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내분비 장애 대상자 간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내분비계의 건강과 질병

Ⅱ 뇌하수체 장애

Ⅲ 당질 대사장애 : 당뇨병

Ⅳ 갑상샘 기능장애

Ⅴ 부갑상샘 기능장애

Ⅵ 부신 기능장애

본문내용

테타니, 우울, 불안, 정서적 불안정, 수명, 복시, 치아의 에나멜 손상
4) 진단검사 : 뇌파검사, 임상검사, 심전도 검사, CT
5) 치료 : 저칼슘혈증과 저마그네슘혈증의 치료, 비타민 D 보충 등
Ⅵ 부신 기능장애
구조와 기능
- 좌우 한 쌍으로 신장의 상부에 피라미드 모양으로 위치
1) 부신피질 :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염류, 수분, 당질, 지질대사 등에 중요한 조절작용
- 당류피질호르몬, 염류피질호르몬, 성호르몬
2) 부신수질 : 선 분비세포들을 가진 교감신경절로 이루어져 있어서 교감신경계를 자극하면 catecholamine이 분비
진간검사
1. 부신피질 기능검사
1) 혈청 cortisol
- 초기 증상 중 하나는 1일 리듬의 소실
2) 혈장 레닌 활성도
- 혈장 renin 활성도는 0.77~4.6 nmol/L/hr의 범위를 가지지만 염분 섭취와 자세에 따라 달라짐
3) 혈청 알도스테론
- 아침에 최고치에 도달하고 저녁에는 낮아지는 1일 리듬이 있으므로 아침 일찍 채혈
4) 혈청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 분비는 아침보다 초저녁에 농도가 더 낮은 1일 리듬을 갖음
5) 소변 내 17-Hydroxycorticosteroid
- 소변 내 androgen의 대사산물을 측정하여 부신피질과 성샘의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
6) 소변 내 유리 cortisol
- 24시간 동안 신장으로 배설되는 유리 cortisol을 측정하는 검사
7) 소변 내 알도스테론 농도
- 원발성과 속발성 알도스테론증을 진단하는 데 유용
8) Dexamethasone 억제검사
- 뇌하수체와 부신 간의 음성회환기전을 이용
9)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급속 자극검사
- 정상인에게 ACTH를 주입하면 혈장 cortisol 치가 증가한다는 원리에 근거
2. 부신수질 기능검사
1) 혈장 catecholamine
- 부신수질 질환을 진단하는 데 유용하나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으므로 일회 측정하여 지단하기는 어려움
2) 요중 Vanillymandelic acid
- epinephrine과 norepinephrine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부신수질 종양이 있을 때 상승
3) 요중 Homovanillic acid
- norepinephrine의 전구체인 dopamine 분해의 지표
4) 총 요중 catecholamine
- 부신수질 종양 환자에서 상승
부신피질 기능장애
1. 부신피질 기능항진증
1) 쿠싱증후군 : 만성적으로 당류피질호르몬이 과다하여 나타나는 증상과 징후
(1) 병태생리 : 뇌하수체 종양과 이소성 ACTH 생성 종양이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을 과잉 분비하여 부신피질을 증식
(2) 임상증상
① 단백질 대사장애 : 근육소모, 골다공증, 척추의 압박 골절, 반상출혈, 상처치유 지연
② 지방 대사장애 : 만월형 얼굴, 체간 비만 등
③ 탄수화물 대사장애 : 고혈당과 당뇨병
④ 염증과 면역반응장애 : 세포매개성 면역의 감소, 호중구 증가, 항체 활동장애 등
⑤ 수분과 전해질 대사장애 : 체중의 증가와 부종, 고혈압, 저포타슘혈증
⑥ 정서적 불안정 : 불안정과 불안, 경한 우울
⑦ 혈액학적 장애 : 적혈구,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상승
⑧ 과도한 androgen 활동
⑨ 색소침착
(3) 진단검사 : 혈장과 소변 cortisol 검사, 24시간 소변 유리 cortisol 수준검사, 혈장 ACTH 검사 등
(4) 내과적 치료 : 혈장 cortisol 수치를 낮추고, 종양을제거하며, 합병증을 예방하고, 정상적인 신체상으로 회복
(5) 간호
- 낙상, 골절, 뼈와 연조직에 상해를 입지 않도록 안전한 환경 제공, 감염의 위험성 감소, 휴식과 활동, 피부손상의 예방, 병리적 골절 예방, 위점막 자극예방, 신체상 증진
(6) 방사선 치료 : 뇌하수체 선종으로 인한 기능항진증은 방사선으로 치료
(7) 외과적 관리 및 수술 전후 간호 : 내인성 기능항진증 환자는 대부분 수술
2)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 알도스테론의 분비 증가로 수분과 전해질 대사에 이상
(1) 병태생리 및 임상증상
- 고혈압, 소변을 통한 과도한 포타슘 상실, 소듐 정체 등이 특징
(2) 진단검사
- 혈장 레닌 활성도와 알도스테론 농도를 측정하여 감별
(3) 치료
- 한쪽 혹은 양쪽의 부신절제술을 시행
- 알도스테론 길항제인 spironolactone과 triamterene을 투여
(4) 간호
- 섭취량과 배설량을 매일 측정하고,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
2. 부신피질 기능저하증
1) 원인과 병태생리
- 원발성 원인 : 특발성 자가면역질환, 결핵, 전이성 암, 진균성 병변, 출혈, 부신절제술, 약물과 독소
- 속발성 원인 : 뇌하수체 종양, 산후 뇌하수체 괴사, 하수체절제술
2) 임상증상
- 저혈당,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 성적 특성의 변화, 심리사회적 상태, 부신위기
3) 진단검사
- 요 17-hydroxycortocosteroid, CT scan, 급속 ACTH 자극검사
4) 치료 : 당류피질호르몬과 염류피질호르몬의 결핍을 보충
5) 간호
(1) 만성 부신피질 기능부전 환자의 간호
- 순환기계 관리, 체중 관리, 영양 관리, 활동과 휴식 관리, 저혈당 관리, 감염 관리, 정신 상태 관리 등
(2) 부신위기 환자의 간호
- 활력징후, steroid 투여,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 위기 증상 관리, 산소 공급, 환경관리 등
부신수질 기능장애
1. 갈색세포종
- catecholamine을 분비하는 부신수질의 종양
1) 병태생리 : 특징적으로 catecholamine을 생산하거나 때로는 1가지 호르몬만 분비하기도 함
2) 임상증상
- 고혈압
- 교감신경계의 과다 활동 : 발한, 불안, 심계항진, 오심, 구토
3) 진단검사
- catecholamine 농도, catecholamine의 대사산물인 metanephrine, normetanephrine, 소변의 vanillymandelic acid 증가 등으로 진단
4) 치료와 간호
- 수술이 주치료법, 종양이 양쪽에 있는 경우 양쪽의 부신 제거
- 복부 촉진으로 catecholamine이 갑작스럽게 분비되어 심한 고혈압이 야기될 수 있으므로 주의
- 내과적 치료를 받는 환자에게는 혈압 자가 측정을 하는 것이 필수적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06.11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39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