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중독의 개념과 진단 기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인터넷 중독

Ⅰ. 인터넷 중독의 개념

Ⅱ. 인터넷 중독의 진단 기준

1. 의존
2. 내성
3. 금단
4. 신체적인 문제
5. 학업 · 직업적인 문제
6. 가족적인 문제
7. 사회적인 문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뭔가 중요한 일이 일어났을 것 같은 생각이 들고, 어
떤 전자우편이 와 있을지 몹시 궁금해지며, 모니터 앞에 앉는 순간 긴장이 해소되면서
안도감을 느낀다.
(4) 신체적인 문제
수면시간의 부족으로 고통을 받게 되며 눈의 피로와 두통, 목이나 어깨에 통증을 호
소하게 된다. 또한 만성적인 피로가 쌓인다.
(5) 학업 직업적인 문제
학업 혹은 업무에 대한 생산력이 떨어지고 몰두하는 시간 역시 줄어들게 되며 흥미를
상실한다.
(6) 가족적인 문제
가족과의 대화량이 점점 줄어들면서 가족 단위의 의식에 자주 참여하지 않게 됨에 따
라 가족구성원과 잘 어울리지 못하며 적응도 어려워진다. 또한 인터넷 및 컴퓨터 이용
시간으로 인하여 가족과 갈등을 겪을 수도 있다.
(7) 사회적인 문제
타인과 얼굴을 직접 맞대고 만나는 모임활동을 기피하게 된다.
*참고문헌
-LG경제연구원(2010), 2010 대한민국 트렌드
-김경훈(2009). 트랜드 워칭. 리더스 북
-김난도(2007). 럭셔리코리아. 서울: 미래의 창
-구정화(2009). 퍼센트경제학. 경기: 해냄출판사
-박명희(2002). 소비자의사결정론. 경기: 학현사
-박정자(2006). 로빈슨 크루소의 사치. 기파랑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05.19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83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