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전달체계와 복지-노동 연계 현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영국의 전달체계와 복지-노동 연계 현황

Ⅰ. 영국 공공복지의 발달 과정

Ⅱ. 영국 공공복지의 노동 연계를 위한 재편

* 참고문헌

본문내용

애 인세금공제(Disabled
PersonTax Credit),구직자수당, 소득보조(Income Support)의 네 가지 제도로 구조화된 체계를 갖추어 대상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근로유인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최근 근로연계복지체계 개편을 위한 행정체계 개편이 가속화되고 있다.
우선 사회적 서비스 급여와 고용의 통합적 적용을 위해 근로연금부 산하에
확대구직센터(b Centre Plus)가 신설되었다. 확대구직센터는 기존의 구
직센터와 사회보장사무소를 통합한 것으로, 2003년 6월 현재 전국적으로
26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2006년까지는 전국적으로 설치될 예정이다.
완전 통합 전까지는 기존 구직센터와 사회보장사무소에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확대구직센터 에서는 16-65세의 남녀를 대상
으로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에게는 일과 교육훈련을, 일을 할 수 없는 사람
에게는 적절한 재정지원을 한다. 그 외 구직자를 찾는 고용주들을 위한 서
비스도 제공하고 있다(www. jobcentreplus. gov. uk).
인적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 인력의 추이를 보면 1992년 23만
4,240명에서 2001년 21만 2,000명으로 약간의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가정봉사원(home help service)의 경우 1992년 5만 8,004명에서 2001년
4만,200명으로, 재가봉사원(residental care staff)의 경우도 1992년 7만
8,918명에서 2001년 5만 3,800명으로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비해 현장사회사업가(Field Social Workers)들은 1992년 2만 6,509명
에서 2001년 3만 5,200명으로 소폭이지만 지속적인 증가를, 주간봉사원
(Day care establishments staff)의 경우는 1992년 2만 8,596명에서 2001년 2만 9,500명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참고문헌
- 이태수(2008). 민주화 이후 복지정책의 변화와 과제. 사회경제평론
- 강혜규(2008). 사회복지서비스 공공 전달체계 개선 방안
- 김용학(2004). 사회연결망 이론. 박영사
- 김연명(2003). 복지국가성격논쟁. 인간과 복지
- 유재원, 소순창(2005). 정부인가 거버넌스인가? 계층제인가 네트워크인가?
- 이인재(2005). 참여정부의 지역복지정책 현황과 발전방향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6.09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36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