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자연사박물관
Ⅰ.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실험실
Ⅱ. 새로운 전시와 재미 있는 체험의 공간
Ⅲ. 생물체의 기원에 대한 탐사
1~12. 인류화석의 계층도
* 참고문헌
Ⅰ.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실험실
Ⅱ. 새로운 전시와 재미 있는 체험의 공간
Ⅲ. 생물체의 기원에 대한 탐사
1~12. 인류화석의 계층도
* 참고문헌
본문내용
파리의 국립 자연사박물관 연구팀에 의해 2001년 발표되었고 발견장소
는 케냐이다.
2. Ardipithecus ramidus(아르디피데쿠스 라미두스, 440만 년 전)
92년에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되어 94년 ''Nature''에서 발표됐다. 같이
발견된 동물화석으로부터 초기 인류가 살았던 환경이 별게 펼쳐진 초원
이 아니고 오히려 숲에 가까웠을 가능성이 높다는 단서를 제공했다.
3. Australopithecus anamensis(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 420만~390만 년 전)
오스트랄로피테쿠스속 중에서는 가장 오래 된 종. 케냐에서 발견되
었는데 치아 등에서 라미두스와 아파렌시스의 중간적인 특징이 있다.
최근에 새롭게 치아와 대퇴골 화석 등이 발견되었고 아파렌시스
의 직접적인 선조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됐다.
4. Australopithecus afarensis(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 380
만~300만 년 전)
대표적인 원인 화석인 '루시(Lucy, 320만 년 전)' 등으로 유명한 종이다.
1974년 스웨덴계 미국인인 요한슨은 에터오피아의 오모강이 흐르는 리프트계곡(Rift Valley)에서 40%의 유골형태가 남아 있는 여인의 뼈(1-1.3m, 30~40Kg 뇌용적 450cc)를 포함하여 14인의 유골의 것으로 보이는 197개의 호미니드의 뼈들을 발굴하였다.
탄자니아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발자국 화석(350만 년 전)의 주인공이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루시라는 이름은 비틀즈의 <보석같이 빛나는 하늘의
루시(Lucy in the s with Diamonds))라는 제목에서 따온 것이다.
5. Australopithecus africanus(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 300만~
250만 년 전)
1925년 남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최초의 원인. 남쪽으로 이동한 아파
렌시스가 진화한 집단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6. Australopithecus garhi(오스트랄로피테쿠스 가르히 250만 년 전)
처음으로 석기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뇌의 크기는 450cc로 작
지만, 호모속을 향한 행동의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을 것으로 여겨진
다. 석기를 사용한 흔적이 아닌 실제 인류 최초의 석기는 260만-250만
년 전의 것이 발견되었다(‘Nature’ 385(1997), 336면).
7. Homo habilis(호모 하빌리스 240만~170만 년 전)
1964년 동아프리카에서 발견된 호모속의 최초의 인류로 뇌가 커지기 시작했다. 이것도 옛날 과학자들의 예상을 뒤엎는 부분인데 인류의 가장 뛰어난(?) 특징을 '우수한 두뇌'로 생각하기 쉬우므로 인류의 진화는 먼저 뇌가 커지는 것으로부터 시작했을 것으로 여겨졌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두 발로 걷는 것이 먼저 시작되었고 뇌 용량이 커지는 것
은 이렇게 훨씬 뒤에 와서다.
8. Homo georgicus(호모 그루지쿠스 190만~180만 년 전)
프랑스와 그루지야 과학자들로 구성된 팀에 의해 그루지야 공화국 드마니시에서 발견되어 2002년 보고되었다(“Science” 297(2002), 85-89면, A New Skull of Early Homo from Dmanisi, Georgia).
뇌용량이 600cc에 불과한 것이 놀라웠는데 이는 인류의 선조가 뇌와 체형이 현생인류와 거의 비슷하게 된 다음에 아프리카를 나온 것이 아니라 그 전에 예상보다 빠른 시기에 아프리카를 출발해서 유라시아에 도착했었음을 증명했다.
9. Homo erectus(호모 에렉투스, 180만~10만 년 전)
키가 커지고, 현대인과 거의 비슷한 체형이 되었다. 피테칸트로푸스
에렉투스로 알려진 자바원인과 시난트로푸스 페키넨시스로 불리는 북
경원인은 현재 호모 에렉투스로 분류된다.
10. Homo heidelbergensis(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하이델베르크인), 60만~20만 년 전)
뇌 크기가 1200cc를 넘어 현생인류와 거의 다르지 않게 되었다. 아
프리카에서 발견된 보도인(60만-50만 년 전), 카브웨이인(50만-20만
년 전) 등이 대표적인 화석들로 아프리카,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 발견
되었다.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이 분화되기 전인 것은 거의 확실한
듯하다.
11 Homo neanderthalensis(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네안데르탈인), 20만~3만년 전)
하에델베르겐시스의 그룹이 유럽해서 진화한 것으로 여겨지는 그룹.
뇌는 현생인류보다도 큰 편에 속하지만 눈템 부분의 두개골 응기나 머
리 형태 등에서 원시적인 특징이 남아 있다. 현재까지는 이들이 현생인
류로 진화한 것이 아니라 현생인류에 의해 진화에서 주인공 자리를 바
꾼 것으로 여겨진다 “Nature” 2006년 11월 16일호와 'Science' 2006
년 11월 17호에 의하면 현시점까지는 네안데르탈인의 화석에서 얻은
DNA 분석 결과를 본다면 네안데르탈인과 현재 인류가 교배를 했었다
는 증거는 얻어지지 않았다 38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대퇴골 화석의
DNA 분석결과에 의하면 현대인과 99.5% 이상 게놈이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침팬지와 인류는 99%가 일치).
12. Homo floresiensis(호모 플로레시엔시스, 2만~1만 년 전)
인도네시아 플로레스섬에서 발견되어 2004년에 보고되었다. 뇌 크기
는 침팬지 정도이고 신장도 1m 정도로 소형인 것이 특징이다. 인류도
다양하게 갈라진 진화를 할 수 있었다는 것이 밝혀진 셈인데, 혹시 무슨 병에 걸린 특별한 경우가 아니었을까 등의 의문점들이 있었지만, 결국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 비슷하기는 하지만 완전히 다른 새 종이라는 것으로 2007년 에 추가연구들을 통해 밝혀졌다.
*참고문헌
- 바리스 야카보루 외, 황신웅 옮김. ‘스토리텔링의 기술’, 멘토르, 2008
- 장미영 외, ‘스토리텔링의 이해’. 글누림, 2007
- 박미엽 외, ‘언어와 대중매체’, 신아출판사, 2000
- 최혜실,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을 만나다’, 2006
-주우진 외, ‘인터넷 마케팅’, 경문사. 2006
- KBS 홈페이지(http://www.kbs.co.kr/)
- MBC 홈페이지(http://www.imbc.com/)
는 케냐이다.
2. Ardipithecus ramidus(아르디피데쿠스 라미두스, 440만 년 전)
92년에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되어 94년 ''Nature''에서 발표됐다. 같이
발견된 동물화석으로부터 초기 인류가 살았던 환경이 별게 펼쳐진 초원
이 아니고 오히려 숲에 가까웠을 가능성이 높다는 단서를 제공했다.
3. Australopithecus anamensis(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 420만~390만 년 전)
오스트랄로피테쿠스속 중에서는 가장 오래 된 종. 케냐에서 발견되
었는데 치아 등에서 라미두스와 아파렌시스의 중간적인 특징이 있다.
최근에 새롭게 치아와 대퇴골 화석 등이 발견되었고 아파렌시스
의 직접적인 선조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됐다.
4. Australopithecus afarensis(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 380
만~300만 년 전)
대표적인 원인 화석인 '루시(Lucy, 320만 년 전)' 등으로 유명한 종이다.
1974년 스웨덴계 미국인인 요한슨은 에터오피아의 오모강이 흐르는 리프트계곡(Rift Valley)에서 40%의 유골형태가 남아 있는 여인의 뼈(1-1.3m, 30~40Kg 뇌용적 450cc)를 포함하여 14인의 유골의 것으로 보이는 197개의 호미니드의 뼈들을 발굴하였다.
탄자니아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발자국 화석(350만 년 전)의 주인공이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루시라는 이름은 비틀즈의 <보석같이 빛나는 하늘의
루시(Lucy in the s with Diamonds))라는 제목에서 따온 것이다.
5. Australopithecus africanus(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 300만~
250만 년 전)
1925년 남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최초의 원인. 남쪽으로 이동한 아파
렌시스가 진화한 집단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6. Australopithecus garhi(오스트랄로피테쿠스 가르히 250만 년 전)
처음으로 석기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뇌의 크기는 450cc로 작
지만, 호모속을 향한 행동의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을 것으로 여겨진
다. 석기를 사용한 흔적이 아닌 실제 인류 최초의 석기는 260만-250만
년 전의 것이 발견되었다(‘Nature’ 385(1997), 336면).
7. Homo habilis(호모 하빌리스 240만~170만 년 전)
1964년 동아프리카에서 발견된 호모속의 최초의 인류로 뇌가 커지기 시작했다. 이것도 옛날 과학자들의 예상을 뒤엎는 부분인데 인류의 가장 뛰어난(?) 특징을 '우수한 두뇌'로 생각하기 쉬우므로 인류의 진화는 먼저 뇌가 커지는 것으로부터 시작했을 것으로 여겨졌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두 발로 걷는 것이 먼저 시작되었고 뇌 용량이 커지는 것
은 이렇게 훨씬 뒤에 와서다.
8. Homo georgicus(호모 그루지쿠스 190만~180만 년 전)
프랑스와 그루지야 과학자들로 구성된 팀에 의해 그루지야 공화국 드마니시에서 발견되어 2002년 보고되었다(“Science” 297(2002), 85-89면, A New Skull of Early Homo from Dmanisi, Georgia).
뇌용량이 600cc에 불과한 것이 놀라웠는데 이는 인류의 선조가 뇌와 체형이 현생인류와 거의 비슷하게 된 다음에 아프리카를 나온 것이 아니라 그 전에 예상보다 빠른 시기에 아프리카를 출발해서 유라시아에 도착했었음을 증명했다.
9. Homo erectus(호모 에렉투스, 180만~10만 년 전)
키가 커지고, 현대인과 거의 비슷한 체형이 되었다. 피테칸트로푸스
에렉투스로 알려진 자바원인과 시난트로푸스 페키넨시스로 불리는 북
경원인은 현재 호모 에렉투스로 분류된다.
10. Homo heidelbergensis(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하이델베르크인), 60만~20만 년 전)
뇌 크기가 1200cc를 넘어 현생인류와 거의 다르지 않게 되었다. 아
프리카에서 발견된 보도인(60만-50만 년 전), 카브웨이인(50만-20만
년 전) 등이 대표적인 화석들로 아프리카,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 발견
되었다.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이 분화되기 전인 것은 거의 확실한
듯하다.
11 Homo neanderthalensis(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네안데르탈인), 20만~3만년 전)
하에델베르겐시스의 그룹이 유럽해서 진화한 것으로 여겨지는 그룹.
뇌는 현생인류보다도 큰 편에 속하지만 눈템 부분의 두개골 응기나 머
리 형태 등에서 원시적인 특징이 남아 있다. 현재까지는 이들이 현생인
류로 진화한 것이 아니라 현생인류에 의해 진화에서 주인공 자리를 바
꾼 것으로 여겨진다 “Nature” 2006년 11월 16일호와 'Science' 2006
년 11월 17호에 의하면 현시점까지는 네안데르탈인의 화석에서 얻은
DNA 분석 결과를 본다면 네안데르탈인과 현재 인류가 교배를 했었다
는 증거는 얻어지지 않았다 38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대퇴골 화석의
DNA 분석결과에 의하면 현대인과 99.5% 이상 게놈이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침팬지와 인류는 99%가 일치).
12. Homo floresiensis(호모 플로레시엔시스, 2만~1만 년 전)
인도네시아 플로레스섬에서 발견되어 2004년에 보고되었다. 뇌 크기
는 침팬지 정도이고 신장도 1m 정도로 소형인 것이 특징이다. 인류도
다양하게 갈라진 진화를 할 수 있었다는 것이 밝혀진 셈인데, 혹시 무슨 병에 걸린 특별한 경우가 아니었을까 등의 의문점들이 있었지만, 결국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 비슷하기는 하지만 완전히 다른 새 종이라는 것으로 2007년 에 추가연구들을 통해 밝혀졌다.
*참고문헌
- 바리스 야카보루 외, 황신웅 옮김. ‘스토리텔링의 기술’, 멘토르, 2008
- 장미영 외, ‘스토리텔링의 이해’. 글누림, 2007
- 박미엽 외, ‘언어와 대중매체’, 신아출판사, 2000
- 최혜실,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을 만나다’, 2006
-주우진 외, ‘인터넷 마케팅’, 경문사. 2006
- KBS 홈페이지(http://www.kbs.co.kr/)
- MBC 홈페이지(http://www.imbc.com/)
추천자료
청소년수련시설의 개요와 현황 및 활성화 방안 - 청소년 수련시설의 개요, 필요성, 기본원리,...
(한국사회문제C형)홍익대 청소노동자와 같은 파견노동자의 노동현실 개선방안모색-파견노동자...
[사회복지개론] 노인 문제의 개념과 현황 및 대응 방안(고령화의 진입은 여러가지 노인문제를...
[공연문화][공연문화 대상][공연문화 장소][공연문화 현황][공연문화 문제점][공연문화 활성...
[은행수수료, 은행, 수수료, 은행수수료 구조, 은행수수료 체계, 은행수수료 수익현황, 은행...
방과후학교의 개요, 현황, 방과후학교의 개선방안 - 방과후학교의 개념, 추진배경, 목표, 특...
우리나라 아동복지 시설의 현황과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방안을 논하시오(아동시설의 현황과...
아동복지 실천 대상자별 중 한 분야를 선택해서 개념, 현황, 문제점, 개선방안을 정리하시오 ...
교원 행정업무 부담 현황 분석과 개선 방안 탐색 (연구방법과 분석결과,연구방법,교원 행정업...
지역사회 청소년 수련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 파악과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 (지역사회 청...
노인여가(老人餘暇)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서술하시오 {노인여가의 특성과 현황 및 문제점, ...
[감정노동자 실태와 문제점 해결방안] 감정노동자 - 감정노동자의 특징, 감정노동자 원인, 감...
[도시숲 조성사례] 도시숲의 중요성, 현황, 조성사례, 도시숲 보전방안 - 도시숲 중요성, 현...
[청년실업] 청년실업 현황, 해외 사례, 청년실업 해결방안 - 청션실업 현황, 해외 사례,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