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민간박애사업과 공공복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미국의 민간박애사업과 공공복지

Ⅰ. 민간박애사업

Ⅱ. 남북전쟁 이후의 공공복지

* 참고문헌

본문내용


원, 주립병원, 자선원, 직업학교, 자선시설을 조사했다. 조사결과를 토대로 그는
수용자의 분류와 행정규제 계획을 수립했다.
1885년 매사추세츠 자선 교정청은 자선시설, 의료시설, 교정시설에 대한 감
독권을 처음으로 행사했다. 다른 주정부들도 이를 따랐다. 1897년이 되면, 16개
주정부가 자선 교정청을 운영하게 된다. 주정부 차원의 자선 교정청이 설치되
자 자선원에 수용되어 있던 아동들이 주정부의 인가를 받은 아동시설과 위탁가
정에서 보호받음으로써 요보호아동에 대한 처우가 크게 개선되었으며, 지방 공
공부조행정이 보다 통일적이고 효율적이게 되었으며, 이민에 대한 보호조치의
강화로 도시빈민의 수가 감소했고, 정신병자에 대한 처우가 개선되었다.
주정부 차원의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1865년에는 주정부 자선
교정청의 협력기구인 미국사회과학협회(the American Social Science Association)가 결성되었다.
사회과학협회는 사회과학이라는 이름 아래 공중위생, 빈민의 구제, 고
용, 교육, 범죄의 예방, 정신병자 보호, 기타 박애사업 관련 사업을 다루기 위해
조직되었다. 1874년에는 사회과학협회에 참여하고 있던 매사추세츠, 코네티컷,
뉴욕, 위스콘신 주 자선 교정청들이 공통의 관심사를 협의하기 위해 주 자선
교정청협의회(the Conference of State Boards)를 조직했다.
이는 민간자선 및 공공자선 단체들 간의 전국적인 네트워크였다. 사회과학협회와 자선 교정청협의회는 총회를 같이 해오다가 1879년부터 분리했으며, 같은 해 총회부터 민간자선단체들도 참여시켰다.
10년 즘 지나자 민간자선단체들이 회의를 주도하게 되었으며, 회의의 성격이 새로운 사조나 정책에 대해 논하는 포럼으로 바뀌었다. 회의에서는 노동절약형 기계의 개발, 자본과 대기업의 집중, 인구의 도시집중, 여성해방 등이 논의되었다.
자선 교정청협의회는 1884년 명칭을 전국자선 교정협의회(the National Conference of Charities and Correction)로 바꾸었다. 사회과학협회와 자선청협
의회는 모두 사회문제에 대한 과학적 탐구의 필요성에 대한 신념의 산물이었다.
19세기 말부터 민간자선단체들도 정부의 공공복지 노력을 지지하기 시작했다.
원외구호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사람들과 빈곤가족이 분리되지 않고 한 가족으로
살도록 모성수당을 지급하자는 데 찬성하는 사람들도 늘어났다. 또한 대다수가
청소년법정의 독립을 지지했다. 동시에 민간자선과 공공자선의 분리도 분명해졌
으며, 주정부 차원의 공공복지와 원외구호도 온전히 인정받게 되었다(Day, 2000 :
217-218).
*참고문헌
- 원석조(2005). ‘사회복지정책론’. 공동체.
- 김연명(2002).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 인간과 복지.
- 최경구(1993). ‘조합주의 복지국가’. 한나래
- 하상락(1989). ‘한국사회복지사론’. 박영사
- 김수행(1988). ‘정치경제학원론’. 한길사.
- 김상균(1987). ‘현대사회와 사회정책’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5.27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04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