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관계의 위기) 이혼과 부부 폭력, 외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부부관계의 위기

1. 이혼
· 이혼통계 및 원인
· 이혼의 적응과 부부관계

2. 부부간 폭력
· 부부간 폭력에 대한 통계
· 부부간 폭력의 원인과 영향
· 적응과제

3. 외도
· 외도 관련 통계 및 원인
· 외도의 원인과 영향
· 위기극복 전략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관계를 통해 대신하는 욕
구가 높다. 양다진(2004)의 연구에서는 바람을 피우는 여성의 74%가 외도 이유로
시집과의 갈등, 경제적 이유 등 '결혼생활 불만족'을 꼽았으며, 성관계에 대한 불
만족(73.2%), 여성 본인의 개인적인 도덕성(26.0%),충동성(25.6%)도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남성은 여성 응담자와 달리 뚜렷하게 세분화된 이유가 없었다. 외도 이
유에는 남녀 차이가 있는데 남성은 성적 파트너를, 여성은 마음의 친구를 찾기 위
해 의도하며, 여성은 그들의 외도가 사랑이라고 믿으며 괴로워하는 반면, 남성은
사랑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즐긴다고 한다(Spring & Spring, 1993).
그러나 외도는 신경조직과 인지기능의 변화 등 배우자의 생리적인 기능에 영향
을 미친다. 또 배우자의 자아개념, 자존감, 종교적인 신념, 타인과 연결된 느낌 , 세
계에 대한 기본적인 질서의식이나 정의감, 목적성 등 다양한 심리적 기능에도 명
향을 미친다. 특히 나 자신이 누구인지 혼란이 오며, 배우자에게 강한 배신감을 느
끼기도 한다. 또 외도에 대한 반응도 남녀 차이가 나타나는데, 여성은 관계를 지키
려고 노력하는 반면, 남자는 뒤돌아 도망가기를 원한다. 또 남성은 화를 내고 스스
로 갈피를 못 잡는 반면, 여성은 우울해지며 고민한다. 그리고 외도대상에 대해서
도 여성은 동료로서 부적절했다고 느끼지만, 남성은 애인으로서 부적절했다고 느
낀다(Sphng & Spring, 1993).
-위기극복 전략
혼외관계는 부부관계의 신뢰감에 치명적이며 이혼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그러
나 많은 부부는 위기를 잘 극복하고 더 나은 부부관계로 발전되기도 한다(Davis,
2001). 한쪽 배우자가 외도한 후 재결합을 원하는 부부를 위한 3단계 극복과정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Spring& Spring, 1996).
첫째, 감정에 상처를 받는 것이 정상이라는 것을 인정하는 과정이다. 배우자의
외도가 드러나면 정서적으로 참을 수 없게 되고, 상실감을 느끼게 된다. 외도한 파
트너는 선택과 정서적 갈등을 극복해야 한다. 이 단계에서는 자신의 감정을 상대방
에게 이야기함으로써 자신이 미쳤거나 불안정한 정서상태가 아님을 재확인하고,
자신뿐만 아니라 상대방도 같이 고통과 혼란을 경험한다는 것을 아는 과정이다.
둘째, 다시 합칠지 아니면 관계를 끝낼지 결정하는 과정이다. 상처받은 배우자
는 감정이 안정되기 전에 자신이 관계를 어떻게 할지 양가감정에 직면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선택을 고려하고 자신이 처한 환경과 욕구에 기초해 신중하게 결정
해야한다. '사랑을 통해 내가 기대했던 것은 무엇이었나? '내 감정을 믿어야 할
것인가? '내 파트너가 나에게 맞는 사람이라고 어떻게 말할 수 있는가' 등의 질
문을 던져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셋째, 관계를 새롭게 세우는 단계이다. 관계가 회복되기를 원한다면, 다시 신뢰
감과 친밀감을 회복하도록 오랜 기간 노력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몇 가지 중
요한 방법이 있다. 외도의 의미를 다시 설정하고 외도에 대한 책임감을 함께 공유
하며 받아들이기, 외도대상과 결별하기, 외도한 배우자는 다시 신뢰감을 얻도록 노
력하고 상대방은 신뢰감을 다시 얻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이야기하기,상
처받은 상대방의 말을 듣고 고통을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이야기하고 대
화할 때 개방적이 되도록 격려하기, 초기 인생 경험에서 서로 어떻게 상처받아 왔
는지, 그리고 그러한 경험이 현계 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인식하기, 현재
서로 사랑하지 않는다고 느낄지라도 관계를 회복할 수 있게 서로 차이와 불만을
잘 다루기, 성적으로 다시 친밀감 회복하기, 자신과 배우자를 용서하는 과정을 거
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종합해 보면, 외도 후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우선 모든 정서적 반응이
매우 정상적인 과정이라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하며, 감정을 표현하고 원한다면
상대방에게 외도에 대해 질문하는 것도 중요한 과정이다. 그러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정은 산책, 식사, 영화보기 등을 함께 하면서 의도적으로
함께하는 시간을 마련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유계숙 외(2007). 가족정책론. 서울: 시그마프레스
-설동훈(2006).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인식
-김태길(2002). 세대의 차이와 가치관의 차이
-전귀연(2006). 형제관계. 서울: 신정
-정현숙(2007). 가족생활교육. 서울: 신정
-함인희(2003). 사회구조적 변화와 가족의 적응과 저항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5.18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82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