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세계 시민으로서 알아야 할 문화의 특징
*참고문헌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라기보다 세계인으로서의 정체감을
많이 느끼는 사람도 하나둘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여기서
문화의 구별짓기가 약화되거나 사라질 것이라고 예측한다면 즘 성급
한 판단일 것이다. 과거에는 국가와 국가간의 경계가 문화의 구별짓
기의 기준으로 작용했지만 오늘날에 와서는 새로운 은화의 구별짓기
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미래에는 문화를 아는 사람과 그
렇지 못한 구별짓기가 중요한 사회적인 신분을 측정하는 요소로 작
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과거에 있던 문화의 경계가 사라진
다 할지라도 사람들은 끊임없이 새로운 문화적인 경제를 만들어낸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적인 구별짓기는 인간들이 자신들의 삶을 보다
다양하게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이
미 구별짓기의 기능을 상실한 문화는 어쩌면 더 이상 문화로 간주될
수 없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국 사람들이 오늘날 아무리 맥
도널드나 코카콜라 또는 피자를 즐겨 먹는다 하더라도 그것이 한국
인의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는지는 한번쯤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이다.
다섯째, 문화는 도구이다. 오늘날 한국에 사업차 오는 외국인들은
협상 후 가라오케에 가는 것을 꺼리지 않는다. 또한 한국 사람은 외
국인들에게 가라오케라는 것이 상당히 낮설며 경우에 따라서 싫어한
다는 것을 알면서도 이 관행을 쉽게 버리지 않는다. 피 그랄 그것
은 양쪽 다 도구로서의 문화의 유용성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예
를 들면 한국 사람은 가라오케를 통해서 외국인 파트너와 훨씬 가까
워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인은 함께 일을 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이 상대방을 개인적으로 아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특정한 목적을
둔 일을 통해서 가까워지기보다 오히려 목적이 전혀 없어 보이는 놀
이를 통해서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표면적으로만 보면 가라오케는 한
국인의 외국인을 접대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인식필 수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 있는 기능과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면 가라오케는 외국인
보다 한국인에게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사람들이 특정
한 관습이나 행동 방식을 고집하는 것은 그렇게 하는 것이 당연하다
는 문화적인 코드가 입력되어서 그렇다기보다 오히려 그렇게 함으로
써 생기는 여러 가지 장점에 대한 신뢰가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흔히 문화는 목적이 없는 것처럼 말하지만 오늘날에 와서는 문화
역시 자본주의 사회 발전의 영향으로 상당히 도구화되고 있는 추세
이다. 그러고 한국의 가라오케는 외국인의 입장에서도 한국 문화 그
자체로 인식되기보다 한국인에게 가까이 갈 수 있는 중요한 도구로
이해된다. 혹자는 문화의 도구화 현상을 심히 우려할 수도 있다. 왜
냐하면 경제적인 이해 관계와 관련되지 않는 문화는 점점 사라지고,
우리의 생활, 사고 방식이 철저하게 자본주의적인 논리로 채색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화를 도구로 이해하
는 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문화간의 차이를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에서
극복할 수 없는 대상으로 인식케 하지 않고 오히려 적극적으로 극복
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게 하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다.
*참고문헌
-최윤희 · 김숙현(1997),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서울: 범우사
-Rick, David(1993). Blunders in International business
-구로다 가쓰히로(1995). ‘한국의 세계화를 위한 기본 과제’
-Huntingson, Samuel(1996). ‘문명의 충돌’. 이희재 옮김(2000)
-최재석(1994).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서울: 현음사.
-이현우(1997). ‘현대를 살아가기 위한 갈등 대응 전략’
많이 느끼는 사람도 하나둘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여기서
문화의 구별짓기가 약화되거나 사라질 것이라고 예측한다면 즘 성급
한 판단일 것이다. 과거에는 국가와 국가간의 경계가 문화의 구별짓
기의 기준으로 작용했지만 오늘날에 와서는 새로운 은화의 구별짓기
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미래에는 문화를 아는 사람과 그
렇지 못한 구별짓기가 중요한 사회적인 신분을 측정하는 요소로 작
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과거에 있던 문화의 경계가 사라진
다 할지라도 사람들은 끊임없이 새로운 문화적인 경제를 만들어낸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적인 구별짓기는 인간들이 자신들의 삶을 보다
다양하게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이
미 구별짓기의 기능을 상실한 문화는 어쩌면 더 이상 문화로 간주될
수 없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국 사람들이 오늘날 아무리 맥
도널드나 코카콜라 또는 피자를 즐겨 먹는다 하더라도 그것이 한국
인의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는지는 한번쯤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이다.
다섯째, 문화는 도구이다. 오늘날 한국에 사업차 오는 외국인들은
협상 후 가라오케에 가는 것을 꺼리지 않는다. 또한 한국 사람은 외
국인들에게 가라오케라는 것이 상당히 낮설며 경우에 따라서 싫어한
다는 것을 알면서도 이 관행을 쉽게 버리지 않는다. 피 그랄 그것
은 양쪽 다 도구로서의 문화의 유용성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예
를 들면 한국 사람은 가라오케를 통해서 외국인 파트너와 훨씬 가까
워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인은 함께 일을 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이 상대방을 개인적으로 아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특정한 목적을
둔 일을 통해서 가까워지기보다 오히려 목적이 전혀 없어 보이는 놀
이를 통해서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표면적으로만 보면 가라오케는 한
국인의 외국인을 접대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인식필 수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 있는 기능과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면 가라오케는 외국인
보다 한국인에게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사람들이 특정
한 관습이나 행동 방식을 고집하는 것은 그렇게 하는 것이 당연하다
는 문화적인 코드가 입력되어서 그렇다기보다 오히려 그렇게 함으로
써 생기는 여러 가지 장점에 대한 신뢰가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흔히 문화는 목적이 없는 것처럼 말하지만 오늘날에 와서는 문화
역시 자본주의 사회 발전의 영향으로 상당히 도구화되고 있는 추세
이다. 그러고 한국의 가라오케는 외국인의 입장에서도 한국 문화 그
자체로 인식되기보다 한국인에게 가까이 갈 수 있는 중요한 도구로
이해된다. 혹자는 문화의 도구화 현상을 심히 우려할 수도 있다. 왜
냐하면 경제적인 이해 관계와 관련되지 않는 문화는 점점 사라지고,
우리의 생활, 사고 방식이 철저하게 자본주의적인 논리로 채색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화를 도구로 이해하
는 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문화간의 차이를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에서
극복할 수 없는 대상으로 인식케 하지 않고 오히려 적극적으로 극복
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게 하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다.
*참고문헌
-최윤희 · 김숙현(1997),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서울: 범우사
-Rick, David(1993). Blunders in International business
-구로다 가쓰히로(1995). ‘한국의 세계화를 위한 기본 과제’
-Huntingson, Samuel(1996). ‘문명의 충돌’. 이희재 옮김(2000)
-최재석(1994).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서울: 현음사.
-이현우(1997). ‘현대를 살아가기 위한 갈등 대응 전략’
추천자료
청소년수련시설의 개요와 현황 및 활성화 방안 - 청소년 수련시설의 개요, 필요성, 기본원리,...
(한국사회문제C형)홍익대 청소노동자와 같은 파견노동자의 노동현실 개선방안모색-파견노동자...
[사회복지개론] 노인 문제의 개념과 현황 및 대응 방안(고령화의 진입은 여러가지 노인문제를...
[공연문화][공연문화 대상][공연문화 장소][공연문화 현황][공연문화 문제점][공연문화 활성...
[은행수수료, 은행, 수수료, 은행수수료 구조, 은행수수료 체계, 은행수수료 수익현황, 은행...
방과후학교의 개요, 현황, 방과후학교의 개선방안 - 방과후학교의 개념, 추진배경, 목표, 특...
우리나라 아동복지 시설의 현황과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방안을 논하시오(아동시설의 현황과...
아동복지 실천 대상자별 중 한 분야를 선택해서 개념, 현황, 문제점, 개선방안을 정리하시오 ...
교원 행정업무 부담 현황 분석과 개선 방안 탐색 (연구방법과 분석결과,연구방법,교원 행정업...
지역사회 청소년 수련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 파악과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 (지역사회 청...
노인여가(老人餘暇)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서술하시오 {노인여가의 특성과 현황 및 문제점, ...
[감정노동자 실태와 문제점 해결방안] 감정노동자 - 감정노동자의 특징, 감정노동자 원인, 감...
[도시숲 조성사례] 도시숲의 중요성, 현황, 조성사례, 도시숲 보전방안 - 도시숲 중요성, 현...
[청년실업] 청년실업 현황, 해외 사례, 청년실업 해결방안 - 청션실업 현황, 해외 사례,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