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코올중독의 개념 및 단계, 알코올중독이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알코올중독의 개념 및 단계

1. 알코올중독의 개념 및 진단
1) 알코올중독의 개념
2) 알코올중독의 진단
2. 알코올중독의 단계

Ⅱ. 알코올중독이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1. 알코올중독가족의 규범 및 단계
1) 알코올중독가족의 규범
2. 알코올중독가족의 단계
2. 알코올중독가족에게 나타나는 양상
1) 알코올중독가족의 일반적인 특성
2) 배우자의 공동의존
3) 알코올중독자 자녀의 특성, 역기능적 역할 및 보호요인
(1) 알코올중독자 자녀의 특성
(2) 자녀들의 역기능적 역할
(3) 보호요인과 세대 간 전이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스트레스에 적응하기 위해 자녀들은 거짓말,
감정표현 억제, 친밀한 관계 회피 등의 방어기제를 형성하고 가족 내의 역기능
에 적응하기 위해 가족영웅, 희생양, 잊혀 진 아이 , 귀염둥이 등의 역할을 수행하
기도 한다.
*대인관계와 사회관계의 장애
알코올중독자 자녀는 알코올중독 문제를 가지고 있는 부모에 대한 수치심과
가족 내의 알코올중독의 문제를 은폐하려는 태도 때문에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가진다. 그리고 남을 잘 신뢰하지 못하는 불신감과 친구를 자연스럽게 집으로
데리고 올 수 없는 심리적 부담 등이 강하게 나타난다. 또한 공격적 과시적
불신적 성향이 많이 나타나는 데 이로 인해 대인관계와 사회관계가 건전하고 자
연스럽게 형성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최경석 외, 2001:332-333참조).
(2)자녀들의 역기능적 역할
알코올중독가족의 자녀들은 가족 내의 역기능에 적용하기 위하여 가족영웅
(Hero), 희생양(Scapegoat), 잊혀진 아이(Lost Child), 회유하는 아이(Placater),마
스코트(Mascot)의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천덕희 등은 이를 책임감 있는 아이,
조정자, 회유자, 문제아로 구분하고 있다. 이들을 종합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조홍식 외, 2002:357-338에서 재인용; 천덕희 등,2002: 53-54 참조).
*책임감 있는 아이
알코올중독가족에서 주로 맏이가 이 역할을 수행한다. 이 범주에 속하는 자녀
는 가족의 일에 대해 과도한 책임감을 느낀다. 이들은 어릴 때부터 중독자의 부
족한 부분 때문에 부모로부터 '너만 믿고 산다.' '네가 집안의 대들보다.'라는
기대를 받고 자란다. 이에 따라 이들은 항상 책임감에 사로잡혀 있으며, 개인적
인 바람보다는 집안의 안정감과 조화를 성공의 기준으로 삼는다.
*조정자
이들은 가족의 부조화를 의식하여 자신이라도 문제를 일으키지 않기 위해서
노력한다. 이들은 가족 안에서 있는 듯 없는 듯한 존재인데 사회에 나가서도 마
찬가지다. 특히, 감정표현이나 자기표현을 하지 않고 항상 주위의 의견에 수긍
하며 지낸다.
*문제아
문제아는 가족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기 위하여 일탈된 행동(약물남용, 혼전임
신)을 한다. 이들은 자신의 문제행동에 대하여 "그 부모의 그 자식이죠." "좋은
집안에서 태어났다면 내가 이렇겠냐."라고 하면서 자기합리화를 한다.
*회유자
이들은 가족의 위안자 역할을 한다. 그리하여 이들은 술로 흥청망청 지내는
아버지와 화를 내는 어머니 사이에서 집안의 고통, 슬픔, 분노 등을 완화시키려
고 노력한다.
*마스코트
막내가 가족의 마스코트가 된다. 이들은 과도하게 보호받고 왜곡된 현실감각
을 가지고 성장한다. 마스코트 역할을 하는 아동은 가정에서의 긴장을 인식하기
는 하지만 긴장의 원천을 이해하도록 양육되지 못했고, 어릿광대와 같은 행동으
로 긴장을 깨뜨리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기능적 역할들은 알코올중독가족에서 자녀들이 살아남기 위한
생존역할(survival role)이다. 이런 생존역할들은 임시적인 안식을 제공할 수는
있으나 성인기에 와서는 쓸모가 없다. 영웅인 성인은 직장에서 자신을 잃고 다
론 사람들과 친밀한 관계를 가지는 것을 힘들어 한다. 희생양은 모든 종류의 문
제를 일으키면서 사회적 부랑자가 되고 다른 사람을 피하게 된다. 잊혀진 아이
는 사회적 은둔자가 되고 마스코트는 실없는 사람이 된다. 알코올중독가족의 자
녀들은 이런 생존역할 중에서 둘, 셋 혹은 네 가지역할을 수행하기도 하는데,
이런 역할을 오랫동안 수행하다 보면 버티기가 힘들어진다. 성인이 되어서 이들
은 생존역할이 더 이상 기능하지 않는다는 혼동과 고통에 직면하게 된다. 그리
하여 이들은 알코올과 약물, 일, 성, 여타 강박적인 형태의 행위를 통하여 이런
딜레마에 대처하고자 한다.
(3)보호요인과 세대 간 전이
대부분의 임상연구는 알코올중독자의 자녀가 일반부모의 자녀에 비해 다양한
심리사회적 역기능을 경험한다고 보고하고 있으나, 최근 건강하게 적응하는 자
녀의 특성을 밝히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알코올중독자 부모
의 자녀 중 1/3이 알코올중독자가 된다는 연구결과는 중독자 자녀의 2/3는 알코
올중독자가 되지 않는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그리하여 알코올중독자의 자
녀와 일반부모의 자녀 간의 차이를 부모가 알코올중독이라는 사실만으로 설명
하는 것은 제한이 따르며, 다른 요인이 함께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
런 요인에는 자녀의 가족 내 경험, 알코올중독자 아버지의 정신병리 공존, 알코
올중독자 아버지에 대한 어머니의 중재역할, 자녀의 체질적 특성, 자녀의 인생
초기 환경 등이 거론되고 있다. 특히, 클레어(Claire)와 젠셋(Genset, 1987)은 알
코올중독자 자녀의 적용과 관련된 변수로 가족환경, 사회적 지지, 대처행동 등
을 제시하고, 이 변수들이 부모의 알코올중독에서 자녀의 성공적인 적용을 가능
하게 하는 조절변수라고 설명하였다.
흥미 있는 사실은 블랙(Black, 1979)이 20년간의 종단연구에서 알코올중독자
아버지의 자녀보다 알코올중독자 어머니의 자녀가 더 부정적인 영향을 받음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부모 중에 누가 알코올중독인가에 따라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남편이 알코올중독인 경우
부인은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남편의 술 문제를 고쳐 보려고 온갖 노력을 다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지만, 부인이 알코올중독인 경우 남편의 포기 및 가족의 해체
속도가 빠른 것을 임상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은 아버지가 알코올
중독일 경우 어머니가 역기능적인 가족환경의 부정적 영향으로부터 자녀를 보
호하는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예측을 가능케 한다.
* 참고문헌
- 이여봉(2006). 가족 안의 사회 사회안의 가족. 양서원
- 장혜경(2005). 가족정책기본계획수립을 위한 연구. 여성가족부
- 박태영(2001). 가족치료의 적용과 실천. 학지사
- 김유숙(2003). 가족치료: 이론과 실제. 학지사
- 사이소림 엮음(1993). 이혼 또 하나의 선택. 여성사
- 이영분 외(2001). 사회복지실천론. 동인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06.22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56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