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미디어의 본질
1. 사회 제도로서의 미디어
2. 미디어의 특성
Ⅱ. 미디어의 사회적 기능
1. 환경감시의 기능
2. 상관 기능
3. 문화 전수의 기능
4. 오락 기능
* 참고문헌
1. 사회 제도로서의 미디어
2. 미디어의 특성
Ⅱ. 미디어의 사회적 기능
1. 환경감시의 기능
2. 상관 기능
3. 문화 전수의 기능
4. 오락 기능
*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는 기업이나 사회단체
또는 정치인 등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일이다. 이런 결과로써 특정한 의견이나
견해가 미디어에 자주 보도되어 실제보다 과장되게 대다수의 의견처럼 사람
들에게 인식되어지기도 한다. 실제는 저명하거나 또는 전문가가 아닌 개인이
의도적인 연출을 이용함으로써 미디어에 자주 등장하여 사람들에게 저명하
거나 전문가인 것처럼 인식되어 사회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역기능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디어는 잘못 이용되지 않도록 주의
하여야 하며 개인들도 미디어에 노출될 때 무의식적으로 수용하기보다는 이
성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최근 들어서는 시민단체들이 미디어 내용의 감시
활동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것이 사회적 세력화되고 있다. 예컨대 안티조선일
보운동 등의 활동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3) 문화 전수의 기능
문화 전수(transmitters of culture)의 기능은 미디어가 한 세대에서 다른
세대로 정보나 가치관, 규범 등을 전수해 주는 것을 말한다. 즉, 사람이 태어
난다는 것은 새로운 사회 구성원이 탄생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 새로운
사죄 구성원에게 기존 사회에 대한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새로운 사회 구성원
과 기존 구성원이 서로 공유하는 문화적 토대를 마련하여 사회적 동질성을
유지하게 된다.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은 일찍부터 미디어와 접촉하기 마련이
다. 아직 학교에 갈 나이가 되지 않은 미취학 아동도 텔레비전의 시청을 통하
여 사회에 대한 정보와 가치관, 규범 등을 습득하게 된다. 학교에 다니는
어린이나 청소년들도 학교나 가정에서 예의나 문화, 규범 등을 배우겠지만
텔레비전이나 신문 등의 미디어를 통한 사회화의 학습효과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특히 현대 사회의 다양성을 감안할 때 학교나 가정을 통한 사회화
는 그 한계를 갖게 마련이지만 미디어를 통한 사회화는 개인이 쉽게 접할
수 없는 사회의 여러 부문에 대한 다양한 적응력을 길러준다.
미디어의 문화 전수 기능은 개인에게는 사회의 다른 구성원들과 공유하는
경험을 증대시킴으로써 사회에 좀더 잘 적응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사회
전체의 차원에서 보면 사회가 동질성을 유지하여 같은 사회의 구성원이라는
유대감을 증대시킴으로써 사회적 안정을 이루는 데 기여한다. 미디어의 내용
이 개인으로 하여금 다른 사람들과 같은 사회의 구성원이라는 인식을 갖게
하여 사회적 소외감을 감소시키는 것도 미디어의 문화 전수 기능의 바람직한
측면이라고 볼 수 있다.
부정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미디어와의 접촉은 사람간의 접측과 달리 삭막
하고 비인간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미디어에 의한 문화 전수가 자칫 비
인간적인 현대 사회의 부정적인 특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소지를 지니고 있
다. 또 사람간의 접촉보다 미디어에 의한 접촉이 더 우세할 때 커뮤니케이션
에서 사람과 사람 간의 접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우려도 있다.
미디어의 문화 전수 기능의 역기능 중 하나는 문화의 다양성을 훼손시킬
염려가 있다는 점이다. 미디어의 특성상 사회의 주류 문화가 매스 미디어의
내용에서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다양한 하위문화가
사라지게 됨으로써 대중 사회의 획일적 특성이 조장될 수 있다. 미디어와의
피할 수 없는 접촉으로 사람들이 점점 동일한 말투를 쓰게 되고, 같은 스타일
의 옷을 입게 되며, 행동과 행위양식이 획일화되어 간다는 비판은 바로 이러
한 역기능의 측면을 지적한 것이다. 수많은 시간을 미디어의 이용에, 특히
텔레비전의 시청에 사용함으로써 사람들은 행동의 표준을 미디어에서 발견
하고 따라 하게 되며, 그 결과로써 사람들의 행동이 결국 동일화된다는 것이
다. 이러한 미디어에 의한 동일화 또는 표준화의 폐해로 문화 발전이 정체된
다는 비판도 있다.
(4) 오락 기능
오락(entertainment) 기능은 미디어의 중요한 기능이다. 미디어의 여러 기
능 중에서 오락 기능은 미디어가 실제적으로 사람들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가장 중요한 기능이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은 미디어의 대부분의 내용이 오락
적이거나 또는 오락과 관계가 있는 것들로 채워진 것을 볼 때 쉽게 유추할
수 있다. 언뜻 생각하기에는 객관적인 뉴스로만 채워져서 오락과 거리가 멀
것으로 인식될 수 있는 신문도 자세히 살펴보면 오락에 관련된 부분들이 의
외로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화나 소설, 칼럼 등이 오락적이고 문화나
TV/연예면도 오락적인 기사로 채워져 있다. 또 신문을 읽는 것이 단지 객관
적인 정보만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라 신문 기사를 읽는 그 자체가 즐거움을
주는 오락적인 기능도 하고 있다는 점이다.
미디어의 오락 기능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제공하는 동시에 현실의 어려
움을 잠시 잊게 해줌으로써 일상의 피곤으로부터 도피처를 제공하여 준다.
또 거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 여가 시간을 간편하게 소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비록 대중적인 취향이라 할지라도 예술이나 문화적인 내용을 제공하여 사람
들의 전반적인 문화 수준을 향상시켜 주기도 한다.
미디어의 오락 기능 역시 사회에 부정적인 역기능을 하기도 한다. 미디어
의 오락적 내용에 지나치게 탐닉하게 되면 점차 현실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결국, 현실의 생활보다 미디어의 내용에 더 집착하게 되는 현상이 개인에게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야 할 일을 하지 않고 하루 종일 텔레비전을
시청하면서 현실에서 직면하는 문제들을 외면하는 이른바 미디어 중독의 현
상이 그것이다.
또한 미디어가 지나치게 오락 기능을 강조함으로써 미디어를 통하여 제공
되는 내용이 경박해지고 통속적이 되어 사람들이 이것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사회의 평균적인 기호도 더불어 경박해지고 낮아져 저질 문화가 득세하게
된다는 주장도 있다. 이렇게 되면 우수한 예술품에 대한 감상 능력이
점점 줄어들어 전반적으로 문화적인 수준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 참고문헌
- 성동규, 사이버커뮤니케이션, 서울: 세계사. 2002
- 이재현, 인터넷과 사이버사회.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0
- 전석호, 정보사회론. 나남
- 최정호 외. 매스미디어와 사회. 나남
- 배규한. 미래사회학. 나남. 2000
- 김우룡, 정인숙. 현대미스미디어의 이해
또는 정치인 등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일이다. 이런 결과로써 특정한 의견이나
견해가 미디어에 자주 보도되어 실제보다 과장되게 대다수의 의견처럼 사람
들에게 인식되어지기도 한다. 실제는 저명하거나 또는 전문가가 아닌 개인이
의도적인 연출을 이용함으로써 미디어에 자주 등장하여 사람들에게 저명하
거나 전문가인 것처럼 인식되어 사회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역기능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디어는 잘못 이용되지 않도록 주의
하여야 하며 개인들도 미디어에 노출될 때 무의식적으로 수용하기보다는 이
성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최근 들어서는 시민단체들이 미디어 내용의 감시
활동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것이 사회적 세력화되고 있다. 예컨대 안티조선일
보운동 등의 활동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3) 문화 전수의 기능
문화 전수(transmitters of culture)의 기능은 미디어가 한 세대에서 다른
세대로 정보나 가치관, 규범 등을 전수해 주는 것을 말한다. 즉, 사람이 태어
난다는 것은 새로운 사회 구성원이 탄생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 새로운
사죄 구성원에게 기존 사회에 대한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새로운 사회 구성원
과 기존 구성원이 서로 공유하는 문화적 토대를 마련하여 사회적 동질성을
유지하게 된다.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은 일찍부터 미디어와 접촉하기 마련이
다. 아직 학교에 갈 나이가 되지 않은 미취학 아동도 텔레비전의 시청을 통하
여 사회에 대한 정보와 가치관, 규범 등을 습득하게 된다. 학교에 다니는
어린이나 청소년들도 학교나 가정에서 예의나 문화, 규범 등을 배우겠지만
텔레비전이나 신문 등의 미디어를 통한 사회화의 학습효과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특히 현대 사회의 다양성을 감안할 때 학교나 가정을 통한 사회화
는 그 한계를 갖게 마련이지만 미디어를 통한 사회화는 개인이 쉽게 접할
수 없는 사회의 여러 부문에 대한 다양한 적응력을 길러준다.
미디어의 문화 전수 기능은 개인에게는 사회의 다른 구성원들과 공유하는
경험을 증대시킴으로써 사회에 좀더 잘 적응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사회
전체의 차원에서 보면 사회가 동질성을 유지하여 같은 사회의 구성원이라는
유대감을 증대시킴으로써 사회적 안정을 이루는 데 기여한다. 미디어의 내용
이 개인으로 하여금 다른 사람들과 같은 사회의 구성원이라는 인식을 갖게
하여 사회적 소외감을 감소시키는 것도 미디어의 문화 전수 기능의 바람직한
측면이라고 볼 수 있다.
부정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미디어와의 접촉은 사람간의 접측과 달리 삭막
하고 비인간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미디어에 의한 문화 전수가 자칫 비
인간적인 현대 사회의 부정적인 특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소지를 지니고 있
다. 또 사람간의 접촉보다 미디어에 의한 접촉이 더 우세할 때 커뮤니케이션
에서 사람과 사람 간의 접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우려도 있다.
미디어의 문화 전수 기능의 역기능 중 하나는 문화의 다양성을 훼손시킬
염려가 있다는 점이다. 미디어의 특성상 사회의 주류 문화가 매스 미디어의
내용에서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다양한 하위문화가
사라지게 됨으로써 대중 사회의 획일적 특성이 조장될 수 있다. 미디어와의
피할 수 없는 접촉으로 사람들이 점점 동일한 말투를 쓰게 되고, 같은 스타일
의 옷을 입게 되며, 행동과 행위양식이 획일화되어 간다는 비판은 바로 이러
한 역기능의 측면을 지적한 것이다. 수많은 시간을 미디어의 이용에, 특히
텔레비전의 시청에 사용함으로써 사람들은 행동의 표준을 미디어에서 발견
하고 따라 하게 되며, 그 결과로써 사람들의 행동이 결국 동일화된다는 것이
다. 이러한 미디어에 의한 동일화 또는 표준화의 폐해로 문화 발전이 정체된
다는 비판도 있다.
(4) 오락 기능
오락(entertainment) 기능은 미디어의 중요한 기능이다. 미디어의 여러 기
능 중에서 오락 기능은 미디어가 실제적으로 사람들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가장 중요한 기능이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은 미디어의 대부분의 내용이 오락
적이거나 또는 오락과 관계가 있는 것들로 채워진 것을 볼 때 쉽게 유추할
수 있다. 언뜻 생각하기에는 객관적인 뉴스로만 채워져서 오락과 거리가 멀
것으로 인식될 수 있는 신문도 자세히 살펴보면 오락에 관련된 부분들이 의
외로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화나 소설, 칼럼 등이 오락적이고 문화나
TV/연예면도 오락적인 기사로 채워져 있다. 또 신문을 읽는 것이 단지 객관
적인 정보만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라 신문 기사를 읽는 그 자체가 즐거움을
주는 오락적인 기능도 하고 있다는 점이다.
미디어의 오락 기능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제공하는 동시에 현실의 어려
움을 잠시 잊게 해줌으로써 일상의 피곤으로부터 도피처를 제공하여 준다.
또 거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 여가 시간을 간편하게 소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비록 대중적인 취향이라 할지라도 예술이나 문화적인 내용을 제공하여 사람
들의 전반적인 문화 수준을 향상시켜 주기도 한다.
미디어의 오락 기능 역시 사회에 부정적인 역기능을 하기도 한다. 미디어
의 오락적 내용에 지나치게 탐닉하게 되면 점차 현실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결국, 현실의 생활보다 미디어의 내용에 더 집착하게 되는 현상이 개인에게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야 할 일을 하지 않고 하루 종일 텔레비전을
시청하면서 현실에서 직면하는 문제들을 외면하는 이른바 미디어 중독의 현
상이 그것이다.
또한 미디어가 지나치게 오락 기능을 강조함으로써 미디어를 통하여 제공
되는 내용이 경박해지고 통속적이 되어 사람들이 이것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사회의 평균적인 기호도 더불어 경박해지고 낮아져 저질 문화가 득세하게
된다는 주장도 있다. 이렇게 되면 우수한 예술품에 대한 감상 능력이
점점 줄어들어 전반적으로 문화적인 수준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 참고문헌
- 성동규, 사이버커뮤니케이션, 서울: 세계사. 2002
- 이재현, 인터넷과 사이버사회.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0
- 전석호, 정보사회론. 나남
- 최정호 외. 매스미디어와 사회. 나남
- 배규한. 미래사회학. 나남. 2000
- 김우룡, 정인숙. 현대미스미디어의 이해
추천자료
청소년수련시설의 개요와 현황 및 활성화 방안 - 청소년 수련시설의 개요, 필요성, 기본원리,...
(한국사회문제C형)홍익대 청소노동자와 같은 파견노동자의 노동현실 개선방안모색-파견노동자...
[사회복지개론] 노인 문제의 개념과 현황 및 대응 방안(고령화의 진입은 여러가지 노인문제를...
[공연문화][공연문화 대상][공연문화 장소][공연문화 현황][공연문화 문제점][공연문화 활성...
[은행수수료, 은행, 수수료, 은행수수료 구조, 은행수수료 체계, 은행수수료 수익현황, 은행...
방과후학교의 개요, 현황, 방과후학교의 개선방안 - 방과후학교의 개념, 추진배경, 목표, 특...
우리나라 아동복지 시설의 현황과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방안을 논하시오(아동시설의 현황과...
아동복지 실천 대상자별 중 한 분야를 선택해서 개념, 현황, 문제점, 개선방안을 정리하시오 ...
교원 행정업무 부담 현황 분석과 개선 방안 탐색 (연구방법과 분석결과,연구방법,교원 행정업...
지역사회 청소년 수련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 파악과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 (지역사회 청...
노인여가(老人餘暇)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서술하시오 {노인여가의 특성과 현황 및 문제점, ...
[감정노동자 실태와 문제점 해결방안] 감정노동자 - 감정노동자의 특징, 감정노동자 원인, 감...
[도시숲 조성사례] 도시숲의 중요성, 현황, 조성사례, 도시숲 보전방안 - 도시숲 중요성, 현...
[청년실업] 청년실업 현황, 해외 사례, 청년실업 해결방안 - 청션실업 현황, 해외 사례,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