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 국제문화의이해 (타이핑) 포함입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남대] 국제문화의이해 (타이핑) 포함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화의 개념 : 문명이 없는 민족은 있어도, 문화가 없는 민족은 없다.
- 인류 초기에는 문명(=기술), 문화(=생활양식, 사고방식)를 혼동해서 썼다.
- 세계의 인간과 문화에 대한 이해는 현대인의 필수
→ 인류학(人類學, Anthropology 1900년대 초기에 생성)의 발전
→ 식민지 통치하는 나라가 발달 시켜서 식민지학이라는 비판받음
- 인간의 체질인류학적 특성 : 두뇌용량(1,450cc)이 크다거나 성장하는데 많은 세월
? “문화”(culture)를 가졌다는 점이 영장류랑 다르다.
?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 될 수 있게끔 하는 요소 : 직립보행, 언어능력, 도구제작, 사고와 종교 등
- 두뇌용량 1,000cc 내외의 영장류들(고릴라, 침팬지. 오랑우탄, 원숭이)
? 사회생활, 능력 턱없이 부족

(1) 문화란 무엇인가?(cultus(경작하다)에서 유래) 문화를 가진 사람이 고급 두뇌를 가진 건 아니다.
- 크로버(Alfred Kroeber)와 클럭혼(Clyde Kluchohn) : ‘문화,개념과 정의의 한 비판적인 검토’(1952)
■ 총체론적인 전망(Totalistic View =사람들의 행동하는 방식)
? 고전적인 정의(타일러(Edward B. Tylor) 영국 “인류학의 시조‘)
\"문화(= 문명)란 지식, 신앙, 예술, 법률, 도덕, 관습 그리고 사회의 한 구성원(인간은 사회적 동물)으
로서의 인간에 의해 얻어진 다른 모든 능력이나 습관들을 포함하는 복합총체“라고 규정
? 화이트(Leslie A.White 미국)의 정의 → 문화의 개념(1977)
: 인간은 상징(Symboling)을 할 수 있는 유일한 동물로, 이것이 문화의 기초
예) 성수(聖水)는 특별한 화학적 성분 X, 교인들에게는 초자연적인 힘을 발휘
- 총체적인 전망 =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축적된 지식들로서의 도구, 기술, 사회적인 언어, 관습,
신앙의 총합체를 문화라고 정의 → 문화란 한 인간집단의 생활양식의 총체

본문내용

1. 문화변동 서론
- 인류학에서는 시공간의 접점에 존재하는 어떤 문화를 선정하여 연구.
→ 접근 방법의 차이(시간이냐 공간이냐)에 따라 공시적 접근과 통시적 접근이 있다.
1) 공시적 접근(syncronic approach) syn :함께, 동시에, 비슷한 등의 뜻 그리스 말 (현재를 중요시)
- 일정 시기에 문화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부분들이 어떤 상관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보는 관점
- 법칙 정립적(nomethetic)이며 경제학, 사회학에서 사용
- 인류학에서는 기능주의와 구조주의가 사용
2) 통시적 접근(diachronic approach) di-a ~을 통해서, ~을 가로질러서, ~으로 이루어지는
- 개성 기술적(idiachronic approach)이며 역사학에서 사용
- 인류학에서는 진화주의, 역사적 특수주의, 전파주의, 신진화주의가 사용
- 이러한 이론의 명칭 속에는 ‘시간성’이 존재한다.
◆ 문화변동의 의미
- 문화란 변화하는 것, ‘변화의 속도’ 즉 시간적 흐름 속에서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문화변동론의 핵심
- 속도와 성격은 각 문화에서 서로 다름.
- 시간의 term이 짧을수록 변화의 인식이 어렵다.
⇒ 문화를 구성하고 있는 각 부분들은 시간을 통하여 끊임없이 상호작용이 되면서 그 사회의 문화체계가 운영.
→ 이러한 과정을 문화과정(cultural process)이라고 함
· 문화의 냇물(stream) : 각 문화요소들 간에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하면서 흘러내린다.(Lesile A.White)
· 상호작용 결과, 어떤 문화요소들은 소멸되기도 하고, 새로운 요소가 낡은 것을 대체 또는 외부로부 터 문화요소가 들어와서 문화 과정에 새로운 요소로 등장하면서 변화를 겪게 함.
* 같이 생각해 봅시다. => 오늘날 우리의 의식주생활의 모습 가족에 대한 우리의 사고방식(충효 생각)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46페이지
  • 등록일2011.06.14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압축파일(zip)
  • 자료번호#6843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