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법의 정의, 역사, 특성 및 장단점과 사용시 주의사항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강의법의 정의

2. 강의법의 역사

3. 강의법의 특성

4. 강의법의 장·단점

5. 강의법 사용시 주의사항

6. 수업에서의 발문

7. 판서의 기능 및 요령

본문내용

추상적이거나 막연한 발문은 피하고 구체적인 발문을 해야 한다. 추상적이거나 막연한 발문은 학습자들이 생각하고 사고할 방향을 잡지 못하고 당황하게 만드는 경우가 많다.
셋째, 묻는 발문에 대한 답이 바로 예 혹은 아니오로 나타나는 식의 단순한 기억 재생적 발문은 피하고, 가능한 한 학습자의 사고를 자극하는 개방적 발문을 하는 것이 좋다. 단순한 지식을 학습하거나 기억한 것을 다시 되묻는 발문은 학습자의 창의적 사고를 가로막는다.
넷째, 발문을 한 다음에는 생각할 시간을 주어야 한다. 발문 후 일정하게 기다리는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들에게 반응할 수 있는 많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것만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7. 판서의 기능 및 요령
강의식 수업에서 판서는 강의의 정리종결시에 학습의 전체 과정을 회상하고 학습결과를 정착시키는 기능을 하므로 수업의 효율화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판서의 일반적인 요령과 기법에는 사전에 미리 계획 세우기, 간략하게 요약하여 제시하기, 글자를 크고 바르게 적기, 색분필 적절하게 사용하기, 판서할 칠판의 위치를 미리 정하기, 판서 중에도 학습자와 가끔씩 눈 맞추기, 강의 종결 5~10분전에 필기 시간을 따로 주기 등이 있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05.25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98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