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과 소비문화) 유행의 정의와 소비자, 유행소비의 원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유행과 소비문화

Ⅰ. 유행의 정의

Ⅱ. 유행과 소비자

1. 유행의 특성
2. 유행의 단계 및 유행수용과정

Ⅲ. 유행소비의 원인

1. 밴드웨건 효과
2. 계획적 진부화
3. 유행을 좇는 심리
4. 유행의 긍정적 · 부정적 측면
5. 유행 소비에 대한 전망
1) 친환경 소비
2) 평품 소비
3) 가족적 소비
4) 보수적인 소비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코백은 장바구니에 디자인 감각을 입혀서 소비자들에게 패
션으로 다가섰을 뿐만 마니라 환경보호에 공헌하고 있다는 소비자의 자기만족감까지
자극하는데 성공하여 크게 유행한 친환경제품이다.
(2) 명품 소비
불황으로 인해 우울한 사람들의 심기를 굳이 명품과시로 자극하고 싶지 않은 심리에
따라 '보이지 않는 부', '차분한 명품'과 같은 신조어가 등장하고 있다. 명품을 애용하더
라도 너무 요란하거나 명품임을 한껏 티내는 제품보다는 차분하고 편리하며 실용적인
럭셔리 소비가 유행할 전망이다. 루이비통이나 구찌처럼 독특한 로고로 인해 누구나 알
수 있는 명품보다는 '입생로랑'처럼 특징이 강하게 드러나지 않는 차분한 브랜드가 더
욱 사랑을 받을 전망이다.
또한 소비심리가 한껏 억제된 상황에서도 약간의 사치로 마음의 위안을 얻으려는 경
향은 여전히 늘어날 것이다. 특히 결은 층을 중심으로 자신의 개성을 드러낼 수 있는 제
품에 대해서는 여전히 지갑을 열게 되는 것이다. 불황이어도 내 스타일을 포기할 수 없는
20-30대 젊은 층을 중심으로 디지털가전과 패션제품 역시 지속적인 인기를 끌 것이다.
(3) 가족적 소비
불황기에는 가족과 함께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고 가족의 소중함을 절감하는
사람이 늘어남에 따라 가족의 가치를 강조하는 상품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불황에도 가족을 위한 소비는 즘처럼 줄지 않을 전망이며, 가족과 함께하는 여가를 위
한 제품이 더욱 유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닌텐도 위(Will)는 온 가족이 즐기는
콘셉트의 성공으로 매출이 증가했고,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4) 보수적인 소비
불황이라고 무조건 소비가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경기가 좋을 때는 좋은 대로, 나쁠
때는 나뿐 대로, 소비는 활발하게 일어난다. 불황기에는 가격보다 오히려 브랜드 이미
지나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더 중시된다고 한다. 물론 가격이 구매결정에 가장 중요한
조건이지만, 품질이 보장되지 않는 물건을 싸다고 무조건 좋아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무조건 괌 것보다는 믿을 수 있는 브랜드 제품을 위주로 구매하는 보수적인 소비성향이
유행할 전망이다. 특히 멜라민 파동처럼 중국산 식품문제가 불거지게 되어 원산지 표시,
환경, 안전성 문제를 중요하게 여기며 더욱 믿을 수 있는 제품을 선호하게 될 것이다.
이처럼 유행을 따르는 소비는 소비자 개개인의 가치관과 특성의 문제와 관련되기 때
문에, 좋다 나쁘다라고 판단을 내릴 수는 없을 것이다. 유행만을 따르는 소비는 자칫
몰 개성화를 초래할 수 있지만,또 구시대적 발상에서 벗어나고 심리적인 만족감을 갖
게 한다는 면에서는 긍정적인 면도 보이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유행에 따라 소비할
때에도 소비자가 얼마나 합리적인 소비를 하느냐는 것이다.
소비자는 유행을 따라 소비할 때에도 자신이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가 무엇인지 우선
순위를 매겨 꼼꼼하게 따지는 절차를 걸친 후소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만약 그렇지 않
고 시대에 뒤떨어지지 않기 위해, 또는 단순히 남들에게 동조하는 심리로 인해 충동적
으로 소비한다면, 그 후에 후회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즉, 유행을 따를 때에도 적어
도 세 번 이상 생각하고 소비하는 것이 후회 없는 바람직한 소비가 되는 것이고, 바람직
한 소비문화를 형성하는 바탕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LG경제연구원(2010), 2010 대한민국 트렌드
-김경훈(2009). 트랜드 워칭. 리더스 북
-김난도(2007). 럭셔리코리아. 서울: 미래의 창
-구정화(2009). 퍼센트경제학. 경기: 해냄출판사
-박명희(2002). 소비자의사결정론. 경기: 학현사
-박정자(2006). 로빈슨 크루소의 사치. 기파랑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5.18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82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