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야고보서의 이해
1. 온전한 인격(1:2-4, 5:7-11)
2. 온전한 경제생활(1:9-11, 2:1-13)
3. 온전한 언어생활(1:26, 1:19-21, 3:1-12)
4. 온전한 기도생활(1:5-8, 4:1-3, 5:13-18)
Ⅲ. tevleio"와 관련된 본문 연구
1. 야고보서 1:4
2. 야고보서 1:17
3. 야고보서 1:25
4. 야고보서 2:8
5. 야고보서 2:22
6. 야고보서 3:2
7. 야고보서 5:11
Ⅳ. 결론
Ⅱ. 야고보서의 이해
1. 온전한 인격(1:2-4, 5:7-11)
2. 온전한 경제생활(1:9-11, 2:1-13)
3. 온전한 언어생활(1:26, 1:19-21, 3:1-12)
4. 온전한 기도생활(1:5-8, 4:1-3, 5:13-18)
Ⅲ. tevleio"와 관련된 본문 연구
1. 야고보서 1:4
2. 야고보서 1:17
3. 야고보서 1:25
4. 야고보서 2:8
5. 야고보서 2:22
6. 야고보서 3:2
7. 야고보서 5:11
Ⅳ. 결론
본문내용
에 대한 의미와 반대되는 것이며 5:7-11의문맥과도 반대되는 것이다. 거기에서는 인내가 반드시그리스도인이 죽거나 주께서 오시기까지 보여져야한다고 가르친다. 야고보는 고난 앞에서의 일시적인 인내가 용 이야기의 결말이 제안하는 것처럼 물질적인 풍요를 가져다 줄 것이라고는 약속하지 않는다. Ralph P. Martin, 435.
Ⅳ. 결론
야고보서에서 말하는 ‘온전한’(tevleio")은 궁극적으로 ‘온전한 사람’을 지향한다. 야고보가 말하는 ‘온전한 사람’이란 본문을 중심으로 볼 때, 그 기초와 뿌리는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2:1)이다. 또한 야고보는 ‘진리의 말씀으로 우리를 낳았다’(1:18)는 말씀을 통하여 하나님의 자녀가 됨을 확정한다. 하나님께서는 빛들의 아버지가 되시고(1:17) 그의 진리의 말씀으로 영적으로 출생한 자들은 그분의 자녀가 되는 것이다. 이것이 온전함의 시작이다. 즉 죄로 말미암아 상실된 하나님의 형상을 영광의 주되신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은혜로 회복하였다(3:9). 이로써 새로운 피조물이 되었고 새 사람, 온전한 사람의 삶이 시작된 것이다.
이처럼 온전한 사람으로 시작하여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한 사람은 마땅히 ‘내가 하나님을 믿노라’(2:14)는 말과 함께 그분을 사랑하고(2:5) 이웃을 자신의 몸과 같이 사랑하는(2:8) 으뜸가는 법(최고의 법, 왕의 법)을 지켜 행하는 행함으로 믿음을 완전케 한다(2:22).
다시 말해서 온전한 사람이 죄를 짓지 않는다거나 죄가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 예수를 믿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온전한 사람이 되었지만 ‘아직’ 최고의 법을 지켜야 하며(2:8), 약속하신 나라를 유업으로 받기까지(2:5) 시험 가운데 인내하며(1:3) ‘온전하고 구비하여 조금도 부족함이 없는’(1:4) 자리에 이르도록 힘써야 한다.
참고 자료
1. 단행본
권종선. 「신약성서 해석과 비평」. 대전: 침례신학대학교 출판부, 2002.
김경희 외 12인. 「신약성서 개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고든 피. 더글라스 스튜어트. 「책별로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김진선 역. 서울: 한국 성서유니온선교회, 2003.
시릴 브리지랜드. 프란시스 포크스. 「성경연구 가이드」. 한화룡, 정옥배 역. 서울: 한국기 독학생출판부, 1990.
The Greek New Testament 4th (UBS 4th)
2. 기타
강병도. 「호크마 종합주석: 제9권 히브리서-베드로후서」. 서울: 기독지혜사, 2000.
김명수. 「대한기독교서회 창립100주년기념 성서주석: 야고보서」.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4.
라형택. 「신약 장절 원어분해 성경: 야고보서-요한계시록」. 서울: 로고스, 1999.
제자원. 「그랜드 종합주석: 제19권 히브리서-유다서」. 서울: 제자원, 1996.
. 「옥스퍼드 원어성경대전: 야고보서, 요한서신, 유다서」. 서울: 제자원, 2002.
Craig S. Keener. 「IVP 성경배경주석: 신약」. 정옥배 외 3명 역. 서울: 한국기독교학생출판부, 1998.
데스몬드 알렉산더. 브라이언 로즈너. 「IVP 성경 신학사전」. 권연경 외 4인 역. 서울: 한 국기독학생출판부, 2004.
Ralph P. Martin. James. Word Biblical Commentary. Vol. 48. Waco, Texas: Word Books, 1988.
박시복. “야고보서의 온전함의 영성.”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02.
이승희. “언약신학 관점에서 본 야고보서에 나타난 ‘온전한’에 대한 연구.” 총신대 대학원, 2001.
권종선. “신약성서연구입문” 강의 노트. 2004년.
Ⅳ. 결론
야고보서에서 말하는 ‘온전한’(tevleio")은 궁극적으로 ‘온전한 사람’을 지향한다. 야고보가 말하는 ‘온전한 사람’이란 본문을 중심으로 볼 때, 그 기초와 뿌리는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2:1)이다. 또한 야고보는 ‘진리의 말씀으로 우리를 낳았다’(1:18)는 말씀을 통하여 하나님의 자녀가 됨을 확정한다. 하나님께서는 빛들의 아버지가 되시고(1:17) 그의 진리의 말씀으로 영적으로 출생한 자들은 그분의 자녀가 되는 것이다. 이것이 온전함의 시작이다. 즉 죄로 말미암아 상실된 하나님의 형상을 영광의 주되신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은혜로 회복하였다(3:9). 이로써 새로운 피조물이 되었고 새 사람, 온전한 사람의 삶이 시작된 것이다.
이처럼 온전한 사람으로 시작하여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한 사람은 마땅히 ‘내가 하나님을 믿노라’(2:14)는 말과 함께 그분을 사랑하고(2:5) 이웃을 자신의 몸과 같이 사랑하는(2:8) 으뜸가는 법(최고의 법, 왕의 법)을 지켜 행하는 행함으로 믿음을 완전케 한다(2:22).
다시 말해서 온전한 사람이 죄를 짓지 않는다거나 죄가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 예수를 믿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온전한 사람이 되었지만 ‘아직’ 최고의 법을 지켜야 하며(2:8), 약속하신 나라를 유업으로 받기까지(2:5) 시험 가운데 인내하며(1:3) ‘온전하고 구비하여 조금도 부족함이 없는’(1:4) 자리에 이르도록 힘써야 한다.
참고 자료
1. 단행본
권종선. 「신약성서 해석과 비평」. 대전: 침례신학대학교 출판부, 2002.
김경희 외 12인. 「신약성서 개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고든 피. 더글라스 스튜어트. 「책별로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김진선 역. 서울: 한국 성서유니온선교회, 2003.
시릴 브리지랜드. 프란시스 포크스. 「성경연구 가이드」. 한화룡, 정옥배 역. 서울: 한국기 독학생출판부, 1990.
The Greek New Testament 4th (UBS 4th)
2. 기타
강병도. 「호크마 종합주석: 제9권 히브리서-베드로후서」. 서울: 기독지혜사, 2000.
김명수. 「대한기독교서회 창립100주년기념 성서주석: 야고보서」.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4.
라형택. 「신약 장절 원어분해 성경: 야고보서-요한계시록」. 서울: 로고스, 1999.
제자원. 「그랜드 종합주석: 제19권 히브리서-유다서」. 서울: 제자원, 1996.
. 「옥스퍼드 원어성경대전: 야고보서, 요한서신, 유다서」. 서울: 제자원, 2002.
Craig S. Keener. 「IVP 성경배경주석: 신약」. 정옥배 외 3명 역. 서울: 한국기독교학생출판부, 1998.
데스몬드 알렉산더. 브라이언 로즈너. 「IVP 성경 신학사전」. 권연경 외 4인 역. 서울: 한 국기독학생출판부, 2004.
Ralph P. Martin. James. Word Biblical Commentary. Vol. 48. Waco, Texas: Word Books, 1988.
박시복. “야고보서의 온전함의 영성.”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02.
이승희. “언약신학 관점에서 본 야고보서에 나타난 ‘온전한’에 대한 연구.” 총신대 대학원, 2001.
권종선. “신약성서연구입문” 강의 노트. 200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