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독교회사 최소요약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천주교의 한국 전래
2. 신교의 한국 선교
3. 교회조직과 발전
4. 수 난
5. 재건, 분열, 전진

본문내용

(2) 교리적인 문제로 분열되어 새 교파로 나간 것이 기독교장로회이다.
1938년 9월 평양신학교가 문이 닫힌 후 1940년 4월 서울 승동교회에서 김대현 장로의 희사금으로 조선신학원이 설립되었고, 그 신학적 주도 인물이 일본 청산학원 신학부와 미국 웨스턴신학교를 졸업한 김재준 교수였다. 김교수의 자유주의 신학노선에 불만을 품은 보수주의 인사들이 1947년 4월 18일 대구에서 열린 제33회 장로회 총회에 신학생 51명의 진정서를 올린 것이 문제가 되어 1954년 6월 10일 기독교 장로회는 분립되었다.
(3) 1959년 또 하나의 분열이 있었다. WCC(세계 교회협의회) 가입문제를 놓고 보수진영은 WCC
에 자유주의 신학자와 공산국가에서 온 신학자들이 참여한다는 이유로 탈퇴할 것을 주장했고, 반대파는 WCC는 단일 교회나 용공단체가 아니고 세계 교회의 협의체이므로 세계 각국 교회 와의 유대를 가지면서 오늘에 주어진 교회의 사명을 다하기 위하여 계속 관계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마침내 소위 에큐메니칼측(통합측)과 N. A. E측(합동측) 장로교로 분열되고 말았다.
(4) 성결교회는 에큐메니칼측과 반에큐메니칼측 교회로 분열되었고, 침례교회도 펜윅(Fenwick)의
동아기독교와 남침례측으로 분열이 생겼으나 다시 합하게 되었다. 감리교회에서도 분열의 아픔이 있었으나 다시 연합되기도 했다.
3) 전진
분열은 비극이었으나 분열된 각 교단은 나름대로 선교적 열정을 가지고, 교단을 부흥시키기 위해 노력한 결과 한국은 각 분야에 복음이 전파되는 역사가 나타나 세계 복음화에 앞장서는 교회가 되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5.30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10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