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봉사활동의 계획 원칙] 지역사회봉사와 기관봉사, P-A-R 접근방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자원봉사활동의 계획 원칙

Ⅰ. 지역사회봉사와 기관봉사

Ⅱ. P-A-R 접근방법

Ⅲ. 기관봉사와 P-A-R 접근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일을 시작하기 전 자신들이 하는 일이 사회적으로 얼마나 중요
한 일인가를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나름대로 목표를 정하고 실천계획을 세워야 한
다. 이 목표와 실천계획은 물론 주문 받은 봉사일의 데두리 내에서 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쓰레기 재활용장에서 패활용품 분리작업을 한다고 할 때 그저 아무 생
각 없이 분리작업을 돕다가 일어서는 것은 의미가 없다. 그보다 몇 시간 동안 몇 번의 분리작업을 할 것인가를 나름대로 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훨씬 재미있고 보람이 있다. 비록 부탁받은 작업이지만 내가 일의 의미를 깨닫고 능동적으로 나설 때 봉사가 더 보람 있게 느껴지는 것이다. 기관단체들은 이 점을 깨달아 가능하면 자원봉사자들이 자기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잘 협조해야 한다.
* 참고문헌
- 김동배(2005). 시민사회와 자원봉사. 서울: 학지사
- 류기형 외(2000). 자원봉사론. 서울: 양서원
- 김영호(2006). 자원복지 이론과 실제. 서울: 창익사
- 유용식(2007). 사회복지개론. 경기: 양서원
- 볼런티어 21(2004). 자원봉사관리자 아카데미 일반과정.
- 이성록(1997). 자원봉사활동 관리 조정론. 서울: 학문사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05.27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05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