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영화] 디지털 영화의 개념과 특징 및 함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디지털 영화의 개념

Ⅱ. 디지털 영화의 특징 및 함의

* 참고문헌

본문내용

T>, <고양이 펠릭스>나 <미키마우스 Mickey Mouse>와 같은 애니메이션에서 중력의 법칙이 무시되는 등의 사례가 <백설 공주>, <포카혼타스 Pocahontas) (1995) 등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다. 기존의 애니메이션은 대부분 등장 인물의 모양이 늘어나거나 찌부러
지고 혹은 다른 물체로의 변형이 나타나기도 하고, 배경은 물론 인물의
동기화 역시 노골적인 비현실성을 감추지 않는 등 자기 반영적self reflex
-ive인 특징이 있다. 진지한 영화에서는 금기시되는 이러한 자기 반영적인
효과는 만화 영화를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말 것을 지시하며 이렇듯 이완
된 상태는 수용자를 더욱 더 영화 내용에 젖어들게 한다(Stam 1992).
그러나 월트 디즈니 및 픽사에서 제작된 애니메이션은 등장 인물의
모습이나 설정 그리고 배경이 실재 세계의 물리학을 따를 뿐만 아니라,
서사 구조에 있어서도 리얼리즘적 관습을 채택하고 있다. 이들 애니메이
션에서의 하이퍼리얼리즘은 지시 대상에 대한 직접적인 재현이라기보다
는 실사 영화의 표현 양식에 대한 재매개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렇다고 디즈니와 픽사의 애니메이션이 실사 영화의 표현 양식을
충실하게 답습하는 데만 그치지 않으며, 오히려 핍진성을 넘어서기도
한다. 애니메이션이 기본적으로 지니고 있는 환상성 혹은 자기 반영적
인 특징이 다른 방식으로 구현되는데, 현실 세계의 물리적 법칙이 과장
됨으로써 혹은 캐릭터의 디자인에서 애니메이션다운 특성이 부가됨으로
써 그러하다. 결국 하이퍼리얼리즘은 애니메이션의 법위 내에서 실사
영화를 재매개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토이 스토리>,<덕스 라이프>
(1998), <개미> (1998) , <슈렉> (200l) 등의 애니메이션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스팩터클 리얼리즘Spectacular realism은 영화의 내러티브
나 캐릭터화와 같은 요소들에 대한 영상 이미지의 우위를 말한다. 특수
효과, 스턴트, 춤과 노래와 같은 영화의 영상적 요소는 관객으로 하여금
영화의 서사 구조나 인물의 발전으로부터 관심을 분산시키게 한다. 현
실적으로 불가능한 행동과 환상적인 사건, 기이한 등장 인물의 이미지
들은 사실상 리얼리즘을 위협하는 것이지만, 관객은 절대로 이루어질
수 없는 장면에서 고도의 정확성과 매끄러운 표현을 만들어내는 방식에
감탄하게 된다. 디지털 영화는 이국적이고 불가능한 행위와 사건을 묘
사함에도 불구하고 극단적인 리얼리즘을 추구하는 것이다. 스팩터클과
리얼리즘은 현재의 대중 영상 문화가 보여 주는 특성을 이해하는 데 중
심적인 역할을 한다.
* 참고문헌
- 이재현(2004). 모바일 미디어와 모바일사회.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송민정(2003). 디지털미디어와 콘텐츠의 이해. 서울: 진한도서
- 주형일(2004). 영상 매체와 사회. 서울: 한울
- 김영석(2000). 디지털 미디어와 사회. 서울: 나남
- 류현주(2000). 하이퍼텍스트 문학. 서울: 김영사
- 이재현(2000). 인터넷과 사이버 사회.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6.09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33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