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이해
Ⅰ.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왜 ‘능력’이 필요한가
Ⅱ.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개념: 커뮤니케이션의 ‘게임’과 ‘규칙’
Ⅲ.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관계적 능력
* 참고문헌
Ⅰ.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왜 ‘능력’이 필요한가
Ⅱ.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개념: 커뮤니케이션의 ‘게임’과 ‘규칙’
Ⅲ.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관계적 능력
* 참고문헌
본문내용
또는 부적합한 행위에 대한 지식이 되며, 그러한 좌거
경험은 직접적으로 문화간 대인 능력의 지식적 '유능'을 형성 한다고 주
장한다.
문화간 상호 행위에서 능력(competence)의 개념이 본질적으로 상호
행위적 특성을 내포한다는 것은 스피츠벅과 해치(Spitzberg & Hecht,
1984)에 의해서도 지적되었다. 이들은 관계적 능력에 대한 모델 연구
에서 상대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대한 자신의 지각(perception)이 커
뮤니케이션 결과에 대한 지각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고 있다. 몇
몇 연구자들(Argyris, 1968 ; Spitzberg & Cupach, 1984 ; Wiemann &
Kelly, 1981)은 문화간 두 사람의 상호 행위(dyadic interaction)에서 유
능한(competent) 참여자들은 상호간의 욕구를 만족시킨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문화간 상호 행위의 능력이 양쪽 참여자들의 목적이 모두 달
성될 때 성립되며, 상호 행위자 모두에게 '관계적 교환(relational
exchange)'에 능동적 참여할 책임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사
례는 ESL(English as Second Language, 제2외국어로서 영어) 연구 영역
에서도 명확히 나타난다. 롱(Long, 1983)은 모국어 화자와 비모국어
화자사이의 효과적인 상호 행위는 모국어 화자가 자신의 스피치 행
위를 비모국어 화자에게 맞게 조절하는 적응력(adaptability)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기술하고 있다.
스피츠벅과 구파치(Spitzberg & Cupach, 1984)는 커뮤니케이션이
목적 지향의 행위(goal oriented behavior)라는 측면을 고려할 때,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적절성(appropriateness)과 효과성(effectiveness)
의 개념과 직결된다는 점을 지적한다. 상호 행위자가 커뮤니케이션
목적을 달성하는 효과를 거두었다 할지라도 상호 행위 과정에서 부
적절한 행위를 보였다면 관계적 무능을 의미할 수 있다. 역으로, 상
호 행위자가 적절한 행위를 보였다 할지라도, 결과적으로 커뮤니케이
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실용적(Pragmatic) 관점에
서 보면,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의사 소통 진행 과정에 있어
상호 행위의 적절성과 의사 소통 종결 단계에서 상호 행위의 성과(효
과성) 요인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요약하면, 문화간 대인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케이션
참여자간의 상호 행위적 특성(문제의 유형 및 대처/해결 방식)을 이
해하는 것이다. 문화간 대인 접촉에서 적합한 상호 행위를 통하여 커
뮤니케이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락은 곧 대인적
능력(interpersonal competence)이자 관계적 능력(relational competence)
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대한 이해
와 연구 문제(Problematic)를 학간 커뮤니케이션(능력) -> 대인적
접촉(능력)-> 관계적 상호 행위(능력)' 방향으로 초점을 맞추어 가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최윤희 · 김숙현(1997),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서울: 범우사
-Rick, David(1993). Blunders in International business
-구로다 가쓰히로(1995). ‘한국의 세계화를 위한 기본 과제’
-Huntingson, Samuel(1996). ‘문명의 충돌’. 이희재 옮김(2000)
-최재석(1994).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서울: 현음사.
-이현우(1997). ‘현대를 살아가기 위한 갈등 대응 전략’
경험은 직접적으로 문화간 대인 능력의 지식적 '유능'을 형성 한다고 주
장한다.
문화간 상호 행위에서 능력(competence)의 개념이 본질적으로 상호
행위적 특성을 내포한다는 것은 스피츠벅과 해치(Spitzberg & Hecht,
1984)에 의해서도 지적되었다. 이들은 관계적 능력에 대한 모델 연구
에서 상대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대한 자신의 지각(perception)이 커
뮤니케이션 결과에 대한 지각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고 있다. 몇
몇 연구자들(Argyris, 1968 ; Spitzberg & Cupach, 1984 ; Wiemann &
Kelly, 1981)은 문화간 두 사람의 상호 행위(dyadic interaction)에서 유
능한(competent) 참여자들은 상호간의 욕구를 만족시킨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문화간 상호 행위의 능력이 양쪽 참여자들의 목적이 모두 달
성될 때 성립되며, 상호 행위자 모두에게 '관계적 교환(relational
exchange)'에 능동적 참여할 책임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사
례는 ESL(English as Second Language, 제2외국어로서 영어) 연구 영역
에서도 명확히 나타난다. 롱(Long, 1983)은 모국어 화자와 비모국어
화자사이의 효과적인 상호 행위는 모국어 화자가 자신의 스피치 행
위를 비모국어 화자에게 맞게 조절하는 적응력(adaptability)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기술하고 있다.
스피츠벅과 구파치(Spitzberg & Cupach, 1984)는 커뮤니케이션이
목적 지향의 행위(goal oriented behavior)라는 측면을 고려할 때,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적절성(appropriateness)과 효과성(effectiveness)
의 개념과 직결된다는 점을 지적한다. 상호 행위자가 커뮤니케이션
목적을 달성하는 효과를 거두었다 할지라도 상호 행위 과정에서 부
적절한 행위를 보였다면 관계적 무능을 의미할 수 있다. 역으로, 상
호 행위자가 적절한 행위를 보였다 할지라도, 결과적으로 커뮤니케이
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실용적(Pragmatic) 관점에
서 보면,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의사 소통 진행 과정에 있어
상호 행위의 적절성과 의사 소통 종결 단계에서 상호 행위의 성과(효
과성) 요인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요약하면, 문화간 대인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케이션
참여자간의 상호 행위적 특성(문제의 유형 및 대처/해결 방식)을 이
해하는 것이다. 문화간 대인 접촉에서 적합한 상호 행위를 통하여 커
뮤니케이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락은 곧 대인적
능력(interpersonal competence)이자 관계적 능력(relational competence)
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대한 이해
와 연구 문제(Problematic)를 학간 커뮤니케이션(능력) -> 대인적
접촉(능력)-> 관계적 상호 행위(능력)' 방향으로 초점을 맞추어 가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최윤희 · 김숙현(1997),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서울: 범우사
-Rick, David(1993). Blunders in International business
-구로다 가쓰히로(1995). ‘한국의 세계화를 위한 기본 과제’
-Huntingson, Samuel(1996). ‘문명의 충돌’. 이희재 옮김(2000)
-최재석(1994).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서울: 현음사.
-이현우(1997). ‘현대를 살아가기 위한 갈등 대응 전략’
추천자료
청소년수련시설의 개요와 현황 및 활성화 방안 - 청소년 수련시설의 개요, 필요성, 기본원리,...
(한국사회문제C형)홍익대 청소노동자와 같은 파견노동자의 노동현실 개선방안모색-파견노동자...
[사회복지개론] 노인 문제의 개념과 현황 및 대응 방안(고령화의 진입은 여러가지 노인문제를...
[공연문화][공연문화 대상][공연문화 장소][공연문화 현황][공연문화 문제점][공연문화 활성...
[은행수수료, 은행, 수수료, 은행수수료 구조, 은행수수료 체계, 은행수수료 수익현황, 은행...
방과후학교의 개요, 현황, 방과후학교의 개선방안 - 방과후학교의 개념, 추진배경, 목표, 특...
우리나라 아동복지 시설의 현황과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방안을 논하시오(아동시설의 현황과...
아동복지 실천 대상자별 중 한 분야를 선택해서 개념, 현황, 문제점, 개선방안을 정리하시오 ...
교원 행정업무 부담 현황 분석과 개선 방안 탐색 (연구방법과 분석결과,연구방법,교원 행정업...
지역사회 청소년 수련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 파악과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 (지역사회 청...
노인여가(老人餘暇)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서술하시오 {노인여가의 특성과 현황 및 문제점, ...
[감정노동자 실태와 문제점 해결방안] 감정노동자 - 감정노동자의 특징, 감정노동자 원인, 감...
[도시숲 조성사례] 도시숲의 중요성, 현황, 조성사례, 도시숲 보전방안 - 도시숲 중요성, 현...
[청년실업] 청년실업 현황, 해외 사례, 청년실업 해결방안 - 청션실업 현황, 해외 사례,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