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교사의 자질에 대해 설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교사의 자질

Ⅰ. 교사의 열린 마음

Ⅱ. 교사의 사랑

Ⅲ. 교사의 헌신과 사명감

*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한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차원들은 '교육하는 교사' , 즉 자
신의 일이 전체 삶과 연결되는 교사와 '가르치는 교사' , 다시 말하면 가르치는
것이 천직이라기보다는 직업으로 생각하는 교사를 구별한다. '교육하는 교사'
에게 학생에 대한 사랑, 감정적 개입, 보호하기, 비판적 사고는 가르침의 필수
적인 보완 요소들이다. 교직에 대한 사명감이 있는 교사는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가르치는 것을 통해 내적 감사가 충만해지고 삶의 목
적을 찾게 된다.
David Hansen은 교실에서 가르치는 일을 '학생의 정신과 영혼을 연마하는'
것과 관련지으며 소명과 도덕적 개인적 헌신으로 인식한다(Day, C.,박은혜 외
역, 2007). 가르치는 것은 인간으로서 쇠퇴보다 진보하도록 하고, 외모나 능력
안에 갇히지 않고 성장하도록 하는 태도, 성향, 이해 등을 격려하거나 지원하는
계속적인 활동이다. 다른 모든 조건이 똑같다고 할 매 소명감을 가진 사람은 직
업으로서 그것을 대하는 사람보다 훨씬 더 교사의 역할에 몰입한다. 소명감을
가진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좀 더 넓고 역동적인 지적 도덕적인 영향력을 발휘
한다. 가르침에 대한 소명은 그것을 제공하는 사람에게도 개인적인 충만함을
제공하는 공적 서비스다.
교사가 지녀야 할 자세에 관해 Comenius는 "이러한 교사들이 성공적으로 영
향을 끼치기 위해서는 자신의 직업에 대한 과제와 목표를 인식하고 있어야 하
며, 그것에 유용한 방법론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그 방법론의 풍성함을 완전히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교사가 꼭 소유해야 할 남다른 사명
감은 인간이 그동안 잃어버렸던 하나님의 형상으로 인간을 인도하는 것이며,
선을 선택하며 악을 버릴 수 있는 자유의지를 회복하는 데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진리가 무엇인지를 알아야 하며, 선을 소망해야 하고, 무가치한 것과
가치 있는 것을 구별하여 필수적인 행동을 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하였다(이
상욱, 2006).
* 참고문헌
- 김홍규, 원애경(2007). 상담심리학. 서울: 양서원
- 김범준, 구병두(2007). 교육학개론. 서울: 공동체
- 교육공학용어사전 편찬위원회(2005). 교육공학 용어사전
- 변영계 외(2007),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학지사
- 박숙희, 엄명숙(2007). 교수-학습과 교육공학. 서울: 학지사
- 권성호(1998). 교육공학의 탐구. 서울: 양서원

키워드

교사의 자질,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6.22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58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