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조사] 찰스 부스의 런던시 빈민조사, 라운트리의 요크시 빈민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빈곤조사

Ⅰ. 찰스 부스의 런던시 빈민조사

Ⅱ. 라운트리의 요크시 빈민조사

*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입을 의미)
이 바로 빈곤의 원인이라고 보았다. 이것이 빈곤의 경제적 원인이었다. 그 사회
적 원인으로는 빈약한 보건서비스, 열악한 주택, 교육의 결여 등을 들었다. 이는
국가 개입이 필요함을 뜻했다. 비록 맬서스 철학의 어두운 그림자는 사라졌지만,
그는 그 같은 대량 빈곤이 존재하는 사회를 문명화되거나 천전하다고 볼 수 없다
고 주장했다. 라운트리의 1권으로 된 저서는 부스의 조사결과가 대도시에만 국
한된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Jones, 1991 : 63-66).
부스는 산업사회의 신흥귀족의 한 사람으로 보수적이었다. 그가 속한 계급은
그를 사회주의자로 규정했지만 그에 대한 비난이 그리 많지는 않았다. 라운트리
는 퀘이커교도이자 자유주의자였다. 그의 연구결과에 대한 비판은 상당했다. 특
히 COS의 반대가 심했다. COS사무총장인 로크(Charles Loch)는 라운트리가 노예근성을 가진 계급(빈민, 노령연금 수급자, 국가에 의존하는 노동자)을 권장했다고 비난했다.
그의 조사는 1906년 자유당 정부의 사회입법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박병현, 1994 : 110).
라운트리의 연구는 현대에 와서 진보적인 빈곤 연구자들로부터 큰 비판을 받
았다. 즉, 이들은 빈곤이란 절대적이 아니라 상대적이라고 주장하며 라운트리를
비판했던 것이다. Peter Townsend는 라운트리의 빈곤개념이 너무 독단적이고 엄
격했다고 비판했다. 라운트리의 식품 목록이 미국의 수감자를 위한 것이었다는
점에서 독단적이었고, 또 당시 지방정부청이 작업장의 운영에 사용했던 것보다
더 엄한 것이었다고 한다. Robert Holman은 라운트리가 사회적 문화적 심리적
욕구를 무시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이들이 놓친 면이 있다. 라운트리는 노동자
계급이 그렇게 절박한 수준의 생활을 영위해야만 한다고 주장한 적은 없었으며,
다만 그는 그런 식의 생활이 얼마나 불가능한가를 지적하고 싶었던 것뿐이었다.
당시는 상대 빈곤의 시대가 아니라 절대 빈곤의 시대였던 것이다(Jones, 1991 :
67-68).
*참고문헌
- 원석조(2005). ‘사회복지정책론’. 공동체.
- 김연명(2002).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 인간과 복지.
- 최경구(1993). ‘조합주의 복지국가’. 한나래
- 하상락(1989). ‘한국사회복지사론’. 박영사
- 김수행(1988). ‘정치경제학원론’. 한길사.
- 김상균(1987). ‘현대사회와 사회정책’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5.27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04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