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미디어의 세계] 케이블 TV, 위성방송, 데이터방송, 양방향 TV 서비스, 인터넷 TV, 위성 DMB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뉴미디어의 세계

Ⅰ. 케이블 TV

Ⅱ. 위성방송

Ⅲ. 데이터 방송

Ⅳ. 양방향 TV 서비스: EPG, PVR, VOD 등

Ⅴ. 인터넷 TV

Ⅵ. 위성 DMB

* 참고문헌

본문내용

식의 개발에 힘입어 특히 디지털 케이
블 TV의 서비스에서 주요한 서비스 아이템으로 부각되고 있다. 반면, 지상파
방송과 위성방송에서는 일방향적 전송망의 특성상 VOD의 실현이 어려울 것
으로 보이지만, 위성방송의 경우 주문형 방식을 풍부한 전송용량에 응용한
NV0D(near 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시작하여 초기 가입자들의 많은
주목을 받은 바 있다.
(5) 인터넷 TV
인터넷 TV란 인터넷 서비스 접속의 단말기를 기존의 PC가 마닌 TV.수상기
를 이용하는 것이다. 인터넷 TV는 또 다른 형태의 인터넷과 TV의 결합인
스트리밍(streaming) 기술을 통해 PC에서 TV와 같은 동영상 정보를 서비스
하는 인터넷방송과는 구분되는 서비스로, 1996년 미국 웹TV(Web TV)사가
TV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셋톱박스를 개발하면서 등장하였다. 이
후국내외에서 여러 업체가 비슷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인터넷 TV 시장에
뛰어들어 경쟁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TV는 TV화면에 적합한 인터넷 콘텐츠의 부족으로 현재까
지는 기대만큼의 폭발력을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 TV만을
제공하는 사업자의 경우는 틈새시장의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고 시장에서 퇴
출되는 사례도 나타났다. 반면, 디지털 TV서비스의 플랫폼과 연계된 인터넷
TV의 경우 서비스의 단계를 서서히 높여가며 디지털방송의 주요한 서비스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현재는 PC 화면과 TV 화면의 해상도의 차이로 인해
TV 화면에 맞는 콘텐츠를 별도로 구성한 Walled Garden 형식의 서비스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향후에는 일반적인 인터넷 콘텐츠와 완벽하게 호환되
는 서비스로 진화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6) 위성 DMB
위성 DMB 서비스는 최근에 새로이 출현한 서비스로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개인휴대 단말기나 차량용 단말기로 다양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
공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처음에는 라디오방송과 일부 텍스트 및 영상 정보
가 포함된 서비스가 주를 이루었지만, 현재는 동영상 콘텐츠의 제공까지 가
능한 수준으로 진화되었다. 실제로 미국의 XM 라디오(XM Radio)는 100개의
라디오 채널과 일부의 데이터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시작할 예정인 서비스는 TV 채널과 라디오 채널, 그리고 데이터서비스를 모
두 제공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다만, 아직까지 위성 DMB는 서비스 제공자로
부터 단말기로의 일방향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우나 향후 이동전화망과의 연동을 통한 양방향 송수신이 가능할 경우 본격
적인 융합 서비스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위성 DMB 서비스는 TV 방송의 진화에 의한 것이 아니라 새로이
출현하는 이동성(mobility)을 중심으로 한 개인 지향적 서비스라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디지털 기술에 의해서 전혀 새로운 서비스 영역이
생겨났고, 국내외를 막론하고 기존에 시장에 존재하지 않던 사업자가 새로이
진출하였거나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한편, 위성
을 통하지 않고 지상파를 통해 제한된 수의 TV와 라디오 채널을 제공하는
지상파 DMB도 추진되고 있다. 향후 위성 DMB와 지상파 DMB 서비스의
경쟁 및 보완관계 형성 여부가 주목된다고 하겠다.
* 참고문헌
- 성동규, 사이버커뮤니케이션, 서울: 세계사. 2002
- 이재현, 인터넷과 사이버사회.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0
- 전석호, 정보사회론. 나남
- 최정호 외. 매스미디어와 사회. 나남
- 배규한. 미래사회학. 나남. 2000
- 김우룡, 정인숙. 현대미스미디어의 이해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6.09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33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