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의 개념 및 형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학교폭력의 개념

Ⅱ. 학교폭력의 형태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는 연어적, 심리적, 물리적 폭력
을 말하는 것으로 정의 내리고 있다(남영옥, 한상철, 2007재인용).
II. 학교폭력의 형태
학교폭력의 형태는 학자에 따라 다르게 분류되고 있는데 폭력행사의 방법
이나 폭력의 결과에 따라 맥클린록(McClinrock, 1981)은 (1) 강도나 강간처럼
폭력적 수단을 동원하여 남의 재산을 탈취하거나 성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행위인 도구적인 폭력(instrumental violence), (2)두 사람 상호 간에 발생하는
각종 폭력행위인 개인 간 폭력(interpersonal violence), (3)정치적 이념을 달
리하는 집단들 사이에 발생하는 주도권 다툼, 반정부 시위, 적대관계에 있는
실력자에 대한 테러로 대개 집단으로 일어나는 이념적인 정치폭력
(ideological violence), (4) 뚜렷한 동기 없이 공공시설물이나 문화, 예술품을
파괴하는 폭력행위나 이유가 불분명한 자동차 파괴 , 방화인 동기 없는 파괴
적 폭력(destructive violence without a personal motive)으로 학교폭력의 형태
를 나누었다(권경희, 2005 재인용).
한스 티어쉬(Hans Tiersch)는 폭력의 유형을 신체에 직접 폭력이 행해지며
신체적 괴롭힘, 신체적 불쾌감을 유발하는 행위 등을 말하는 물리적 폭력,
언어적 상황적 협박과 강요, 고립시키거나 모욕을 주는 일, 두려움을 주는
일, 좌절감을 주는 일 등을 발하는 심리적 폭력, 그리고 주어진 주변 사회 및
자연환경으로부터의 삶의 위협,강 압적 사회관계 및 제도와 상호 인간관계
로부터 받는 심한 갈등을 말하는 구조적 폭력의 세 가지 형태로 구분하였다
(이민희 외,1998재인용). 그리고 김언지(2005)는 학교폭력의 유형을 언어적
심리적 폭력(놀림, 욕설, 위협 또는 협박), 증오적 폭력(고의적인 괴롭힘, 따돌
림),도구적 폭력(금품 갈취), 성희롱 및 성추행(상대편의 의사에 관계없이 성적
으로 수치심을 주는 말 또는 행동),사이버폭력(인터넷, 휴대폰을 통한 욕설, 모욕,
협박)으로 분류하였다.
엘리엇 등(Elliott et al., 1986)은 청소년폭력을 상황적 폭력, 관계적 폭력, 약
탈적 폭력, 정신병적 폭력으로 구분하였다(남영옥, 한상철, 2007재인용). 첫째,
상황적 폭력은 비행 또는 폭력 친구들과 접촉하고 있는 상황이나 비행행동을
조장하는 환경에 처한 경우 특정한 상황이나 맥락의 영향에 의해 발생하는
폭력을 말한다. 특정 상황에서의 폭력행동은 대부분 폭력매체에 의한 모방학
습의 영향이 많으며 폭력적 상황이나 맥락이 폭력을 일으키기도 한다.
둘째, 관계적 폭력은 대인관계에서의 갈등이나 복수심으로부터 비롯되는
폭력으로, 종종 가족이나 친구와의 관계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청소년들은
가족의 법주를 넘어서 친구와 이웃사회 등으로 대인관계의 폭을 넓혀 나가
는데, 그들의 대인관계 기술이나 갈등협상 전략은 여전히 미숙하고 비합리
적인 경우가 많다. 그리하여 갈등과 사소한 분쟁 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하지
못함으로써 많은 청소년들은 비합리적인 수단인 폭력에 의존하게 된다.
셋째, 약탈적 폭력은 어떤 형태의 이익을 얻기 위해 발생하는 폭력을 말한
다. 전형적인 수단적 폭력을 말하며 범죄적 또는 반사회적 성격을 지닌다. 금
품 갈취를 위한 폭력, 압력행사를 위한 폭력 등이 대표적인 예다.
넷째, 정신병적 폭력은 주로 피해망상이나 과대망상과 같은 정신적 장애
나 정서적 혼란에 의한 폭력을 말한다. 청소년의 경우 정신병적 폭력은 드물
며 폭력행동 예측 또한 비 일관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최근 컴퓨터
몰입 또는 중독과 관련하여 청소년의 망상 및 정서적 혼란이 증가하고 있음
을 고려할 때 앞으로 정신병적 폭력 또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과 같이 청소년 폭력의 유형은 대개 폭력행사의 방법이나 폭력의 결과
에 따른 분류로서 학자에 따라 그 내용과 의미가 중복되기도 한다. 이 중 이
유 없이 괴롭히거나 쾌감을 느낌 , 반복적이며 지속적임, 도구적 폭력 등은 우
리나라에서 최근 증가하고 있는 청소년 폭력의 특징이며, 특히 학교 안이나
학교 주변에서의 폭력문제가 두드러지는 특징이라고 하겠다(강동욱,1999).
한편, 학교폭력을 가해자나 피해자의 신분과 폭력이 행해진 장소를 중심
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장소에 따라 구분하면 학교 내 폭력과 학교 의 폭
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학교 내 폭력으로는 교사가 학생에 대해 행하는 폭
력, 학생 간의 폭력, 학생이 교사에 대해 행하는 폭력 등이 해당되며, 학교 의
폭력으로는 학생이 일반인에게 가하는 폭력, 일반인이 학생에게 행하는 폭
력 등이 해당된다.
이 중 학생 간의 폭력 유형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강동욱,
1999). 첫째는 약한 자에 대한 집단 괴롭힘이다. 여기에는 가해자의 공격성
을 자극하는 피해자와 가해자의 가학성을 자극하는 피해자로 구성된다. 둘
째는 동조다. 피해자가 폭력에 아무런 저항을 하지 않게 되면 힘이 없는 자까
지 가세하여 약한 자의 공격에 참여하게 되는 것이다. 셋째는 자기과시다. 자
기가 속한 집단세력의 과시, 두목의 지위나 개인적 힘의 과시를 위해 대립하
는 다른 집단을 자기 산하에 넣으려고 하거나 자신들에 대해서 적대 감정을
나타내는 자에 대하여 직간접적으로 공격을 가하는 것이다. 넷째는 앙갚음
이다. 자기 또는 집단구성원이 당한 폭력에 대한 보복이나 자기의 요구가 받
아들여지지 않는 데 대한 불만으로 폭력을 행사하는 것이다. 다섯째는 동료
로 가입시키기 위한 폭력이다. 자신들의 조직 확대를 위해 조직에 가입하게
하거나, 조직 간의 연합에 의하여 적대관계를 소멸시키는 한편 집단방어를
이루고자 폭력을 행사하는 것이다.
* 참고문헌
- 구은미 외(2009). 21세기 아동 · 청소년 복지. 서울: 학지사
- 김경신 외(2007). 청소년복지론. 서울: 청록출판사
- 이용교(2006). 디지털 청소년복지. 서울: 인간과 복지
- 윤철수 외(2008). 사회복지개론. 서울: 학지사
- 국가청소년위원회(2007). 청소년백서
- 조성연 외(2008). 청소년복지론. 서울: 학지사

키워드

학교폭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55페이지
  • 등록일2011.06.15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45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