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인천 신공항 3층의 지도와 3층화장실의 평면도
- 진입공간
- 통론
- 화장실 부스
- 장애인 화장실
- 세면부스와 파우더공간
- 기타 공간 또는 용품
2. 인체 치수에 따른 인천 신공항 화장실 분석
- 물내림 버튼
- 수전
- 화장실 문패턴 및 핸드레일 설치 화장실
- 사용중 인식 장치
- 사용자 수에 따른 화장실 설계
- SYMBOL
3. 인지적측면에 따른 인천 신공항 화장실 분석
II. 본론
1. 인천 신공항 3층의 지도와 3층화장실의 평면도
- 진입공간
- 통론
- 화장실 부스
- 장애인 화장실
- 세면부스와 파우더공간
- 기타 공간 또는 용품
2. 인체 치수에 따른 인천 신공항 화장실 분석
- 물내림 버튼
- 수전
- 화장실 문패턴 및 핸드레일 설치 화장실
- 사용중 인식 장치
- 사용자 수에 따른 화장실 설계
- SYMBOL
3. 인지적측면에 따른 인천 신공항 화장실 분석
본문내용
이 같은 은색계열로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자동 수전 에 대한 인지도가 낮아서 처음 써보시는 할머니들은 무척 어려워하셨다. 그리고 실제로 물을 사용하기 위해서 물비누 버튼을 수도꼭지로 착각하고 자꾸 눌러서 물비누 버튼이 고 장이 많이 났다고 관리하시는 아주머니께서 말씀해 주셨다. 그래서 비교적 인지하기 쉬운 물비누 박스를 세면대 벽쪽에 설치하였다.
③ 화장실 문 패턴 및 핸드레일 설치 화장실
화장실 부스의 문은 시각적으로는 깔끔한 느낌을 준다. 그런데 화장실문과 문이 아닌 벽 부분이 전혀 구분이 안 되어서 특히 할머니분들은 어느 부분이 문인지 혼란스러워 하셨 다. 그리고 각 화장실마다 맨 안쪽 화장실 부스에만 핸드레일이 달려 있었다. 이는 노약자 를 위한 설치일텐데도 화장실문에는 핸드레일이 설치되어 있다는 표시가 없었다.
④ 사용 중 인식 장치
공항 화장실의 사용 중 인식 장치는 문 손잡이 부분에 작게 붙어 있어서 인지하기에 어려 웠다. 문 패턴 때문에 문과 벽이 잘 구분이 안 되는 데다가 사용 중 인식 장치도 인지하 기에 어려워서 이용객들은 일일이 문을 밀어 보아야 했다.
⑤ 사용자 수에 따른 화장실 설계
인천 공항 3층은 출국장이다. 화장실은 적정 거리마다 균일하게 배치되어 3층에만 총 10개 의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화장실마다 이용객의 수가 차이가 난다. 구석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화장실에는 그다지 이용하는 사람이 많지 않다. 그리고 출국 절차를 밟는 곳에는 화장실 이용객수가 많았다. 미리 계획 단계에서 이용객이 많은 곳에는 좀더 많은 화장실 부스를 설치했더라면 더 이용에 편리했을 것이다.
⑥Symbol
화장실 표시 심볼은 인지하기 쉽게 디자인되어 있었다. 남자와 여자의 표시가 잘 구분이 되었고 장애인 화장실이 설치된 곳에는 남자, 여자 심볼 옆에 함께 표시해 주어서 인지하 는데 어려움이 없었다. 다음은 잘된 심볼들의 예이다. 공항의 심볼도 이와 거의 유사했다.
III. 결론
지금까지 인천 신공항의 화장실에 대하여 인체치수와 인지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인체치수적으로 기준이 되는 치수와 인천 신공항의 화장실의 실측 치수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대부분이 기본적으로 최소 치수에는 만족하지만 여유치수가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 인지적 측면에서 살펴 본 결과 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공간에 대해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하는 디자인 요소가 많이 결여되어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인천 신공항의 화장실을 위생적으로 깨끗하고 깔끔한 마감 처리로 인하여 고급스러운 화장실의 분위기를 연출하여, 우리나라의 대외적 이미지에 좋을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디자인 되었다. 그리고 화장실에서 갖추어야할 기본적인 구성요소 외에 아기 기저기 가는 곳, 파우더 실 등의 부차적인 요소까지도 고려되어 공항 화장실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외적인 디자인 요소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화장실의 사용자인 인간의 측면에서 평가해 보았을 때, 앞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모든 면에서 만족한 디자인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점에서 대안을 찾아볼 수 있었다.
- 공항 화장실은 사용자가 여행객이라는 것을 착안하여 디자인 되어야 한다. 즉 공간의 치수를 도입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에게 더하는 여유치수가 다른 공간보다 더 많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인천 신공항 화장실의 각 공간의 치수는 대부분이 최소 치수를 사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화장실의 부스 크기나 화장실 변기 뒤쪽의 물품 선반은 지금의 치수보다 더 크게 디자인 되어야 한다.
- 각각의 변기와 세면대 등 물품 치수는 전체가 동일했고 이는 인간공학적인 치수에 맞추 어서 제작되었음을 확인했다. 그러나 부착하고 시공할 때 인간공학적인 측면의 이해가 적 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면 휴지걸이나 에티켓 벨이 어떤 화장실에는 왼쪽에 또 어 떤 화장실에는 오른쪽에 달려 있었다. 또 핸드레일도 오른쪽에 달린 곳과 왼쪽에 달린 곳 이 혼재했다. 이는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불편함을 줄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다시 고려되어야 한다.
- 공항이라는 특성상 여러 번 와서 익숙해지는 사람들보다는 한 두번 이용해보는 사람들 이 빠르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배려를 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문 패턴으로 인해서 문을 잘 인식하지 못하고, 물 버튼 또한 쉽게 알아 볼 수가 없었고, 수전 역시 인지하기에 어려웠다. 이런 혼란을 야기시키는 부분에 누구든지 알아볼 수 있는 그림 표지를 제작해서 붙여야 할 것이다.
- 인천 신공항 화장실에는 ‘한국적인’ 요소를 찾아볼 수 있는 것이 하나도 없었다. 여러 나 라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항이므로 한국적 이미지를 강조하는 액세서리나 음향 등을 이용해 한국을 홍보할 수 있는 공간으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인천국제공항이 기존의 다른 시설물에 비하여 보다 과학적인 치수를 도입하여디자인 되어있을 거라고 생각했으나, 장애인 화장실에 대한 고려가 다른 곳보다 잘 되어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기대했던 것보다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는 점에서 매우 아쉬웠다. 공항 뿐 만 아니라 공간의 특성이 분명한 곳의 디자인에 있어서 그 공간이 만족시켜야할 목적이 디자인에 충분히 반영되어야 그 공간의 질적인 측면이 더욱 부각되는 동시에 사용자인 인간에게 더 큰 만족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다시한번 느낄 수있던 기회였다.
참고 문헌
-정광섭 1997, 화장실 공간의 계획.설계 지침에 관한 소고 1,2
-한국 화장실 문화 협의회 2000.12.아름다운 작은 공간 (아름다운 화장실 설계 자료집) - 화장실 문화 협의회
-Zeinik 저, 최상헌 역, 1991 인체치수와 실내 공간, 대우 출판사
-잡지 ca2001년 3월호 특집기사 “인천 신공항”
-Joseph De chiara 외 2명 1991, “time-saver standards for interior design and space planning", McGraw-hill .Inc
-“Archtectual graphic standards" John wiley & Sons.Inc
-www.airport.or.kr
③ 화장실 문 패턴 및 핸드레일 설치 화장실
화장실 부스의 문은 시각적으로는 깔끔한 느낌을 준다. 그런데 화장실문과 문이 아닌 벽 부분이 전혀 구분이 안 되어서 특히 할머니분들은 어느 부분이 문인지 혼란스러워 하셨 다. 그리고 각 화장실마다 맨 안쪽 화장실 부스에만 핸드레일이 달려 있었다. 이는 노약자 를 위한 설치일텐데도 화장실문에는 핸드레일이 설치되어 있다는 표시가 없었다.
④ 사용 중 인식 장치
공항 화장실의 사용 중 인식 장치는 문 손잡이 부분에 작게 붙어 있어서 인지하기에 어려 웠다. 문 패턴 때문에 문과 벽이 잘 구분이 안 되는 데다가 사용 중 인식 장치도 인지하 기에 어려워서 이용객들은 일일이 문을 밀어 보아야 했다.
⑤ 사용자 수에 따른 화장실 설계
인천 공항 3층은 출국장이다. 화장실은 적정 거리마다 균일하게 배치되어 3층에만 총 10개 의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화장실마다 이용객의 수가 차이가 난다. 구석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화장실에는 그다지 이용하는 사람이 많지 않다. 그리고 출국 절차를 밟는 곳에는 화장실 이용객수가 많았다. 미리 계획 단계에서 이용객이 많은 곳에는 좀더 많은 화장실 부스를 설치했더라면 더 이용에 편리했을 것이다.
⑥Symbol
화장실 표시 심볼은 인지하기 쉽게 디자인되어 있었다. 남자와 여자의 표시가 잘 구분이 되었고 장애인 화장실이 설치된 곳에는 남자, 여자 심볼 옆에 함께 표시해 주어서 인지하 는데 어려움이 없었다. 다음은 잘된 심볼들의 예이다. 공항의 심볼도 이와 거의 유사했다.
III. 결론
지금까지 인천 신공항의 화장실에 대하여 인체치수와 인지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인체치수적으로 기준이 되는 치수와 인천 신공항의 화장실의 실측 치수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대부분이 기본적으로 최소 치수에는 만족하지만 여유치수가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 인지적 측면에서 살펴 본 결과 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공간에 대해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하는 디자인 요소가 많이 결여되어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인천 신공항의 화장실을 위생적으로 깨끗하고 깔끔한 마감 처리로 인하여 고급스러운 화장실의 분위기를 연출하여, 우리나라의 대외적 이미지에 좋을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디자인 되었다. 그리고 화장실에서 갖추어야할 기본적인 구성요소 외에 아기 기저기 가는 곳, 파우더 실 등의 부차적인 요소까지도 고려되어 공항 화장실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외적인 디자인 요소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화장실의 사용자인 인간의 측면에서 평가해 보았을 때, 앞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모든 면에서 만족한 디자인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점에서 대안을 찾아볼 수 있었다.
- 공항 화장실은 사용자가 여행객이라는 것을 착안하여 디자인 되어야 한다. 즉 공간의 치수를 도입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에게 더하는 여유치수가 다른 공간보다 더 많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인천 신공항 화장실의 각 공간의 치수는 대부분이 최소 치수를 사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화장실의 부스 크기나 화장실 변기 뒤쪽의 물품 선반은 지금의 치수보다 더 크게 디자인 되어야 한다.
- 각각의 변기와 세면대 등 물품 치수는 전체가 동일했고 이는 인간공학적인 치수에 맞추 어서 제작되었음을 확인했다. 그러나 부착하고 시공할 때 인간공학적인 측면의 이해가 적 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면 휴지걸이나 에티켓 벨이 어떤 화장실에는 왼쪽에 또 어 떤 화장실에는 오른쪽에 달려 있었다. 또 핸드레일도 오른쪽에 달린 곳과 왼쪽에 달린 곳 이 혼재했다. 이는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불편함을 줄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다시 고려되어야 한다.
- 공항이라는 특성상 여러 번 와서 익숙해지는 사람들보다는 한 두번 이용해보는 사람들 이 빠르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배려를 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문 패턴으로 인해서 문을 잘 인식하지 못하고, 물 버튼 또한 쉽게 알아 볼 수가 없었고, 수전 역시 인지하기에 어려웠다. 이런 혼란을 야기시키는 부분에 누구든지 알아볼 수 있는 그림 표지를 제작해서 붙여야 할 것이다.
- 인천 신공항 화장실에는 ‘한국적인’ 요소를 찾아볼 수 있는 것이 하나도 없었다. 여러 나 라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항이므로 한국적 이미지를 강조하는 액세서리나 음향 등을 이용해 한국을 홍보할 수 있는 공간으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인천국제공항이 기존의 다른 시설물에 비하여 보다 과학적인 치수를 도입하여디자인 되어있을 거라고 생각했으나, 장애인 화장실에 대한 고려가 다른 곳보다 잘 되어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기대했던 것보다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는 점에서 매우 아쉬웠다. 공항 뿐 만 아니라 공간의 특성이 분명한 곳의 디자인에 있어서 그 공간이 만족시켜야할 목적이 디자인에 충분히 반영되어야 그 공간의 질적인 측면이 더욱 부각되는 동시에 사용자인 인간에게 더 큰 만족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다시한번 느낄 수있던 기회였다.
참고 문헌
-정광섭 1997, 화장실 공간의 계획.설계 지침에 관한 소고 1,2
-한국 화장실 문화 협의회 2000.12.아름다운 작은 공간 (아름다운 화장실 설계 자료집) - 화장실 문화 협의회
-Zeinik 저, 최상헌 역, 1991 인체치수와 실내 공간, 대우 출판사
-잡지 ca2001년 3월호 특집기사 “인천 신공항”
-Joseph De chiara 외 2명 1991, “time-saver standards for interior design and space planning", McGraw-hill .Inc
-“Archtectual graphic standards" John wiley & Sons.Inc
-www.airpor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