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함
3)방실접합부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1)방실접합부 조기수축
-정상 동성리듬의 주기보다 방실접합부에서 먼저 심장수축 자극을 시작하는 부정맥
(2)방실접합부 리듬
-방실결절의 생리적인 심박조절 수는 1분 간 40~60회이므로, 방실접합부 리듬에서는 1분 40~60회의 심박동 수를 나타낸다.
(3)발작성 방실접합부 빈맥
-방실접합부의 빠른 재진입 기전에 의해 발생
(4)방실결절 전도장애
-동방결절에서 시작한 심장수축자극이 방실결절에 도달한 후 His 속으로의 전도가 지연되거나 차단되는 것
-제1도 방실블럭, 제2도 방실블럭, 제3도 방실블럭 또는 완전 심장블럭
4)심실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1)심실 조기수축
-동방결절에서 정상적인 수축을 내보내기 전에 심실 내의 흥분된 세포가 심실을 직접 수축시킴으로써 발생
(2)심실 빈맥
-“V tach"이라고도 부르며 불안정한 심실기외수축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3)다원성 심실빈맥
-QRS-파형이 계속적으로 변화되는 심실빈맥의 형태
-QT 간격이 지연되고 T-파가 넓고 편평해져서 심실 재분극이 지연되고 있음
(4)심실세동
-심실이 빠르고 비효과적으로 떨리는 상태
(5)심정지
-심장의 박동이 멈춘 상태
-원인 : 심근경색증, 외상, 익사, 전기적 충격, 약물과용, 과민반응
-임상증상 : 의식소실, 무호흡, 경동맥 맥박소실, 입술과 손톱 등의 청색증 및 동공산대
5)각블럭
-조직의 손상으로 인해 His 속의 좌우 가지 중 어느 한 곳으로의 전도가 차단된 것
4.심부정맥의 치료
1)약물요법
-Class Ⅰ약물 : 기외성 수축을 일으키는 부위의 자동성을 감소
-Class Ⅱ약물 : β-교감신경차단제로서 catecholamine의 효과를 감소
-Class Ⅲ약물 : 활동전압 지연
-Class Ⅳ약물 : 칼슘통로를 차단하여 칼슘이온의 영향을 억제
2)부정맥의 전기적인 관리
(1)세동제거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을 제거하고 심장흥분의 재진입 회로를 차단하며 동성리듬을 되찾기 위해 심장에 전류를 전달하는 응급시술
-세동제거는 심실세동이 있을 때 시행
(2)심장리듬 전환술
-선택적인 시술로 전기충격을 이용해서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잠재적으로 위험한 부정맥을 정상 동성리듬으로 전환시키는 방법
(3)전도 통로의 제거
-화학적 제거술 : 심혈관 성형술 카테터를 통해 병변이 있는 심근으로 알코올이나
phenol을 주입하는 방법
-물리적 제거술 : 비정상 전도 통로를 냉동 소식자를 이용하여 얼리거나 외과적으로 절제
하는 방법
-방사선 주파 도자제거술 : 방사선 주파 도자제거술은 심부정맥의 발생 부위를 선택적으
로 제거하거나 전달 경로를 차단하기 위해 이용
(4)인공심박동기
-심박동 수를 유지하기 위하여 심장근육에 반복적인 전기적 자극을 제공하는 기구
①인공심박동기 삽입의 종류
-경정맥형 : 정맥을 통해 인공심박동기의 전극도관을 삽입
-경흉부형 : 흉부를 절개하여 심장을 노출시킨 뒤 전극도관을 심장벽에 직접 부착하거나,
흉벽을 절개하지 않고 바늘을 이용하여 흉벽을 통해 심실벽에 부착
-체외 인공심박동기 : 비침습적 시술, 2개의 전극도관 중 하나는 전면 심첨부위에, 다른 하나는 흉부 뒷면 좌측 견갑골 아래 부착 후 전원을 연결하고 전류를 흘려보내 심장을 자극
②전기적 자극 전달 방법
-수요형 심박동기, 고정형 심박동기
③인공심박동기의 종류
-일시적 인공심박동기 :응급상황 하에서 흔히 사용
-영구적 인공심박동기 : 완전 방실차단, Adams-Stokes 증후군을 동반하는 동성장애 및 방실전도장애, 빈맥성 부정맥 등에 사용
④인공심박동기 작동체계의 표시 방법
-첫째 글자 : 심장 수축자극 시작되는 부위 V(ventricle), A(atrium), D(dual, 심방과 심실)
-둘째 글자 : 심장의 고유수축을 감지하는 부위를 V(ventricle), A(atrium), D(dual), O(해당사항없음)
-셋째 글자 : 심장의 반응형태를 I(inhibited),T(triggered), R(reverse)
-넷째 글자 : 인공심박동기를 삽입한 후에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나타낸다.
P(programmable)는 1가지 또는 2가지 기능을 프로그램 할 수 있으며, M(multiprogrammable)은 다양한 프로그램의 기능이 있음을 나타낸다.
-다섯째 글자 : 빈맥성 부정맥을 중단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나타낸다.
B(bursts of pacing)는 인공심박동기에서 환자의 심장박동 수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자극을 내보내어 환자의 심장에서 나오는 자극을 억제
N(normal rate competition)은 정상적인 속도 자극으로 경쟁하여 환자 자신의 자극을 억제
S는 scanning을 나타낸다.
⑤인공심박동기 삽입에 따른 간호
삽입 전 준비
-시술 8시간 전부터 금식
-심전도 검사, 출혈 및 지혈 검사, 흉부 X-선 검사
-위험한 부정맥의 발생 같은 응급상황에 대비, 탈수를 예방하기 위하여 수액 정맥주입
-처방된 심장약물과 진정제를 투여
-전원 삽입부위의 피부준비
-불안수준을 사정하고 시술에 대해 설명하여 대상자를 안심시킨다.
시술 후 간호
-전원 삽입부위의 출혈, 감염증상을 관찰
-전극의 위치이탈로 심전도 파형의 변화와 딸꾹질이 있을 수 있는데 딸꾹질은 전극이 횡격막을 자극함을 의미
-12시간 동안 침상 안정시키고, 전원이 삽입된 쪽의 팔은 하루 동안 움직임을 제한
-첫 6시간 동안 얼음찜질을 하여 통증과 부종을 경감
-48시간 동안 아스피린이나 헤파린을 투여해서는 안 된다.
⑥간호진단 및 수행
전원 또는 전극도관의 삽입과 관련된 감염 가능성
-시술 직후 1시간 동안은 활력징후를 15분마다 측정, 상태가 안정되면 매 4시간마다 측정
전원 또는 전극도관의 삽입과 관련된 활동장애
-전극도관의 위치이탈을 예방하기 위하여 시술 후 48시간 동안 침상안정
인공심박동기의 필요성과 관련된 불안과 공포
-불안 및 공포를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를 안심
자가간호에 관련된 지식결여
-영구적 인공심박동기는 인체기능을 보완하는 신체의 일부로, 평생 지니고 생활해야 하므로 환자가 이에 대해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3)방실접합부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1)방실접합부 조기수축
-정상 동성리듬의 주기보다 방실접합부에서 먼저 심장수축 자극을 시작하는 부정맥
(2)방실접합부 리듬
-방실결절의 생리적인 심박조절 수는 1분 간 40~60회이므로, 방실접합부 리듬에서는 1분 40~60회의 심박동 수를 나타낸다.
(3)발작성 방실접합부 빈맥
-방실접합부의 빠른 재진입 기전에 의해 발생
(4)방실결절 전도장애
-동방결절에서 시작한 심장수축자극이 방실결절에 도달한 후 His 속으로의 전도가 지연되거나 차단되는 것
-제1도 방실블럭, 제2도 방실블럭, 제3도 방실블럭 또는 완전 심장블럭
4)심실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1)심실 조기수축
-동방결절에서 정상적인 수축을 내보내기 전에 심실 내의 흥분된 세포가 심실을 직접 수축시킴으로써 발생
(2)심실 빈맥
-“V tach"이라고도 부르며 불안정한 심실기외수축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3)다원성 심실빈맥
-QRS-파형이 계속적으로 변화되는 심실빈맥의 형태
-QT 간격이 지연되고 T-파가 넓고 편평해져서 심실 재분극이 지연되고 있음
(4)심실세동
-심실이 빠르고 비효과적으로 떨리는 상태
(5)심정지
-심장의 박동이 멈춘 상태
-원인 : 심근경색증, 외상, 익사, 전기적 충격, 약물과용, 과민반응
-임상증상 : 의식소실, 무호흡, 경동맥 맥박소실, 입술과 손톱 등의 청색증 및 동공산대
5)각블럭
-조직의 손상으로 인해 His 속의 좌우 가지 중 어느 한 곳으로의 전도가 차단된 것
4.심부정맥의 치료
1)약물요법
-Class Ⅰ약물 : 기외성 수축을 일으키는 부위의 자동성을 감소
-Class Ⅱ약물 : β-교감신경차단제로서 catecholamine의 효과를 감소
-Class Ⅲ약물 : 활동전압 지연
-Class Ⅳ약물 : 칼슘통로를 차단하여 칼슘이온의 영향을 억제
2)부정맥의 전기적인 관리
(1)세동제거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을 제거하고 심장흥분의 재진입 회로를 차단하며 동성리듬을 되찾기 위해 심장에 전류를 전달하는 응급시술
-세동제거는 심실세동이 있을 때 시행
(2)심장리듬 전환술
-선택적인 시술로 전기충격을 이용해서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잠재적으로 위험한 부정맥을 정상 동성리듬으로 전환시키는 방법
(3)전도 통로의 제거
-화학적 제거술 : 심혈관 성형술 카테터를 통해 병변이 있는 심근으로 알코올이나
phenol을 주입하는 방법
-물리적 제거술 : 비정상 전도 통로를 냉동 소식자를 이용하여 얼리거나 외과적으로 절제
하는 방법
-방사선 주파 도자제거술 : 방사선 주파 도자제거술은 심부정맥의 발생 부위를 선택적으
로 제거하거나 전달 경로를 차단하기 위해 이용
(4)인공심박동기
-심박동 수를 유지하기 위하여 심장근육에 반복적인 전기적 자극을 제공하는 기구
①인공심박동기 삽입의 종류
-경정맥형 : 정맥을 통해 인공심박동기의 전극도관을 삽입
-경흉부형 : 흉부를 절개하여 심장을 노출시킨 뒤 전극도관을 심장벽에 직접 부착하거나,
흉벽을 절개하지 않고 바늘을 이용하여 흉벽을 통해 심실벽에 부착
-체외 인공심박동기 : 비침습적 시술, 2개의 전극도관 중 하나는 전면 심첨부위에, 다른 하나는 흉부 뒷면 좌측 견갑골 아래 부착 후 전원을 연결하고 전류를 흘려보내 심장을 자극
②전기적 자극 전달 방법
-수요형 심박동기, 고정형 심박동기
③인공심박동기의 종류
-일시적 인공심박동기 :응급상황 하에서 흔히 사용
-영구적 인공심박동기 : 완전 방실차단, Adams-Stokes 증후군을 동반하는 동성장애 및 방실전도장애, 빈맥성 부정맥 등에 사용
④인공심박동기 작동체계의 표시 방법
-첫째 글자 : 심장 수축자극 시작되는 부위 V(ventricle), A(atrium), D(dual, 심방과 심실)
-둘째 글자 : 심장의 고유수축을 감지하는 부위를 V(ventricle), A(atrium), D(dual), O(해당사항없음)
-셋째 글자 : 심장의 반응형태를 I(inhibited),T(triggered), R(reverse)
-넷째 글자 : 인공심박동기를 삽입한 후에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나타낸다.
P(programmable)는 1가지 또는 2가지 기능을 프로그램 할 수 있으며, M(multiprogrammable)은 다양한 프로그램의 기능이 있음을 나타낸다.
-다섯째 글자 : 빈맥성 부정맥을 중단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나타낸다.
B(bursts of pacing)는 인공심박동기에서 환자의 심장박동 수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자극을 내보내어 환자의 심장에서 나오는 자극을 억제
N(normal rate competition)은 정상적인 속도 자극으로 경쟁하여 환자 자신의 자극을 억제
S는 scanning을 나타낸다.
⑤인공심박동기 삽입에 따른 간호
삽입 전 준비
-시술 8시간 전부터 금식
-심전도 검사, 출혈 및 지혈 검사, 흉부 X-선 검사
-위험한 부정맥의 발생 같은 응급상황에 대비, 탈수를 예방하기 위하여 수액 정맥주입
-처방된 심장약물과 진정제를 투여
-전원 삽입부위의 피부준비
-불안수준을 사정하고 시술에 대해 설명하여 대상자를 안심시킨다.
시술 후 간호
-전원 삽입부위의 출혈, 감염증상을 관찰
-전극의 위치이탈로 심전도 파형의 변화와 딸꾹질이 있을 수 있는데 딸꾹질은 전극이 횡격막을 자극함을 의미
-12시간 동안 침상 안정시키고, 전원이 삽입된 쪽의 팔은 하루 동안 움직임을 제한
-첫 6시간 동안 얼음찜질을 하여 통증과 부종을 경감
-48시간 동안 아스피린이나 헤파린을 투여해서는 안 된다.
⑥간호진단 및 수행
전원 또는 전극도관의 삽입과 관련된 감염 가능성
-시술 직후 1시간 동안은 활력징후를 15분마다 측정, 상태가 안정되면 매 4시간마다 측정
전원 또는 전극도관의 삽입과 관련된 활동장애
-전극도관의 위치이탈을 예방하기 위하여 시술 후 48시간 동안 침상안정
인공심박동기의 필요성과 관련된 불안과 공포
-불안 및 공포를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를 안심
자가간호에 관련된 지식결여
-영구적 인공심박동기는 인체기능을 보완하는 신체의 일부로, 평생 지니고 생활해야 하므로 환자가 이에 대해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Chapter 16. 유방 건강문제와 간호
[성인간호학] 결장암 케이스 스터디 (colon cancer case study)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case] 간암 대상자 간호과정 케이스 case study - 간세포성 암종 (Hepatocellula...
[성인간호학][피부이식][Skin Graft][화상환자간호]문헌고찰
성인간호학 - 종양간호 요약(summary)
★ 성인간호학 - 궤양성대장염 ( 크론병과 비교, 궤양성대장염, 역학, 진단, 중증도의 분류, ...
★ 성인간호학 - 기흉 ( 기흉의 종류 , 임상증상, 기흉의 진단, 기흉의 치료, 기흉의 합병증,...
★ 성인간호학 ( CASE STUDY ) - 대퇴 경부 골절 ( 대퇴 경부 골절, 고관절 수술, 대상자 자...
★ 성인간호학 - 폐렴 ( 정의, 분류, 병태생리, 원인과 위험요인, 발생빈도, 임상증상, 진단, ...
<성인간호학>대퇴경부골절 간호과정 및 병태생리
성인간호학 실습 응급실(ER)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늑골골절, 다발성 골절, 폐쇄성 골절, ...
성인간호학) 눈 장애 대상자 간호
성인간호학 간경화(Liver cirrosis) case study 간호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