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다형 문항과 암기 위주의 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선다형 문항과 암기 위주의 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선다형 문항의 개념
3. 선다형 문항의 장점
4. 선다형 문항의 문제점 ; 암기 위주의 교육에 미친 영향
4.1. 인지(recognition) 지식평가
4.2. 추측효과
4.3. 부정적인 파급효과
4.4. 소결론
5. 대안 및 해결책 모색
5.1. 문항의 형태
5.2. 오류분석
5.3. 주관식(서술형) 평가 문항
6. 한계와 제언

본문내용

형 문항을 하나의 대안으로 들 수 있다고 했지만, 이 역시 현실적인 문제점에 부딪친다. 채점의 신뢰도 객관도가 부족하며, 문장형식으로 답을 구성하므로 문제 하나에 많은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문항작성 범위가 제한되게 되어 학습사항 전반에 걸쳐서 시험을 치르는 것이 불가능해진다는 등이 그것이다. 특히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의 성적은 상위 학교로 진학하는 내신 성적으로 반영되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학생이나 학부모는 물론 교사에게도 적잖이 민감한 사항이므로 신뢰도 객관도가 부족하다는 점은 치명적인 문제가 될 수 있다. 결국 중간, 기말고사를 서술형으로 대체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며, 대학수학능력시험이나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와 같은 표준화검사(standardized test) 표준화(standardization)는 단일한 절차에 의해서 검사를 구성하고 실시하고 채점하는 것을 말한다. 표준화의목적은 모든 학생들을 동일한 조건에서 평가함으로써 수행에 대한 해석이 비교 가능하게 하여 다른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표준화는 개인이나 집단의 점수간 비교를 하는데 있어 중요하다.(Blum & Arter,1996)
의 경우, 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치러지는 시험이기 때문에 평가의 객관도를 높이고, 채점의 용이성과 공정성을 위하여 선택형 평가의 선다형 문항으로 구성되는 것이 불가피하다. 결국 서술형 문항은 선다형 문항과 보완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김재춘,부재율,소경희,채선희(2005). 예비·현직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평가.서울교육과학사.
권대훈(2005), 교육평가, 학지사.
나선미(2008), 수학과 절대평가의 실태 분석 및 수학교사의 성장참조평가 인식도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박수혜(2008), 중학교 소설 영역의 시험 출제 문항 분석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박정, 홍미영,(2002), 문항 유형에 따른 과학 능력 추정의 효율성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 22권 제 1호.
백수현(2010), 전국 고교생 경제 한마당 대회 선다형 문항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신은정(2008), 선다형 평가로서 TOEIC의 비판적 분석, 창원대학교 영어영문학 석사학위논문.
최영기(2002), 선다형 평가문항을 통한 오류분석, 수학교육논문집 제 14집.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4),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매뉴얼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6.05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26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