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의 승화
상상계/상징계/실재계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
결론
상상계/상징계/실재계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
결론
본문내용
. 결국 그녀의 욕망은 좌절되었다.
결론
라캉의 이론을 적용해서 이 작품을 분석하는 것이 지금까지 썼던 독후감보다도 제일 어려웠다. 하지만 나름 분석을 해본 결과 라캉의 상상계는 상징계 속에서 지워지지 않고 흔적으로 남아 인간의 근원적인 결핍에 대한 욕망으로 남아 지속되고 있으며, 상징계에서 남근처럼 보이는 결핍의 대상은 사실은 죽음이고 그것을 이루는 순간 바로 실재계가 존재하는 것이다라고 판단된다. 이 작품을 통해서 느낀 것은 다소 환상적으로 그려지긴 했지만 현실에 사는 우리 인간 모두 보고 싶은 대로 보고, 듣고 싶은 대로 들으며, 기억하고 싶은 대로 기억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언뜻 생각하면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나’의 존재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오히려 지극히 상대적임을 알아야 한다.
결론
라캉의 이론을 적용해서 이 작품을 분석하는 것이 지금까지 썼던 독후감보다도 제일 어려웠다. 하지만 나름 분석을 해본 결과 라캉의 상상계는 상징계 속에서 지워지지 않고 흔적으로 남아 인간의 근원적인 결핍에 대한 욕망으로 남아 지속되고 있으며, 상징계에서 남근처럼 보이는 결핍의 대상은 사실은 죽음이고 그것을 이루는 순간 바로 실재계가 존재하는 것이다라고 판단된다. 이 작품을 통해서 느낀 것은 다소 환상적으로 그려지긴 했지만 현실에 사는 우리 인간 모두 보고 싶은 대로 보고, 듣고 싶은 대로 들으며, 기억하고 싶은 대로 기억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언뜻 생각하면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나’의 존재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오히려 지극히 상대적임을 알아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