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상담자의 마음가짐과 인성적 특성, 상담에 임하는 자세 및 태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사회복지상담자의 마음가짐

Ⅱ. 사회복지상담자의 인성적 특성

1. 일반적 시각
2. 클라이언트에 대한 지각
3. 사회복지상담자 자신에 대한 지각

Ⅲ. 상담에 임하는 자세 및 태도

1. 반영
2. 수용
1) 수용의 의미
2) 수용의 요소
3. 경청
1) 경청의 의미
2) 경청의 요소
4. 명료화
1) 명료화의 의미
2) 명료화의 지침
5. 해석
1) 해석의 의미
2) 해석의 수준
6. 즉시성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다. 사회복지상담자의 언어행동은 클라이언트의
진술 흐름에 따라야 한다.
(4) 명료화
- 명료화의 의미
명료화는 클라이언트의 말 중에서 모호한 점을 클라이언트가 확실히 알도록 해 주는
것이다. 명료화는 클라이언트가 말하고자 하는 의미를 사회복지상담자가 생각하고, 이 생
각한 바를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말해 준다는 점에서 단순한 재진술이 아니다. 또한 사회
복지상담자가 클라이언트의 반응을 이해할 수 없을 때는 분명하게 다시 말할 것을 요청하
기도 한다. "잘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 혹은 "당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좀 더 분명하게
말하여 주십시오." 등으로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명료화의 지침
명료화에 대한 일반적 지침은 다음과 같다.
· 클라미언트의 말이 모호하거나 잘 이해되지 않았음을 밝힌다.
· 클라이언트 스스로 자기 말을 계음미하고 구체적 예를 들어 명확히 할 것을 요청한다.
· 클라이언트 진술에 대한 사회복지상담자 자신의 반응을 나타냄으로써 클라이언트의
반응을 명료화한다.
· 상담자의 반응은 개인적 반응이 되지 않도록 하며, 직면과 같이 직접적이고 강렬하
지 않도록 해야 한다.
(5) 해 석
- 해석의 의미
해석은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자기의 문제를 새로운 각도에서 이해하도록 그의 생활경
험과 행동의 의미를 설명하는 것이다. 즉, 해석은 클라이언트의 말을 바꾸어 말하기나 느
낌의 반영과 크게 다른 것은 아니다. 그러나 해석을 할 때는 사회복지상담자가 클라이언
트에게 보다 새롭고 기능적인 참조체계를 제공하게 된다. 다음에 느낌의 반영 또한 바꾸
어 말하기와 비교하여 해석의 예를 보기로 한다.
클라이언트 : 제가 그렇게 자주 결근한 것에 대해 불안해집니다.
사회복지상담자 : 결근이 및었기 때문에 난처해졌고, 정말 걱정이 되겠군요(느낌의 반영). 그럴 사정이 있었겠지만 회사에서의 입장이 곤란할 정도로 결근을 너무 많이 했군요(바꾸어
말하기). 여러 번 결근한 입장에서 회사의 윗사람들이 당신을 어떻게 보고 있을지 겨
정이 된다는 얘기군요(해석).
이상의 예에서 보듯이 클라이언트가 말한 내용의 초점을 요약하면서 사회복지상담자가
타당하다고 여기는 다른 내용을 덧붙여 설명하는 것이 해석이라고 말할 수 있다.
- 해석의 수준
해석은 사회복지상담자가 클라이언트의 성격 및 문제의 배경을 파헤쳐 새로운 통찰을
갖도록 하는 신비적 기술처럼 여겨져 왔다. 그리고 해석의 수준은 참조체계와 사회복지상
담자가 해석을 통해 제공하는 참조체계 간의 간격 또는 차이의 정도로 볼 수 있다.
(6) 즉시성
상담자가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에서 사회복지상담자 자신에 대하여, 클라이언트애 대하
여 그리고 치료적 관계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표면화하는 것으로 부적절한 행동
을 파악하고 통찰을 촉진할 수 있으며, 상담의 과정을 방해하는 치료적 관계에서의 문제
를 표현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 나는 왜 당신이 내가 하고 싶지 않은 것을 하라고 계속 말하는지 모르겠어요.
상담자 : 지금 당신은 내게 화를 내고 있기 때문에 나는 매우 긴장감을 느낍니다.
즉시성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 관계의 즉시성 : 전반적인 사회복지상담자와 클라이언트 간에 발달된 관계에 초점
· 지금-여기의 즉시성(here and now immediacy) : 특정 상호작용만을 논의
* 참고문헌
- 최옥채 외(2006).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 김동배 · 권중돈(2004).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 양옥경 외(2003). 사회복지실천론. 나남출판
- 이팔환 역(2000). 사회복지실천이론의 토대. 나눔의 집
- 엄명용 외(2005).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
- 김나영(2002). 심리학 세계. 양서원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5.31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14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