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하에서 천산까지 를 읽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황하에서 천산까지 를 읽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 서론 - 승자의 관점에서
2. 황하에서 천산까지
3. 라싸로 가는 길
4. 청진의 세계
5. 초원의 노래
6. 성묘를 찾아서

본문내용

갈단은 기세를 몰아 청을 침공했고 강희제는 갈단을 요격하여 세력을 붕괴시켰다.
이후 청나라는 준가르의 군주의 외삼촌인 아무르사나의 요청을 받고 준가르 몽골을 침공하였다. 그 후 통치자를 아무르시나로 앉혔는데, 이 후 아무르시나가 청을 능가하려 들자 청은 군사를 보내어 준가르 몽골을 완전히 복속시켰다.
그 이후 갈라진 민족을 찾아 러시아 군대와 혹독한 자연환경을 극복하며 고향으로 돌아온 부족도 있었으며 청의 지배 질서에 순응하는 민족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일련의 이러한 역사 속에서 우리가 하나 깨달아야 할 것이 있다. 물론 몽골이 중국세력에 열등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민담이나 세계관에 나타난 민족주의적 성격이야 말로 세계를 호령했던 대민족의 유품이 아닐까 한다는 점이다.
6. 성묘를 찾아서
현재 위구르 족이 살고 있는 신장지구는 기존에 불교세력이 아주 강했던 지역이다. 이러한 지역에서 발달한 이슬람은 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은 지역이다. 중세의 위구르인들만 해도 절반 이상이 불교도였음이 많은 문헌 자료를 통해서 알 수 있다. 그 영향으로 인한 것인지 앞에서 살펴보았던 세 민족과는 달리 그다지 많은 피해를 입지 않고 질서에 잘 순응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하지만 준가르 몽골을 정복한 청은 위구르 지역마저 직접 지배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몽골의 통치를 받던 위구르 인들은 이번을 기회삼아 독자적인 정권을 세우기를 요구했다. 결국 청과 위구르와의 정면충돌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정권 내에서도 분열이 일어나 결과적으로 청에 복속되게 되었다. 그러나 19세 말엽, 청의 변방지역에 대한 지배권이 약해지자 위구르 인들은 반란을 통해 13년간 독자적인 정권을 수립하였다. 그러나 이 상황에서도 또 지배권에 대한 다툼이 발생하여 결국 청조의 진압군에 의해 독자정권은 붕괴되었다. 그 후, 20세기 전반, 청이 멸망하자 동투르키스탄 공화국을 설립한 위구르 인들은 결국 중공과의 연합을 선언하여 자치권을 획득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다른 민족과는 달리 타협을 통해 자치를 얻어낸 위구르인들의 사상이 모두 다 옳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들의 결정을 무조건 비판해서는 안될 것이다. 그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이유와 민족적 배경이 있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앞에서도 이야기 했든 우리는 늘 강자의 시각에서만 바라보는 역사에 익숙해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약자의 입장에서 역사를 새롭게 바라보는 것은 어떨까?

키워드

황하,   에서,   천산,   까지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6.19
  • 저작시기20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50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