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범죄의 유형] 사이버테러형 범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사이버범죄의 유형

Ⅰ. 사이버테러형 범죄

1. 해킹 관련 사범
1) 사이버 절도
2) 사이버 비밀침해
3) 사이버 정보파괴
4) 전자문서 위작
5) 해킹에 의한 사이버 사기
2. 컴퓨터바이러스 제작 및 유포 행위
3. 사이버 스파이
4. 비밀번호 도용을 통한 청와대 사칭사건
5. 홈뱅킹 예금인출 사건
6. 카이스트 대학원생의 해킹사건

* 참고문헌

본문내용

준 것이다. 컴퓨터 해커들의 해킹 유형은 주로 통신서비스
의 불법적인 사용과 통신망을 통한 시스템의 무단접속으로 하여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학교나 공공기관 등에서의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나 자체 소유의 자료가 파손될 경우에는 복구도 어려울 것이거니와 국가적으로
피해가 심각해질 것이다. 그리고 특히 통신망 서비스기관의 보다 확실한 정보보
안관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5) 홈뱅킹 예금인출 사건
다른 사건들은 불법으로 네트워크에 침입 , 시스템 자료를 파괴하는 성격이었던
것에 반해 이것은 하이텔 및 은행의 홈뱅킹 비밀번호를 도용한 사건이다. 인천지
역 통신모임인 인디텔 회원인 김모 씨는 인디텔 접속을 시도하던 중 시스템 관리
자만이 접근 가능한 시스템운영 프로그램에 접속할 수 있었다. 인디텔 회원 2천
여 명의 이름, 고유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이 담긴 자료를 확보한 그는 시행착오를
거쳐 하이텔과 인디텔의 비밀번호를 같이 쓰는 사용자 170여 명을 우선 분리했
다.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하이텔 홈뱅킹서비스에 접속하여 4명의 비밀번호가 일
치하는 것을 알고 예금잔고를 조회, 이들 중 2명의 계좌를 통해 돈을 인출하여 자
신의 계좌에 이체시켰다. 홈뱅킹서비스와 암호관리체계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 준
사건이다. 또한 지역정보화서비스 운영자 측에서 시스템 보안관리를 철저히 하지
않았다는 점도 지적 된다.
(6) 카이스트 대학원생의 해킹사건
카이스트 대학원생들의 부도덕한 해킹사건은 우리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그들은 전산망 보안사고 및 해킹방지 기법 연구를 표방하는 동아리 핵심 성원들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포항공대 등 타 대학 전산시스템에 몰래 침투하여 귀중한
연구자료를 삭제하는 범죄를 저질렀다. 국내 최고 수준의 해킹기술을 이용하여
접속 근거 파일 등 범행흔적을 철저히 지워 추적하기 어렵도록 가능한 조치를 해
놓았기 때문에 수사기관의 실제 적발에 이르기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
와 비슷한 사건으로 대전 한남대학교 전자게시판(Bulletin Board System: BBS)
침입사건도 있다.
* 참고문헌
- 원석조(2004). 사회문제론. 양서원
- 김영화(2005). 정치경제학적 사회문제론. 교육과학사
- 최선화 외(2002).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양서원
- 김경동(1998). 현대의 사회학. 박영사
- 홍금자 외(2008). 교정복지론. 학현사
- 통계청(2009). 사회통계조사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6.09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35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