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5건

, 하대정맥과 우횡격신경의 가지가 지나간다. 식도열공(esophageal hiatus)은 대동맥열공의 전상방에 위치하며 식도와 좌우의 미주신경이 통과한다. 총경동맥(A. carotis communis, common carotid artery)이란?! 좌쇄골하동맥(left subclavian artery)이란?!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5.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가역 적인 뇌손상의 원인이 된다. 머리는 경동맥과 추골동맥의 2개 동맥으로부터 충분한 혈액을 공급 받는다. 즉 혈액은 두 경로를 통해 뇌로 유입된다. ① 두뇌의 동맥 : 우총경동맥은 완두동맥으로부터 분지되며 좌총경동맥은 대동맥궁에서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7.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체순환의 좌심실 대동맥(aorta)에서 시작 Ascending aorta(상행대동맥) : 좌심실, 좌우관상동맥 aortic arch(대동맥궁) - brachiocephalic trunck(완두동맥) - left common carotid artery(좌총경동맥) - left subclavian artery(좌쇄골하동맥) * 완두동맥은 대동맥궁에서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0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terial system) 목의 양쪽에 있는 총경동맥에서 내경동맥과 외경동맥으로 나뉜다. 1)내경동맥 internal carotid artery /전뇌순환 경동맥을 거쳐 두개강으로 들어온 내경동맥은 접형골의 경동맥구를 따라 앞으로 가서 전, 중대뇌동맥으로 나뉜다. 내경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3.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총경동맥의 분지부에 있는 경동맥소체(carotid body)와 대동맥궁 아래 위에 있는 대동맥소체(aortic body)들. - 동맥혈 Po2 감소, pH감소, Pco2증가에 반응. - 경동맥소체는 특히 저산소혈증(hypoxemia)에 예민, 동맥혈 Pco2에 대한 반응은 중추화학감수체에
  • 페이지 40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06.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