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총경동맥(A. carotis communis, common carotid artery)이란?!
좌쇄골하동맥(left subclavian artery)이란?!
좌쇄골하동맥(left subclavian artery)이란?!
본문내용
쇄골하동맥은 쇄골 뒤 아래쪽에 있어, 상지 동맥(上肢動脈)의 대동맥에서 시작하여 상지 동맥에 이어져 있는 부분의 혈맥이며, 쇄골의 중간 부위를 압박할 때 쇄골의 바로 상단에서 쇄골하동맥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이 쇄골하동맥은 액와부위를 거치면서 액와동맥, 액와동맥이 이어져 상완동맥이 되고, 팔꿈치 근처에서 안쪽의 척골동맥과 바깥쪽의 요골동맥으로 갈라지고, 손바닥에서 합하여 장동맥궁까지 이어진다. 일반적으로 상완동맥에서 혈압을 재고, 요골동맥에서 맥박을 센다.
(액와동맥, 상완동맥, 요골동맥, 척골동맥, 장동맥궁은 각자 애들이 맡았나?)
횡격막의 열공
횡격막에는 총 3가지의 열공이 있다. 대동맥과 흉관이 관통하는 대동맥열공, 대정맥열공, 식도와 미주신경이 지나는 식도공으로 나뉜다.
대동맥열공(aortic hiatus)은 가장 후방에 있으며, 좌, 우각 사이에 있고, 하행대동맥, 기정맥, 흉관, 교감신경간이 통과한다. 대정맥열공(vena caval foramen)은 가장 위쪽에 위치하여 중심건에 뚫려 있고, 하대정맥과 우횡격신경의 가지가 지나간다. 식도열공(esophageal hiatus)은 대동맥열공의 전상방에 위치하며 식도와 좌우의 미주신경이 통과한다.
(액와동맥, 상완동맥, 요골동맥, 척골동맥, 장동맥궁은 각자 애들이 맡았나?)
횡격막의 열공
횡격막에는 총 3가지의 열공이 있다. 대동맥과 흉관이 관통하는 대동맥열공, 대정맥열공, 식도와 미주신경이 지나는 식도공으로 나뉜다.
대동맥열공(aortic hiatus)은 가장 후방에 있으며, 좌, 우각 사이에 있고, 하행대동맥, 기정맥, 흉관, 교감신경간이 통과한다. 대정맥열공(vena caval foramen)은 가장 위쪽에 위치하여 중심건에 뚫려 있고, 하대정맥과 우횡격신경의 가지가 지나간다. 식도열공(esophageal hiatus)은 대동맥열공의 전상방에 위치하며 식도와 좌우의 미주신경이 통과한다.
추천자료
[유기화학실험]용해와 극성
(식품화학실험보고서)수분정량, 회분정량
(식품화학실험보고서)유지의 산가(acid value) 및 과산화물가
(식품화학실험보고서)유지의 TBA value test(thiobarbituric acid).
[일반화학실험]크로마토그래피(예비,결과모두포함)
[일반화학실험]평형상수의 결정
[화학실험] 무기 안료의 합성
[일반화학실험] 분자량 측정
[일반화학실험] 아스피린 합성 : 유기산과 알코올이 반응하여 에스터가 도는 과정을 통해 실...
[화학1실험/아주대] 질량부피 및 온도측정 (A+) : 질량 부피 온도 등을 측정해 보고, 정확도...
[일반화학실험] 이산화탄소의 헨리상수
[일반화학실험] 밀도 측정 : 전자저울과 눈금실린더를 이용하여 물질의 질량과 부피를 측정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