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캐뉼러
2.안면마스크
(1)단순 마스크(simple face mask)
(2)부분 재호흡마스크(partial rebreather mask)
(3).비재호흡마스크(norrebreather mask)
4.Venturi mask
5.안만텐트(face tent)
6.경기관 산소공급(transtrachial oxygen delivery)
2.안면마스크
(1)단순 마스크(simple face mask)
(2)부분 재호흡마스크(partial rebreather mask)
(3).비재호흡마스크(norrebreather mask)
4.Venturi mask
5.안만텐트(face tent)
6.경기관 산소공급(transtrachial oxygen delivery)
본문내용
②준비물품
-유량계와 어답타를 장착한 산소 공급품
-증류수와 수돗물을 채운 가습기
-적절한 크기의 안면 텐트
③방법
-대상자의 얼굴 위에 텐트를 놓고 머리 주위로 고정시킨다.
6.경기관 산소공급(transtrachial oxygen delivery)
-산소의존 대상자에게 사용될 수 있으며 산소는 외과적으로 피부를 통해 직접 기관으로 삽관된 작고 좁은 필라스틱 케뉼럴르 통해 공급되며, 목둘레의 끈으로 카테터를 제 위치에 고정한다.
-공급되는 모든 산소가 폐로 들어가기 때문에 적은 양의 산소(0.5~2L/min)으로 필요하다.
-카테터 내로 1.5mL의 생리식염수를 투입하고 세척 막대를 넣어다 뺀 후 다시 1.5mL의 생리식염수를 투입함으로써 카테터의 개방을 잘 유지하도록 하며, 하루에 2~3번 시행한다.
-유량계와 어답타를 장착한 산소 공급품
-증류수와 수돗물을 채운 가습기
-적절한 크기의 안면 텐트
③방법
-대상자의 얼굴 위에 텐트를 놓고 머리 주위로 고정시킨다.
6.경기관 산소공급(transtrachial oxygen delivery)
-산소의존 대상자에게 사용될 수 있으며 산소는 외과적으로 피부를 통해 직접 기관으로 삽관된 작고 좁은 필라스틱 케뉼럴르 통해 공급되며, 목둘레의 끈으로 카테터를 제 위치에 고정한다.
-공급되는 모든 산소가 폐로 들어가기 때문에 적은 양의 산소(0.5~2L/min)으로 필요하다.
-카테터 내로 1.5mL의 생리식염수를 투입하고 세척 막대를 넣어다 뺀 후 다시 1.5mL의 생리식염수를 투입함으로써 카테터의 개방을 잘 유지하도록 하며, 하루에 2~3번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