. "Race and Gender in the Labor Market," in Handbook of Labor Economics Vol. 3. eds., O. Ashenfelter and D. Card. Amsterdam: Elsevier Science B. V.
Coate, Stephan and Glenn Loury, 1993. "Antidiscrimination Enforcement and the Problem of Patronizing," American Economic Review. 83:2.
Holzer, Harry J. and David Neumark, 2000. "What Does Affirmative Action Do?"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Review, 53:2.
Kelly, Erin and Frank Dobbin, 1998. "How Affairmative Action Became Diversity
Management: Employer Response to Antidiscrimination Law, 1961 to 1996."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1:7.
Kendal, William L. 1995, "Affirmative Action and the Glass Ceiling: Contract
Compliance and Litigation Avoidance" Employee Relations L. J. 21:2.
Leonard, Jonathan S. 1984. "Employment and Occupational Advance under
Affirmative Action,"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6:3.
Pineda, Julian, 1983. "Policy Issues in Federal Contract Compliance: The Executive
Order Program and Affirmative Action,"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U.S. Department of Labor, 1998. Federal Contract Compliance Manual (FCCM)
U.S. General Accounting Office. September 1995,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DOL Contract Compliance Reviews Could Better Target Federal Contractors. Report to Congressional Requesters.
U.S. House of Representatives, Committee on Education and Labor, 1987. "A Report of the Civil Rights Enforcement Activities of the Office of Federal Contract".
적극적 조치는 기존 보수 세력이 구축한 사회구조의 틀을 깨는 가장 효과적이고 진보적인 정책이다. 비록 계약준수제를 통한 적극적 조치의 실시가 여성과 같이 명백하고 주된 차별의 대상에 한정되어 실시된다 하여도, 궁극적으로 인적자원관리의 합리화와 공정성 확보를 통해 고령자나 장애인, 학벌이나 출신지역, 고용지위에 따른 차별 역시 추가적으로 시정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적극적 조치의 실효성 있는 실행을 위해서는 사용자에 대한 사전 홍보와 교육, 제출된 고용평등이행계획의 심사와 현장조사 등 필수적인 업무 확대에 대비하기 위해 관련 정부(노동부) 조직의 개편과 인력보강이 필수적이다. 현재 추진중인 고용평등촉진에관한법률 안에 이러한 내용이 충분히 반영되어 노동부가 충분한 인력과 자원을 가지고 기업에 컨설팅과 통계자료확보 같은 기술적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참고 문헌
김경희, 2002. “남녀고용평등과 적극적 조치의 정치: 미국 AT&T 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엘림, 1990. 『남녀고용평등법 시행 10년의 성과와 과제』,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김유경, 2001, “성에 근거한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석사학위논문.
김태홍, 이승길, 김미경, 2003, 『정부조달계약 인센티브제도 도입 및 실효성 제고방안 연구』 여성부 정책연구보고서.
이승욱, 2003, “여성고용에서의 간접차별에 대한 실효적 규제를 위한 법적 규율”
『노동법학』17.
이주희, 2003, “여성관리직 진출기업의 특성: 인적자원관리 관행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7:5.
이주희, 전병유, Jane Lee, 『유리천장 깨기?: 여성관리직의 일과 삶(가제)』한울출판사에서
출판 예정.
정영숙, 2003. “고용상의 간접차별, 어떻게 판단하고 대응할 것인가”에 대한 토론문.
제 8회여성주간 기념토론회 자료집. 한국여성단체협의회.
한국여성민우회, 1997, 『왜 차별을 이야기 하는가?』 5대그룹 대졸여성 승진실태에
관한 토론회 자료집.
Altonji, Joseph G. and Rebecca M. Blank, 1999. "Race and Gender in the Labor Market," in Handbook of Labor Economics Vol. 3. eds., O. Ashenfelter and D. Card. Amsterdam: Elsevier Science B. V.
Coate, Stephan and Glenn Loury, 1993. "Antidiscrimination Enforcement and the Problem of Patronizing," American Economic Review. 83:2.
Holzer, Harry J. and David Neumark, 2000. "What Does Affirmative Action Do?"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Review, 53:2.
Kelly, Erin and Frank Dobbin, 1998. "How Affairmative Action Became Diversity
Management: Employer Response to Antidiscrimination Law, 1961 to 1996."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1:7.
Kendal, William L. 1995, "Affirmative Action and the Glass Ceiling: Contract
Compliance and Litigation Avoidance" Employee Relations L. J. 21:2.
Leonard, Jonathan S. 1984. "Employment and Occupational Advance under
Affirmative Action,"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6:3.
Pineda, Julian, 1983. "Policy Issues in Federal Contract Compliance: The Executive
Order Program and Affirmative Action,"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U.S. Department of Labor, 1998. Federal Contract Compliance Manual (FCCM)
U.S. General Accounting Office. September 1995,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DOL Contract Compliance Reviews Could Better Target Federal Contractors. Report to Congressional Requesters.
U.S. House of Representatives, Committee on Education and Labor, 1987. "A Report of the Civil Rights Enforcement Activities of the Office of Federal Contract".
추천자료
여성 노동자의 현실과 여성 노동정책방향☆
한국 여성정책 발전을 위한 영국과 스웨덴 여성정책 내용비교 및 정부역할
여성인권의 글로벌 스탠더드와 여성근로자의 경제활동 증진을 위한 방안모색
[모성보호][모성보호제도][여성정책][육아휴직][산전후휴가][모성보호 사례][여성]모성보호의...
여성의 사회진출과 여성복지
양성평등을 위한 적극적 조치 및 성평등 정책 - 여성발전기본법, 유엔여성차별철폐협약, 성 ...
[노동시장 통계][여성노동자 통계][비정규직 통계][노사관계 통계][산재 산업재해 통계]노동...
여성과 법 (여성복지관련법)
여성과 법 [여성복지 관련법 가정폭력방지법]
여성복지론 - 여성의 성과 성차별문제(성에 관한 개념들, 성차에 대한 관점들, 성차별문제)
여성복지론 (여성의 경제활동, 불평등, 정책)
[성사랑사회 D형] 여성이 하는 많은 일들이 사회적으로 정당한 인정을 받기 어려운 이유는 무...
2017 성사랑사회A형] 한국사회에서 일하는 여성이 겪는 어려움 가운데 여성이라서 겪게되는 ...
다양한 여성복지 관련 이슈 중(강의 주제 중 선택) 언론보도를 통해 대중에게 이슈가 되었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