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레포트) 한글 부호체계(한글코드)와 국제표준과의 관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레포트) 한글 부호체계(한글코드)와 국제표준과의 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한글 부호체계
(1) 완성형 한글 코드 : KSC-5601
(2) 조합형 한글 코드 : KSC-5601:1992
(3) 정보교환용 부호의 확장법 : KSC-5657
(4) 마이크로소프트의 통합형 한글
(5) 유니코드 한글

2. 국제 표준과의 관계
(1) 한글 코드 체계와 국제 규격의 문제
(2) ISO-2022와의 관계
(3) ISO-10646:1993과의 관계

본문내용

역이라고 한다. ISO-2022에서는 C0와 C1영역에 문자를 배당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아스키 32와 160은 공백(SPACE)문장이며, 아스키 127과 255는 지움(DEL)문자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이 규정에 따를 경우 각 바이트에서 문자를 배당할 수 있는 영역은 아스키 33-126과 161-254의 두 영역이 된다. KSC-5601과 KSC-5657은 ISO-2022한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부호체계에 서 KSC-5601부호체계를 사용하려면 "ESC $ ) C"의 4자의 지정문자열을 보내고 사용하면 되며, KSC-5657의 제 1 확장세트는 "ESC $ ) E", 제 2 확장세트는 "ESC $ ) F"의 지정문자열을 보낸 후 사용하여야 한다.
(3) ISO-10646:1993과의 관계
ISO/IEC-10646:1993에는 KSC-5601, 5657에서 사용하던 부호, 한글, 한자등을 모두 포함되어 있다. 또한 첫가끝 한글방식이 추가되어 있다. KSC-5601에서 사용하던 부호와 문자는 BMP의 부호와 문자 부분에 포함되었으며, 한자 부분도 한중일 통합 한자 부분인 "CJK Unified Ideographs" (0x4E00~0x9EFF)에 포함되었다. 한글 부분은 0x3400부터 KSC-5601의 순서 그대로 배치되었다.
KSC-5636의 한글 부분은 KSC-5601 한글 부분의 배치가 끝나는 0x3D2E부터 순서대로 배치되었다. KSC-5636 한글의 배치가 끝나는 0x44B8부터는 앞의 두 한글 부분에 포함되지 않으면서 비교적 빈번히 사용되는 한글을 0x4DFF 까지 배치하였다.
  • 가격3,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5.30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08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