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원인
3) 병태 생리
4) 증상
5) 진단
6) 직장암의 치료
7) 예후
8) 재발된 대장, 직장암의 치료
9) 예방
10) 식이요법
2) 원인
3) 병태 생리
4) 증상
5) 진단
6) 직장암의 치료
7) 예후
8) 재발된 대장, 직장암의 치료
9) 예방
10) 식이요법
본문내용
입, 점액성 또는 반지세포 종양, 결장폐쇄 혹은 천공, 40세 이하, 남성, 진단 시 유 증상, 높은 등급의 종양, 직장S상 결장에 위치한 종양, 수술전 CEA 수치의 상승(>5.0 ng/mL) 등이다.
단계
병리상태
생존률
(%)
Dukes
TNM
Numerical
A
T1 N0 M0
Ⅰ기
점막과 피하점막에 머물러 있는 상태
>90
B1
T2 N0 M0
Ⅱ기
근육(대장벽)으로 침입된 상태
85
B2
T3 N0 M0
Ⅲ기
장막 또는 내부까지 침입된 상태
70-80
C
Tx N1-3 M1
Ⅳ기
림프절 전이가 일어난 상태
35-65
D
Tx Nx M1
Ⅴ기
간, 폐의 장기로 원격전이가 일어난 상태
5
8) 재발된 대장, 직장암의 치료
: 대장암이나 직장암의 경우, 수술 후 암이 다른 장소에 퍼져서 재발되는 경우와 수술한 부위나 그 주위에 재발되는 경우가 있다. 재발은 크게 전이성 재발과 국소성 재발로 나누며 전이성인 경우는 수술한 부위와 멀리 암세포가 혈관이나 림프관을 따라서 떨어져 나가 간이나 폐, 뇌, 뼈 등에서 자라나는 것을 이야기하며 국소성 재발은 수술한 부위에서 암이 재발하는 것을 이야기 한다. 대장암의 경우는 국소성 재발보다는 전이성 재발이 많다.
직장암의 경우는 해부학적으로 주위 장기와가깝게 있으며 복막이 없기 때문에 주위 장기로의 암세포의 침윤이 많아서 국소성 재발이 더욱 많다. 가장 많은 전이성 재발은 간에서 생기며 다음으로는 폐, 뼈, 뇌 등의 순서이다. 비교적 초기 증상으로는 미역, 전신 피로감, 우상복부의 통증 등이다.
9) 예방
아스피린을 비롯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의 예방 효과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95%이상의 직장암이 선종성 용종에서 기인한다는 보고가 있고 선종을 발견해서 제거해 줌으로써 대장암의 발생을 70~90% 줄일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아직 효과가 인정되지는 않았지만 일부에서는 다음과 같은 예방 식이요법을 권하고 있다.
① 지방 섭취를 전체 칼로리의 30% 이하로 줄인다.
② 1일 섬유질 섭취량을 20~30 gram으로 늘인다.
③ 야채와 과일 섭취를 늘인다.
④ 체중을 줄여서 비만이 되지 않도록 한다.
⑤ 음주량을 적절히 조절하고 금연하도록 한다.
⑥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10) 식이요법
- 비만이 암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므로 칼로리가 높은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특히, 붉은 곡, 고단백질, 고지방 섭취를 줄이도록 한다. 조리할 때도 튀기고, 직접 불에 굽고, 훈제하는 방법보다는 찜을 이용한다.
- 신선한 과일과 야채를 많이 섭취하도록 한다. 섬유소 자체는 대장암이 생기는 것을 막아준다는 증거는 없으나 섬유소가 많이 들어 있는 채소, 과일, 도정이 덜된 곡규의 섭취는 그 식품들에 각종 항산화 물질과 유익한 무기질이 들어 있을 뿐만 아니라 더불어 포만감을 주기 때문에 섭취하는 총 칼로리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 칼슘은 담즙산, 지방산과 결합하여 직장상피세포에 담즙산이나 지방산이 나쁘게 작용하는 것을 막는다고 알려져 있어 충분한 칼슘섭취는 직장암 예방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효과적인 칼슘 섭취량에 대해서는 좀더 연구가 필요하다.
- 과도한 음주는 직장암의 위험을 높이므로 삼간다.
■ 참고 문헌 ■
ㆍ성인간호학, 서문자 외, 수문사, 서울, 2006
ㆍ이향련 외 여섯째판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ㆍ이강이 외 (2007) 건강사정, 현문사
ㆍ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P209-225
ㆍ국립암센터, http://www.ncc.re.kr/
인터넷 자료
ㆍDruginfo(http://www. druginfo.co.kr)
ㆍ진단검사(http://www. laboratories.co.kr)
단계
병리상태
생존률
(%)
Dukes
TNM
Numerical
A
T1 N0 M0
Ⅰ기
점막과 피하점막에 머물러 있는 상태
>90
B1
T2 N0 M0
Ⅱ기
근육(대장벽)으로 침입된 상태
85
B2
T3 N0 M0
Ⅲ기
장막 또는 내부까지 침입된 상태
70-80
C
Tx N1-3 M1
Ⅳ기
림프절 전이가 일어난 상태
35-65
D
Tx Nx M1
Ⅴ기
간, 폐의 장기로 원격전이가 일어난 상태
5
8) 재발된 대장, 직장암의 치료
: 대장암이나 직장암의 경우, 수술 후 암이 다른 장소에 퍼져서 재발되는 경우와 수술한 부위나 그 주위에 재발되는 경우가 있다. 재발은 크게 전이성 재발과 국소성 재발로 나누며 전이성인 경우는 수술한 부위와 멀리 암세포가 혈관이나 림프관을 따라서 떨어져 나가 간이나 폐, 뇌, 뼈 등에서 자라나는 것을 이야기하며 국소성 재발은 수술한 부위에서 암이 재발하는 것을 이야기 한다. 대장암의 경우는 국소성 재발보다는 전이성 재발이 많다.
직장암의 경우는 해부학적으로 주위 장기와가깝게 있으며 복막이 없기 때문에 주위 장기로의 암세포의 침윤이 많아서 국소성 재발이 더욱 많다. 가장 많은 전이성 재발은 간에서 생기며 다음으로는 폐, 뼈, 뇌 등의 순서이다. 비교적 초기 증상으로는 미역, 전신 피로감, 우상복부의 통증 등이다.
9) 예방
아스피린을 비롯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의 예방 효과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95%이상의 직장암이 선종성 용종에서 기인한다는 보고가 있고 선종을 발견해서 제거해 줌으로써 대장암의 발생을 70~90% 줄일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아직 효과가 인정되지는 않았지만 일부에서는 다음과 같은 예방 식이요법을 권하고 있다.
① 지방 섭취를 전체 칼로리의 30% 이하로 줄인다.
② 1일 섬유질 섭취량을 20~30 gram으로 늘인다.
③ 야채와 과일 섭취를 늘인다.
④ 체중을 줄여서 비만이 되지 않도록 한다.
⑤ 음주량을 적절히 조절하고 금연하도록 한다.
⑥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10) 식이요법
- 비만이 암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므로 칼로리가 높은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특히, 붉은 곡, 고단백질, 고지방 섭취를 줄이도록 한다. 조리할 때도 튀기고, 직접 불에 굽고, 훈제하는 방법보다는 찜을 이용한다.
- 신선한 과일과 야채를 많이 섭취하도록 한다. 섬유소 자체는 대장암이 생기는 것을 막아준다는 증거는 없으나 섬유소가 많이 들어 있는 채소, 과일, 도정이 덜된 곡규의 섭취는 그 식품들에 각종 항산화 물질과 유익한 무기질이 들어 있을 뿐만 아니라 더불어 포만감을 주기 때문에 섭취하는 총 칼로리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 칼슘은 담즙산, 지방산과 결합하여 직장상피세포에 담즙산이나 지방산이 나쁘게 작용하는 것을 막는다고 알려져 있어 충분한 칼슘섭취는 직장암 예방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효과적인 칼슘 섭취량에 대해서는 좀더 연구가 필요하다.
- 과도한 음주는 직장암의 위험을 높이므로 삼간다.
■ 참고 문헌 ■
ㆍ성인간호학, 서문자 외, 수문사, 서울, 2006
ㆍ이향련 외 여섯째판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ㆍ이강이 외 (2007) 건강사정, 현문사
ㆍ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P209-225
ㆍ국립암센터, http://www.ncc.re.kr/
인터넷 자료
ㆍDruginfo(http://www. druginfo.co.kr)
ㆍ진단검사(http://www. laboratories.co.kr)
추천자료
무의식 (혼수)환자 간호 요약정리! 레포트!
ocu 성의 생물학 <남성과 여성의 호르몬> 만점 레포트
갑상선(Thyroid Gland), 담석증 문헌고찰 간호학과 레포트
섭식장애의 개념, 원인, 주요이론, 섭식장애 개입방법 및 치료방안 [A+ 추천 레포트]
학습장애의 개념, 원인, 치료법 및 학습장애 치료 프로그램 [A+ 추천 레포트]
장애아동의 복지실태와 문제점 및 장애아동 복지 개선 방안 레포트 자료
「한국전통식을 통한 소아성인병예방」 열린사이버대학교 보고서 작성 스킬업 중간고사 대체 ...
감각계 건강문제와 간호 - 성인간호학 감각계, 성인간호학 감각계 요약 정리 감각계 레포트 ,...
[생리학, 성인간호학] 제 11장 체액과 전해질 정리 레포트
성인간호학) 과민성대장증후군IBS A++(사전학습자료, 문헌고찰, 레포트)
간호이론B형 2017 스트레스이론 간호이론 B형 스트레스이론과 관련해 작성.- 방송통신대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