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원형과 스토리텔링에 대해 논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대중에게서 멀어져 있
다. 세월의 경과, 사회의 변화와 같은 다양한 이유로 원형이 어떠한 이유로
대중과 격리되어 있을 때 새로운 색채와 모양으로 재창조하여 일반 대중과
소통하게 만드는 것이 문화콘텐츠이다. 이것이 바로 고전의 현대화이기도 하다.
문화원형이 중요한 이유는 하나의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한 문화원형은 다양
한 장르에서 재창작을 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만화 “식객”은 영화와 드라마로
재창작되었고, 영화 <왕의 남자>는 연극 <이>의 재창작이며, 나중에 뮤지
컬로 재창작되었다. 이처럼 하나의 문화원형을 영화, 뮤지컬, 게임, 소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데, 이를 '원 소스 멀티 유즈'(one source multi
use)라고 한다. 이러한 활용을 가장 잘 하는 나라가 일본인데, 소설-만화-애
니메이션(영화) 등이 유기적으로 맞물려 창작, 재창작되고 있다. 전파경로가
예전에는 소설을 기본으로 했으나 지금은 게임이 영화화되는 등 다양해지고
있다. <슈퍼 마리오>, <모탈 컴뱃>, <스트리트 파이터>, <톰레이더>, <레지던
트 이블> 등은 게임이 영화화된 작품들이고, 반대로 <스파이더맨>,<슈렉>,
<반헬싱>, <캐리비안의 해적>, <반지의 제왕> 등은 영화가 게임이 된 작품들
이다.
문화콘텐츠에서도 분야의 구분은 매우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만화, 영화, 공연, 게임 등의 구분은 그 제작과정에 대한 차이를 나타내는
구분일 뿐이다. 기본적인 문화원형은 분야를 뛰어넘어 활용된다. 이러한 유연
성이 바로 문화콘텐츠의 기본 특성이며, 왜 열린 자세가 필요한지를 보여
주고 있다. 문화콘텐츠의 영역과 그 세부 분야는 시대적 기술적 발전에 따라
끊임없이 확대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문화콘텐츠의 분야를 6대 분야, 8대 분야 등으로 규정하는 것은 이해를 돕기 위한 보조적 해석이다. 끊임없이 확장되고 변화하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접근은
거시적 시각과 미시적 관찰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참고문헌
- 이기상, ‘콘텐츠와 문화철학: 문화의 발전단계와 콘텐츠’. 북코리아. 2009
- 김평수 외. ‘문화콘텐츠 산업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03
- 신지은 외. ‘미래혁명’. 일송북. 2007
- 존 스토리 지음, 박만준 옮김. ‘대중문화와 문화연구’. 경문사. 2006
- 마테이 칼리니스쿠 지음, 이영욱 옮김. ‘모더니티의 다섯 얼굴’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5.27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05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