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 쌀의 역사와 문화
2. 쌀 가공식품산업 육성의 필요성 및 범위
Ⅱ본론
1. 쌀의 특성
2. 쌀 가공식품산업의 구조
3. 쌀 가공식품
4. 쌀 가공식품과 소비자
5. 일본의 쌀 가공 프로젝트
6. 쌀 가공식품산업 발전전략
7. 나의 쌀 가공품
Ⅲ결론
Ⅳ참고문헌
1. 쌀의 역사와 문화
2. 쌀 가공식품산업 육성의 필요성 및 범위
Ⅱ본론
1. 쌀의 특성
2. 쌀 가공식품산업의 구조
3. 쌀 가공식품
4. 쌀 가공식품과 소비자
5. 일본의 쌀 가공 프로젝트
6. 쌀 가공식품산업 발전전략
7. 나의 쌀 가공품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한다.
⑤ 손으로 치대서 완전히 매끈해질 때까지 반죽한다.
⑥ 비닐로 덮어 수분이 날아가지 않게 하고난 뒤 휴지한다.(약 10~20분간)
⑦ 식빵 틀에 기름을 발라주고, 반죽을 넣는다.(윗면에 우유를 살짝 바른다)
⑧ 발효시킨다.(약 30-1시간)
⑨ 170도에서 25-30분정도 구워준다.
쌀 빵은 쌀을 주원료(100%)로 만든 쌀 베이커리로, 쫄깃쫄깃한 식감이고, 쌀의 촉촉함과 부드러움으로 목 넘김이 좋다. 그리고 밀가루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에게는 좋은 식품이며 소화가 잘되어 어린이나 노약자가 먹기에 좋다. 또한 밀에 비해 영양소가 풍부하다(필수아미노산, 섬유질, 소화흡수율과 체내 이용률 높음). 이 방법은 가장 기본적인 빵 제조방법이다.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려면 위의 컬러 쌀을 이용해서 다양한 색상의 빵들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위의 방법은 검은깨만 부수적은 요소로 첨가하였지만 씹히는 맛을 좋아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기호에 맞게 땅콩, 아몬드 등을 넣어도 좋고 단것을 좋아하는 아이들을 위해서는 건포도, 초코칩 등을 첨가하면 좋다.
3) 쌀 쿠키
준비물 : 무염버터 120g, 설탕 140g, 소금 4g, 달걀 1개, 바닐라에센스 1/2작은술, 박력쌀가루 250g, 녹차가루 10g ***아이싱: 달걀흰자 1개, 슈거파우더 160~180g, 레몬즙 7g, 색깔별 퍼핑스타, 스프링클
① 볼에 실온의 버터를 풀다가 설탕, 소금, 달걀, 바닐라에센스 순서로 차례대로 더해가며
크림처럼 만든다.
② 여기에 박력쌀가루와 녹차가루를 체에 내려 더해 주걱으로 고루 섞는다.
③ 반죽이 한 덩어리로 뭉쳐지면 비닐에 담아 냉장고에서 30분~1시간 정도 휴지시킨다.
④ 반죽을 꺼내어 밀대로 두께 0.4cm 정도가 되도록 민다. ***덧 가루를 뿌려가며 작업한 다.
⑤ 모양 틀로 반죽을 찍어낸다.
⑥ 데프론 시트나 유산지를 깔아둔 오븐 팬에 올려 180도로 예열된 오븐에서 15분 정도 구 워 낸다. ***굽는 시간은 오븐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으니 색을 보아가며 조절한다.
⑦ 달걀흰자를 거품기로 풀어 거품이 나기 시작하면 분량의 레몬즙을 더하고, 슈거파우더로 농도를 조절해 아이싱을 만든다.
⑧ 다 구워진 쿠키는 식힘 망으로 옮겨 완전히 식혀내고, 짤 주머니에 담은 아이싱을 그려 준 뒤 마르기전에 퍼핑스타나 스프링클을 올려 장식한다.
쿠키의 특징 상 사용하는 모양 틀에 따라 다양한 쿠키가 완성된다는 것이 장점이다. 녹차 쿠키는 녹차향이 진하게 퍼지면서 쌀의 담백함을 느낄 수 있다. 밀가루를 사용한 쿠키보다 소화흡수율이 좋아 소화기능이 좋지 않은 사람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을 것이다.
Ⅲ결론
쌀 가공 식품 개발은 무엇보다 현실적인 식품 소비패턴에 부합되는 제품 위주로 이루어져야 하고 또 현대 생활감각에 맞도록 이용이 간편하고 수시로 편리하게 언제든지 구매가 가능해야 한다. 우리의 주생활도 바뀌고 사회상도 변화하여 많은 젊은 부부는 맞벌이로 혹은 부녀자의 사회진출로 가정에서 매 식사를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렇게 변화된 생활환경에 살고 있는 현대인에 적합한 쌀 가공식품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빵, 라면, 피자 등 밀가루로 만든 식품을 먹고 성장하는 어린이와 젊은 청소년들의 기호에 맞는 쌀 가공식품을 개발하여 그들이 쌀 음식을 좋아서 먹도록 만들어야 한다.
쌀 가공식품의 현재 문제점은 일단 맛의 차별화가 미흡하다는 것이다. 밀가루 제품에 소비자들은 이미 길들여져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밀보다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쌀의 홍보가 부족했다. 100% 쌀을 원료로 하여 개발된 제품들도 다수 있지만 소비자들의 인지도는 낮다. 또한 제품의 다양성이 부족하여 소비자의 선택의 폭이 제한적이었다. 마지막으로는 가격 경쟁력에서 떨어진다는 점인데 이것이 어쩌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할 수 도 있는 점이다. 쌀의 가격이 밀가루 대비 2~3배 정도 비싸기 때문에 저렴하고 맛있는 것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에게 외면을 당한 것이다.
쌀 가공 식품 개발에 있어서 쌀만을 오로지 사용하는 식품을 개발하려고 애쓰지 말고 이미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식품들을 모방하거나 이들과 유사한 식품의 주원료나 부 재료의 일부 또는 전부를 쌀로 대체하는 가공품을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까지 밀가루로 만든 빵이나 국수에 쌀가루를 일부 혼합하여 빵이나 국수를 만들어 종래의 입맛에 크게 거슬리지 않게 된다면 그것이 곧 쌀 가공 식품의 개발 이다.
또한, 쌀 가공 식품을 상품화하기 위해서는 생산 가공비가 너무 높지 않아야 한다. 대중 소비를 위해서는 제품 값이 싸고 양산체제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의 기계화 및 첨단기술 이용을 가능하게 하고 상품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포장재와 디자인 개발도 같이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우리의 무형 문화재인 전통 식품을 현대 식품공정에 적합하도록 개발기업화 할 수 있도록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건강추구를 지향하는 현대인을 위한 건강식품으로, 저칼로리, 저당도, 저 염분 및 효소 식품의 개발 등도 중요하다.
위의 제시한 내용을 토대로 소비자들의 선호도 조사를 적극 활용하면 훨씬 더 손쉽게 접근하고, 효과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쌀을 이용한 쌀 가공식품의 다양화 연구 및 국내부족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가공식품들의 개발이 미래에 더욱더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Ⅳ참고문헌
1) 쌀 가공식품산업의 현황과 발전전략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 연구위원 국승용
2) 쌀 가공 식품 산업 -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이병두, 은종방
3) 한국쌀 가공 식품 협회 - 국내의 쌀 가공식품 종류 2008
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박동규. 2002. 국내 쌀 수급 동향과 전망
5)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이현유. 1993. 쌀 가공식품의 현황과 전망. 식품기술.
6) 농림수산식품부 - 농림수산식품주요통계 2010
7) 농림수산식품부 - 양정자료 2008-2010
8)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식품성분표 2001
9) 흰쌀 편식 막아주는 천연염색밥 - http://design11111.tistory.com
10) 수제케이크 전문 - http://www.kissthecake.co.kr
⑤ 손으로 치대서 완전히 매끈해질 때까지 반죽한다.
⑥ 비닐로 덮어 수분이 날아가지 않게 하고난 뒤 휴지한다.(약 10~20분간)
⑦ 식빵 틀에 기름을 발라주고, 반죽을 넣는다.(윗면에 우유를 살짝 바른다)
⑧ 발효시킨다.(약 30-1시간)
⑨ 170도에서 25-30분정도 구워준다.
쌀 빵은 쌀을 주원료(100%)로 만든 쌀 베이커리로, 쫄깃쫄깃한 식감이고, 쌀의 촉촉함과 부드러움으로 목 넘김이 좋다. 그리고 밀가루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에게는 좋은 식품이며 소화가 잘되어 어린이나 노약자가 먹기에 좋다. 또한 밀에 비해 영양소가 풍부하다(필수아미노산, 섬유질, 소화흡수율과 체내 이용률 높음). 이 방법은 가장 기본적인 빵 제조방법이다.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려면 위의 컬러 쌀을 이용해서 다양한 색상의 빵들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위의 방법은 검은깨만 부수적은 요소로 첨가하였지만 씹히는 맛을 좋아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기호에 맞게 땅콩, 아몬드 등을 넣어도 좋고 단것을 좋아하는 아이들을 위해서는 건포도, 초코칩 등을 첨가하면 좋다.
3) 쌀 쿠키
준비물 : 무염버터 120g, 설탕 140g, 소금 4g, 달걀 1개, 바닐라에센스 1/2작은술, 박력쌀가루 250g, 녹차가루 10g ***아이싱: 달걀흰자 1개, 슈거파우더 160~180g, 레몬즙 7g, 색깔별 퍼핑스타, 스프링클
① 볼에 실온의 버터를 풀다가 설탕, 소금, 달걀, 바닐라에센스 순서로 차례대로 더해가며
크림처럼 만든다.
② 여기에 박력쌀가루와 녹차가루를 체에 내려 더해 주걱으로 고루 섞는다.
③ 반죽이 한 덩어리로 뭉쳐지면 비닐에 담아 냉장고에서 30분~1시간 정도 휴지시킨다.
④ 반죽을 꺼내어 밀대로 두께 0.4cm 정도가 되도록 민다. ***덧 가루를 뿌려가며 작업한 다.
⑤ 모양 틀로 반죽을 찍어낸다.
⑥ 데프론 시트나 유산지를 깔아둔 오븐 팬에 올려 180도로 예열된 오븐에서 15분 정도 구 워 낸다. ***굽는 시간은 오븐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으니 색을 보아가며 조절한다.
⑦ 달걀흰자를 거품기로 풀어 거품이 나기 시작하면 분량의 레몬즙을 더하고, 슈거파우더로 농도를 조절해 아이싱을 만든다.
⑧ 다 구워진 쿠키는 식힘 망으로 옮겨 완전히 식혀내고, 짤 주머니에 담은 아이싱을 그려 준 뒤 마르기전에 퍼핑스타나 스프링클을 올려 장식한다.
쿠키의 특징 상 사용하는 모양 틀에 따라 다양한 쿠키가 완성된다는 것이 장점이다. 녹차 쿠키는 녹차향이 진하게 퍼지면서 쌀의 담백함을 느낄 수 있다. 밀가루를 사용한 쿠키보다 소화흡수율이 좋아 소화기능이 좋지 않은 사람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을 것이다.
Ⅲ결론
쌀 가공 식품 개발은 무엇보다 현실적인 식품 소비패턴에 부합되는 제품 위주로 이루어져야 하고 또 현대 생활감각에 맞도록 이용이 간편하고 수시로 편리하게 언제든지 구매가 가능해야 한다. 우리의 주생활도 바뀌고 사회상도 변화하여 많은 젊은 부부는 맞벌이로 혹은 부녀자의 사회진출로 가정에서 매 식사를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렇게 변화된 생활환경에 살고 있는 현대인에 적합한 쌀 가공식품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빵, 라면, 피자 등 밀가루로 만든 식품을 먹고 성장하는 어린이와 젊은 청소년들의 기호에 맞는 쌀 가공식품을 개발하여 그들이 쌀 음식을 좋아서 먹도록 만들어야 한다.
쌀 가공식품의 현재 문제점은 일단 맛의 차별화가 미흡하다는 것이다. 밀가루 제품에 소비자들은 이미 길들여져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밀보다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쌀의 홍보가 부족했다. 100% 쌀을 원료로 하여 개발된 제품들도 다수 있지만 소비자들의 인지도는 낮다. 또한 제품의 다양성이 부족하여 소비자의 선택의 폭이 제한적이었다. 마지막으로는 가격 경쟁력에서 떨어진다는 점인데 이것이 어쩌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할 수 도 있는 점이다. 쌀의 가격이 밀가루 대비 2~3배 정도 비싸기 때문에 저렴하고 맛있는 것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에게 외면을 당한 것이다.
쌀 가공 식품 개발에 있어서 쌀만을 오로지 사용하는 식품을 개발하려고 애쓰지 말고 이미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식품들을 모방하거나 이들과 유사한 식품의 주원료나 부 재료의 일부 또는 전부를 쌀로 대체하는 가공품을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까지 밀가루로 만든 빵이나 국수에 쌀가루를 일부 혼합하여 빵이나 국수를 만들어 종래의 입맛에 크게 거슬리지 않게 된다면 그것이 곧 쌀 가공 식품의 개발 이다.
또한, 쌀 가공 식품을 상품화하기 위해서는 생산 가공비가 너무 높지 않아야 한다. 대중 소비를 위해서는 제품 값이 싸고 양산체제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의 기계화 및 첨단기술 이용을 가능하게 하고 상품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포장재와 디자인 개발도 같이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우리의 무형 문화재인 전통 식품을 현대 식품공정에 적합하도록 개발기업화 할 수 있도록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건강추구를 지향하는 현대인을 위한 건강식품으로, 저칼로리, 저당도, 저 염분 및 효소 식품의 개발 등도 중요하다.
위의 제시한 내용을 토대로 소비자들의 선호도 조사를 적극 활용하면 훨씬 더 손쉽게 접근하고, 효과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쌀을 이용한 쌀 가공식품의 다양화 연구 및 국내부족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가공식품들의 개발이 미래에 더욱더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Ⅳ참고문헌
1) 쌀 가공식품산업의 현황과 발전전략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 연구위원 국승용
2) 쌀 가공 식품 산업 -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이병두, 은종방
3) 한국쌀 가공 식품 협회 - 국내의 쌀 가공식품 종류 2008
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박동규. 2002. 국내 쌀 수급 동향과 전망
5)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이현유. 1993. 쌀 가공식품의 현황과 전망. 식품기술.
6) 농림수산식품부 - 농림수산식품주요통계 2010
7) 농림수산식품부 - 양정자료 2008-2010
8)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식품성분표 2001
9) 흰쌀 편식 막아주는 천연염색밥 - http://design11111.tistory.com
10) 수제케이크 전문 - http://www.kissthecake.co.kr
추천자료
고대의 경제발전
미국의 역사와 정치문화
한일 FTA의 경제적 영향과 협상에 대한 고찰
중국의 술과 음주문화
동학농민운동의 전반에 관하여-대전지역을 중심으로
[국제무역]한미 FTA 협상에 관한 고찰
우루과이라운드협상(UR협상) 정의, 우루과이라운드협상(UR협상) 출범배경, 우루과이라운드협...
한국사 요점 정리
학교급식(단체급식) 의의, 학교급식(단체급식) 목적, 학교급식(단체급식) 필요성, 학교급식(...
[창투사]창투사(창업투자회사, 창업투자조합)의 개념, 규모, 창투사(창업투자회사, 창업투자...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의 역사
로타바이러스 케이스
새마을운동 발표(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