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1]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공부하여 얻은 보람.
讀書三昧(독서삼매), 螢窓雪案(형창설안)
106.汗牛充棟(한우충동)
(땀 한, 소 우, 가득할 충, 마룻대 동)
수레에 실어 운반하면 소가 땀을 흘리게 되고, 쌓아올리면 들보에 닿을 정도로 장서가 많다.
107.虛葬聲勢(허장성세)
(빌 허, 베풀 장, 소리 성, 형세 세)
실속은 없으면서 큰소리치거나 허세를 부림.
108.浩然之氣(호연지기)
(넓을 호, 그럴 연, 갈 지, 기운 기)
‘의(義)를 모아서 되는 것이요, 한 가지 일이 우연히 의에 맞았다고 당장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모름지기 오늘 하나의 옳은 일을 행하고 내일 하나의 옳은 일을 행하여 의가 몸에 쌓여, 위로 하늘에 부끄럽지 않고 아래로 땅에 부끄럽지 않아야 호연지기가 충만하게 된다’
後生可畏(후생가외)
(뒤 후. 날 생. 가히 가. 두려울 외. )
젊은 후배들은 두려워할 만하다는 뜻. 곧 젊은 후배들은 선인(先人→先生)의 가르침을 배워 어떤 훌륭한 인물이 될지 모르기 때문에 가히 두렵다는 말.
십이지(十二支)
·쥐[子] 아들, 쥐, 첫째 지지, 열매, 종자 (자)
·소[丑] 소 (축)
·범[寅] 동방, 셋째 지지(인), 삼갈, 공경할(인)
·토끼[卯] 토끼 (묘)
·용[辰] 별 (진), 날 (신)
·뱀[巳] 뱀 (사)
·말[午] 낮 (오)
·양[未] 양 (미), 아닐 (미)
·원숭이[申] 납[원숭이의 옛말] (신), 원숭이 (신) 알릴 (신)
·닭[酉] 닭 (유)
·개[戌] 개 (술)
·돼지[亥] 돼지(해)
삼강오륜(三綱五倫)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
삼강(三綱)
부위자강(父爲子綱) :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근본이다.
군위신강(君爲臣綱) : 신하는 임금을 섬기는 근본이다.
부위부강(夫爲婦綱) :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근본이다.
오륜(五倫)
군신유의(君臣有義) : 임금과 신하는 의가 있어야 한다.
부자유친(父子有親) : 아버지와 아들은 친함이 있어야 한다.
부부유별(夫婦有別) : 남편과 아내는 분별이 있어야 한다.
장유유서(長幼有序) : 어른과 아이는 차례가 있어야 한다.
붕우유신(朋友有信) : 벗과 벗은 믿음이 있어야 한다.
세속오계(世俗五戒)
신라 원광법사가 600년에 귀산(貴山)과 추항(추項)에게 가르쳤다는 화랑의 다섯 가지 계율.
사군이충(事君以忠) : 충성으로써 임금을 섬김.
사친이효(事親以孝) : 어버이를 섬기기를 효도로써 함.
교우이신(交友以信) : 벗을 사귐에 믿음으로써 함.
임전무퇴(臨戰無退) : 전쟁에 나아가서 물러서지 않음.
살생유택(殺生有擇) : 살생하는 데에 가림이 있다는 뜻으로, 살생을 함부로 하지 말고 가려서 해야 함.
향약사대덕목(鄕約四大德目)
조선 시대에, 권선징악과 상부상조를 목적으로 만든 향촌의 자치 규약.
덕업상권(德業相勸) : 좋은 일은 서로 권장한다.
과실상규(過失相規) : 잘못한 일은 서로 꾸짖는다.
예속상교(禮俗相交) : 올바른 예의는 서로 나눈다.
환난상휼(患難相恤) : 재난과 어려움은 서로 돕는다.
사서오경(四書五經)
사서와 오경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곧 <논어>, <맹자>, <중용>, <대학>의 네 경전과 <시경>, <서경>, <주역>, <예기>, <춘추》의 다섯 경서.

사서(四書)
논어(論語) : 공자(孔子, 기원전 551년∼479년)의 생존 시 제자들이 받아 적은 공자의 말과 공자의 사후 공자의 제자들의 말 및 기타 자료들의 첨가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맹자(孟子) : 맹자(孟子, 기원전 372년∼289년)의 주도 아래 그의 두 제자인 만장과 공손추가 참여해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중용(中庸) : 전통적으로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 공급(孔伋, 기원전 483년∼402년)이 지었다고 전해져 왔으나, 확실한 증거가 없다. 대개 자사 및 그의 문하에서 지어지고 후대에 수정 보완되어 완성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학(大學) : 전통적으로 공자(孔子)의 제자인 증자(曾子, 기원전 506년∼436년)가 지은 것으로 전승돼 왔으나 확실한 증거가 없다. 대개 공자가 찬술한 것을 증자가 정리하고 증자의 문인들이 해설을 붙인 것에 후대에 수정 보완하여 완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머리말과 본서의 3편 5장은 주희가 썼다.

오경(五經)
시경(詩經) : 춘추 시대의 민요를 중심으로 하여 모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 된 시집. 한 시기 한 사람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서주(西周) 시기부터 동주(東周) 시기까지의 수세기에 걸쳐 다수의 시인군에 의해 이루어졌다
서경(書經) : 중국(中國)의 요순(堯舜) 때로부터 주(周)나라 때까지의 덕치를 행한 문서를 공자(孔子)가 수집하여 수록한 책이다.
주역(周易) : 주(周)나라의 역(易)이란 뜻이며, 자연의 구성과 변화의 현상을 음양과 오행의 구별로서 해석하는 형이상학적 철학이론이다.
예기(禮記) : 예(禮)에 관한 경전을 보완·주석하였다는 뜻이다. 전국시대에서 전한(前漢) 초기까지의 예학 관계문헌 46종을 종합한 것이다.
춘추(春秋) : 최초의 편년체(編年體) 역사서이다. 춘추시대 노(禿)나라 은공(隱公) 1년(BC 722)에서 애공(哀公) 14년(BC 481)에 이르는 12공 242년 동안의 일들을 1800여 조(條) 1만 6500자로 기록하였다.
나이의 호칭(밑줄: 논어에서 나옴)
10세 안팍 : 충년(沖年),
15세 : 지학(志學) ,
16세 : 방년(芳年)
20세 : 약관(弱冠)
30세 : 이립(而立)
40세 : 불혹(不惑), 48세 : 상년(桑年)
50세 : 지천명(知天明)
60세 : 이순(耳順) ,
61세 : 환갑(還甲), 회갑(回甲), 화갑(華甲),
62세 : 진갑(進甲)
70세 : 고희(古稀) 두보의 시, 종심(從心) 71세 : 망팔, 77세 : 희수(喜壽)
80세 : 산수(傘壽), 81세 : 망구,
88세 : 미수(米壽)
90세 : 졸수(卒壽), 91세 : 망백(望百) 99세 : 백수(白壽)
100세 : 기이지수(期之壽), 상수,
기원지수(期願之壽)
77 : 희수 88 : 미수 99 : 백수, 71 : 망팔
81 : 망구, 91 : 망백
  • 가격3,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11.06.18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49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