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이론 요약
2. 실험 결과
3. 데이터 분석 및 결과 토론
4. 최종 결론
2. 실험 결과
3. 데이터 분석 및 결과 토론
4. 최종 결론
본문내용
량 대 전하의 비를 계산하여 전자의 질량을 최초로 알아냈는데, 이는 기름방울의 전하량을 알 수 있다면, 톰슨의 질량 대 전하의 비를 이용하여 기름방울의 질량까지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는 본 실험으로 기름방울의 질량까지 측정 가능하다.
√ 전자의 전하량을 직접 측정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을까?
- 윌슨의 실험
갑작스런 팽창에 의해 이온화된 안개상자에 생성되는 구름이 중력의 영향 아래 하강하는 비율을 측정한 뒤, 이와 유사한 구름에 방향이 반대인 전장을 가해서 구름 방울의 하강 속도 비율을 비교해서 전자의 하전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 톰슨의 실험
음극선 내에서, 전자의 진로에 대해 수직으로 걸어준 전기장과 자기장에 의해 그 진로가 휘어진다. 이때 걸어준 전기장과 자기장의 크기를 잘 조절하여 전기력과 자기력을 같게 하면 전자를 직선운동하게 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사실로부터 전자의 속력과 원운동의 반지름을 구하면 를 통해 전자의 비전하를 구할 수 있고, 그 값은 약 이다.
4. 결 론
이번 실험은 밀리컨의 기름방울실험을 통해 모든 전하가 기본전하량의 정수배가 된다는 것을 아는 것이 목적이었던 실험이었다. 즉, 모든 전하의 최소량은 전자이며, 전자의 배수로써 표현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최초에 스톡스 법칙으로부터 기름방울의 반지름을 구한 후, 이를 통해 기름방울의 전하까지 측정할 수 있었으며, 이 값들을 모두 조사해보면 최종적으로는 모두 전자의 전하량인 의 배수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우리는 결론적으로 이번 실험을 통해 전하량의 최소 단위가 전자의 전하량임을 알 수 있게 되었다.
√ 전자의 전하량을 직접 측정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을까?
- 윌슨의 실험
갑작스런 팽창에 의해 이온화된 안개상자에 생성되는 구름이 중력의 영향 아래 하강하는 비율을 측정한 뒤, 이와 유사한 구름에 방향이 반대인 전장을 가해서 구름 방울의 하강 속도 비율을 비교해서 전자의 하전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 톰슨의 실험
음극선 내에서, 전자의 진로에 대해 수직으로 걸어준 전기장과 자기장에 의해 그 진로가 휘어진다. 이때 걸어준 전기장과 자기장의 크기를 잘 조절하여 전기력과 자기력을 같게 하면 전자를 직선운동하게 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사실로부터 전자의 속력과 원운동의 반지름을 구하면 를 통해 전자의 비전하를 구할 수 있고, 그 값은 약 이다.
4. 결 론
이번 실험은 밀리컨의 기름방울실험을 통해 모든 전하가 기본전하량의 정수배가 된다는 것을 아는 것이 목적이었던 실험이었다. 즉, 모든 전하의 최소량은 전자이며, 전자의 배수로써 표현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최초에 스톡스 법칙으로부터 기름방울의 반지름을 구한 후, 이를 통해 기름방울의 전하까지 측정할 수 있었으며, 이 값들을 모두 조사해보면 최종적으로는 모두 전자의 전하량인 의 배수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우리는 결론적으로 이번 실험을 통해 전하량의 최소 단위가 전자의 전하량임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