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 미국의 빈민법] 식민지 빈민법, 식민지 민간박애사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식민지 미국의 빈민법

Ⅰ. 식민지 빈민법

1. 지역사회의 책임
2. 가족의 책임
3. 빈민의 분류
1) 노동불능빈민
2) 노동능력빈민
3) 부양아동

Ⅱ. 식민지 민간박애사업

*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노동은 근로의 신성함을 주지시키고, 나태라는 해악을 물리치게 만든다는
점에서 아동과 사회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1656년에 문을 연
보스델 방적학교는 아동과 빈민을 배치했으며, 이들에게 약간의 보수를 지급했
다. 이들의 저임 노동은 사회에 이로운 것으로 간주되었다. 또한 잠재적으로 사
회에 해를 줄 수 있는 이들에게 일자리를 주는 것은 위해(危害)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장인과 달리 공장의 고용주들에게는 아동의 복지와 교육에 대
한 책임이 없었다. 1759년 빈민의 근로윤리를 강화하기 위해 보스턴 시는 방적학
교를 여자아이들에게도 개방했다. 1751년에는 의복의 생산과 가난한 여성과 아
동의 고용을 촉진하기 위해 근면 고용촉진협회(the Society for Encourag교g Industry and Employing the Poor)가 창설되었다.
그리고 아동교육의 진작을 위해 공립학교와 사립학교가 세워졌다. 1647년 매
사추세츠 주는 50가구 이상의 모든 마을은 초등학교 교사를 초빙할 것과 100가
구 이상의 모든 마을은 고등학교를 설립할 것을 권장했다. 공납금과 세금으로 운
영되는 이런 학교 시스템은 의무교육은 아니었다. 뉴욕과 뉴저지의 네덜란드게
혁교구학교들(Dutch Reformed parochial schools)은 빈곤아동이 무료로 학교를 다닐 수 있도록 배려했다.
II. 식민지 민간박애사업
식민지 초기부터 상호부조에 입각한 민간박애사업(private philanthropy)과 빈곤해
결을 위한 취업알선 등의 노력이 있었다. 예컨대 퀘이커교도들은 교도회의의 투
표를 거쳐 요보호대상자들(비퀘이커교도라도)에게 음식물, 피복, 거처, 연료 등을
제공했으며, 자선원, 작업장, 갱생원 등을 설립했다. 종교복지계단도 많이 만들어
졌다. 1713년에 설립된 가난한 퀘이커교도를 위한 필라델피아 친구자선원(the
Friends Almshouse in Philadelpa for poor Quakers), 1724딘에 설립된 보스턴 영국국교회협회(the Boston Episcopal Society), 1767년 뉴욕에서 설립된 목수수의 직업을 의미)의 집 협회(the Society of the House of Carpenters) 등이 그것이다.
식민지 초기 가장 저명한 민간 활동가는 벤저민 프랭클린이었다. 그는 개인의
자유를 신장하기 위해서는 근면, 근검, 절약, 금주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믿
었으며, 펜실베이니아에 도서관, 민간소방회사, 경찰서, 병원, 대학 등과 같은 공
공기관을 설립하는 데 앞장섰다.
복음운동(Evangelical movement)은 빈민에 대한 관심을 확대하는 데 기여했다. 개
인의 책임과 사회질서를 강조한 복음운동은 부자는 빈민구제에 대한 책임이 있으
며, 빈민은 그들의 후의에 보답하고 그들을 위해 일할 의무가 있다고 보았다. 대
각성운동(the Great Awakening movement씬 두 명의 탁월한 전도사 George Whitefield와 Jonathan Edwards는 1730-1750년까지 부흥회를 통해 인도주의 윤리를 전도했으며, 박애사업을 상류계층의 영역에서 모든 계급의 공유 영역(양심과 이타주의에 입각한)으로 발전시켰다(Day, 2000 : 138-139).
*참고문헌
- 원석조(2005). ‘사회복지정책론’. 공동체.
- 김연명(2002).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 인간과 복지.
- 최경구(1993). ‘조합주의 복지국가’. 한나래
- 하상락(1989). ‘한국사회복지사론’. 박영사
- 김수행(1988). ‘정치경제학원론’. 한길사.
- 김상균(1987). ‘현대사회와 사회정책’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5.27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04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