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序論 1
Ⅱ. 本論 2
1. 입학사정관제 제시안 분석
1-1. 국내 사례 2
1-2. 국외 사례 3
2. 국내와 국외의 입학사정관제 비교 분석
Ⅲ. 結論 7
입학사정관제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參考文獻 8
Ⅱ. 本論 2
1. 입학사정관제 제시안 분석
1-1. 국내 사례 2
1-2. 국외 사례 3
2. 국내와 국외의 입학사정관제 비교 분석
Ⅲ. 結論 7
입학사정관제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參考文獻 8
본문내용
신성, 리더쉽 등은 과외활동(extra-acurricular activities)을 통해 평가받을 수 있기에 매우 중요하다. 과외활동이란 각종 봉사활동이나 학내외 특별활동을 말하며 각 대학마다 선호하는 학생의 특성과 요구하는 구체적 활동이 다르다. 예일대의 경우에는 "아프리카" 봉사활동에, MIT 경우에는 운동부 활동에 가산점을 준다. 그렇기에 자녀 또는 부모 본인이 원하는 대학교가 선호하는 과외활동을 하기 위해 일부 교육열 높고 돈 많은 미국 엄마들은 해당학교의 입학사정관제에 대해 잘 아는 컨설턴트를 고용해서 아이의 과외활동 프로그램을 짠다.
입학사정관제의 가장 큰 단점은 매우 불투명한 방식으로 학생들을 선발하기에(미국 대학 경우 어떤 기준으로 학생을 선발했는지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는다.) 기여 입학에 대한 논란의 발생여지가 많다. 미국에서는 기여 입학을 레거시 입학(legacy admission)이라고 부르는데 우리나라에서 흔히 농담 삼아 말하는 "학교 건물을 세워주고 들어왔다" 식의 거액 기부금 입학보다는 학생의 아버지나 어머니가 그 대학 동문으로서 꾸준히 기부금을 내온 경우 그 자녀가 지원했을 때 특혜를 주는 방식이다. 한국의 입학사정관제에서 요구하는 개인적 특성(이른바 과외활동), 선발기준이 명확하지 않음은 "부의 대물림" 또는 "보이지 않는 계층의 대물림"의 위험소지가 있다.
結 論
몇 해 전 도입된 입학사정관제가 아직까지 시행착오를 거듭하며 성공적인 정착 여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입학사정관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공정성과 객관성에 대한 신뢰 확보다. 그러나 준비가 부족한 상황에서 무턱대고 도입된 입학사정관제가 뿌리를 내리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무엇보다 제도의 핵심인 입학사정관의 수나 전문성이 부족해 부실화 우려를 낳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대학은 입학사정관의 수가 부족해 학생당 서류 검토 시간이 고작 몇 분에 불과하다고 한다.
이런 상황이라면 제도의 공정성에 대한 의구심만 커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설문 조사 결과, 고교 교사의 30% 이상이 면접의 공정성과 신뢰성에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고 한다. 고교의 준비가 미흡한 틈새를 사교육이 파고드는 부작용도 문제다. 입학사정관제가 아직 뿌리도 내리기 전에 우리나라 사교육시장에서는 입학사정관제에 맞춘 새로운 형태의 사교육이 깊숙이 뿌리내렸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입학사정관제에 맞춰 새롭게 생겨나고 있는 사교육의 비용부담이 기존의 사교육보다 훨씬 높다는 점이다. 이는 공교육을 정상화하고 사교육을 줄이려는 입학사정관제 취지에 역행하는 것이다. 이처럼 입학사정관제가 취지에 맞지 않게 각종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에도 정부의 입학사정관제 추진 속도가 더 빨라지는 것은 문제가 있다. 올해 입시에서도 입학사정관제 선발인원이 지난해보다 크게 늘어나 걱정이다.
입학사정관제는 학생의 성적만이 아니라 잠재력과 소질을 종합 평가한다는 점에서 반드시 정착돼야 할 바람직한 제도다. 그러나 무리한 추진으로 대학입시 전체의 신뢰가 흔들리는 화를 부를 수도 있다. 입학사정관제 정착에 중요한 것은 속도전이 아니라 내실이다. 정부는 규모 확대보다는 제도의 공정성 확보 기반을 다지는 일에 더 집중해야 한다.
參 考 文 獻
·위키 백과사전.
·네이버 백과사전.
·입학사정관제 http://uao.kcue.or.kr/
·이자영 기자, ‘[입학사정관제 미·일에서 배운다] ② 미국을 가다’, 부산일보.
·박혜림,「대학사정관제도의 현황과 발전방안」,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권순환,「한국교육정책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화사, 2008.
·김영화,「한국 교육의 난제 그 해법을 묻는다」, 대화문화아카데미, 2009.
입학사정관제의 가장 큰 단점은 매우 불투명한 방식으로 학생들을 선발하기에(미국 대학 경우 어떤 기준으로 학생을 선발했는지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는다.) 기여 입학에 대한 논란의 발생여지가 많다. 미국에서는 기여 입학을 레거시 입학(legacy admission)이라고 부르는데 우리나라에서 흔히 농담 삼아 말하는 "학교 건물을 세워주고 들어왔다" 식의 거액 기부금 입학보다는 학생의 아버지나 어머니가 그 대학 동문으로서 꾸준히 기부금을 내온 경우 그 자녀가 지원했을 때 특혜를 주는 방식이다. 한국의 입학사정관제에서 요구하는 개인적 특성(이른바 과외활동), 선발기준이 명확하지 않음은 "부의 대물림" 또는 "보이지 않는 계층의 대물림"의 위험소지가 있다.
結 論
몇 해 전 도입된 입학사정관제가 아직까지 시행착오를 거듭하며 성공적인 정착 여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입학사정관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공정성과 객관성에 대한 신뢰 확보다. 그러나 준비가 부족한 상황에서 무턱대고 도입된 입학사정관제가 뿌리를 내리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무엇보다 제도의 핵심인 입학사정관의 수나 전문성이 부족해 부실화 우려를 낳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대학은 입학사정관의 수가 부족해 학생당 서류 검토 시간이 고작 몇 분에 불과하다고 한다.
이런 상황이라면 제도의 공정성에 대한 의구심만 커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설문 조사 결과, 고교 교사의 30% 이상이 면접의 공정성과 신뢰성에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고 한다. 고교의 준비가 미흡한 틈새를 사교육이 파고드는 부작용도 문제다. 입학사정관제가 아직 뿌리도 내리기 전에 우리나라 사교육시장에서는 입학사정관제에 맞춘 새로운 형태의 사교육이 깊숙이 뿌리내렸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입학사정관제에 맞춰 새롭게 생겨나고 있는 사교육의 비용부담이 기존의 사교육보다 훨씬 높다는 점이다. 이는 공교육을 정상화하고 사교육을 줄이려는 입학사정관제 취지에 역행하는 것이다. 이처럼 입학사정관제가 취지에 맞지 않게 각종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에도 정부의 입학사정관제 추진 속도가 더 빨라지는 것은 문제가 있다. 올해 입시에서도 입학사정관제 선발인원이 지난해보다 크게 늘어나 걱정이다.
입학사정관제는 학생의 성적만이 아니라 잠재력과 소질을 종합 평가한다는 점에서 반드시 정착돼야 할 바람직한 제도다. 그러나 무리한 추진으로 대학입시 전체의 신뢰가 흔들리는 화를 부를 수도 있다. 입학사정관제 정착에 중요한 것은 속도전이 아니라 내실이다. 정부는 규모 확대보다는 제도의 공정성 확보 기반을 다지는 일에 더 집중해야 한다.
參 考 文 獻
·위키 백과사전.
·네이버 백과사전.
·입학사정관제 http://uao.kcue.or.kr/
·이자영 기자, ‘[입학사정관제 미·일에서 배운다] ② 미국을 가다’, 부산일보.
·박혜림,「대학사정관제도의 현황과 발전방안」,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권순환,「한국교육정책의 과제와 전망」, 한국문화사, 2008.
·김영화,「한국 교육의 난제 그 해법을 묻는다」, 대화문화아카데미, 2009.
추천자료
지방교육자치의 의의, 지방교육자치의 기본원리, 지방교육자치제도의 현황, 지방교육의 기능...
[중국의 교육][중국교육][중국어][중국언어]중국의 교육(중국의 교육제도, 중국의 교육비 관...
[프랑스][프랑스의 교육][프랑스의 교육제도][프랑스의 교육목표][프랑스의 교육적 특징][프...
[프랑스][프랑스 교육][프랑스 교육정책][프랑스 교육제도][프랑스 교육산업]프랑스의 교육제...
[문화와교육B형]다른나라교육제도를다룬문헌선택,우리나라교육제도와 다른점을 지적, 요인분석
[교원연수][교원연수제도][교원교육][교사교육][교원연수제]교원연수(교원연수제도)의 방법, ...
[북한의 관혼상제][북한의 교육제도][북한의 교사양성][북한의 금융제도(은행체계)][북한의 ...
[일본의 교육][일본교육][일본 교육정책]일본의 교육제도, 일본의 특수학교, 일본의 교과서검...
[독일교육][독일의 교육][독일교육제도][학교교육][킨더가르텐][교육정보화][독일교육의 대학...
[영국][영국교육][영국의 교육][교육제도][유아교육][미디어교육][진로교육][노인교육][특수...
[독일][교육제도][학교교육][직업교육][미술교육][음악교육][원격교육][통일교육]독일의 교육...
[미국교육]미국교육의 현황, 미국교육의 교육제도, 미국교육의 학교제도, 미국교육의 교육개...
[러시아][러시아 정치제도][러시아 산업재산권제도][러시아 교육제도][러시아 상표제도][정치...
[교육제도] 공교육과 사교육의이해 및 문제점 (공교육과 사교육의 개념, 공교육과 실태와 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