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브랜드 네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글로벌 브랜드 네임

- 세계화의 문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맥도널드 샌드위
치가 담고 있는 미국적 느낌은 라틴 아메리카나 심지어 몇몇 아시아 시장에서는 동경
의 대상이지만, 유럽에서는 분노를 일으키고, 미국의 음식 문화 제국주의에 대한 불만
을 불러일으킬 것이 확실하다."
세계에서 커피를 가장 많이 마시는 핀란드인들은 일년에 1인당 평균 약 160 리터
의 커피를 소비한다. 제너럴 푸드 사는 핀란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콜롬비아와 동아
프리카. 인도네시아 커피 열매를 혼합하여 만든 자사의 스웨덴 커피 브랜드 "제발리
아"를 출시하고 그 라벨에 "스웨덴 국왕 페하와 왕실을 위하여"라고 표기했다. 그러
나 이 거대 기업의 시장 진출은 "Paulig"라는 수십년 된 로컬 브랜드에 의해 좌초되었
다. 핀란드가(1809년까지) 거의 700년 동안 스웨덴의 식민지였다는 사실도 이러한 실
패와 연관되어 있을 것이다. 어됐든 헬싱키에는 보편적 메시지를 담은 표준화된 커피
제품을 위한 자리는 없었다. 국내 양조업 브랜드인 "Paulig"가 계속해서 50%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유지하며 위력을 떨쳤다.
켈로그는 오랜 전통의 자랑스러운 시리 얼 이름이다. 인도는 아침식사로 매운 음식
을 선호하는데 왜냐하면 열이 에너지를 준다고 믿기 때문이다. 결국 켈로그는 인도에
서 참패하고 만다. 아시아 전역에 "럭스(Lux)"를 판매한 유니레버사는 데미 무어와
브룩 쉴즈가 출연하는 광고를 통해 자사의 브랜드를 홍보했다. 그런데 "럭스"는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가? 인도네시아에서 그것은 비누를 의미한다. 중국, 대만, 필리핀에서
그것은 샴푸이다. 일본에서 그것은 비누에서 샴푸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의미한다.
바로 이것이 획일적인 세계화의 문제이다. 취향과 선호대상, 사람들이 나라마다 다르
기 때문이다. 어떤 곳이든 차별화할 수는 있다. 그러나 같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모든
곳을 차별화할 수는 없는 것이다.
우리는 세계화가 외국의 생활태도와 풍습, 감수성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고 더욱 민
감해야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참고문헌
-김상률, ‘브랜드네이밍’. 2007
-스티브 리브킨외, ‘최고의 브랜드 네임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2006
-조혁근. ‘브랜드 성공을 위한 상표관리’. 2002
-알리스, 로라리스. ‘마케팅반란’. 2003
-박준형, ‘브랜드마케팅리포트’. 2002
-노장오, ‘브랜드 워크 아웃, 1998
-헤리백위드. ‘보이지 않는 손길’. 더난 2001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5.19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83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