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우리나라 통합 정부업무 평가제도의 성과
Ⅰ. 제도적 측면의 성과
Ⅱ. 자체평가적 측면의 성과
Ⅲ. 통합 성과관리적 측면의 성과
Ⅳ. 평가조직 재설계적 측면의 성과
* 참고문헌
Ⅰ. 제도적 측면의 성과
Ⅱ. 자체평가적 측면의 성과
Ⅲ. 통합 성과관리적 측면의 성과
Ⅳ. 평가조직 재설계적 측면의 성과
*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대했
다. 즉, 정부업무 평가를 총괄하는 평가기관인 정부업무평가위원회는 국무
총리와 민간 전문가의 공동위원장에 의해 총괄하도록 하며, 위원으로 정부
위원(국무총리실장, 기획재정부 장관, 행정안전부 장관) 외에 각계의 전문
적인 역량을 가진 민간위원 다수로 구성함으로써 평가의 전문성 및 공정성,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이 위원회는 정부업무 평가의 기획 및 조정, 총
괄에 대한 사항 등을 심의 의결하는 것을 주요 임무로 한다.
한편, 각 부처가 운영하는 자체평가위원회를 대폭적으로 개편해 평가 및
정책 분야별 민간 전문가의 활용을 확대하고, 행정 서비스 수요자의 참여
를 보장하며, 자체평가위원에 대한 실질적인 보상책을 강구하는 등의 조치
를 통해 자체평가의 전문성 및 객관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
* 참고문헌
- 노화준(2006). 정책분석론. 서울: 법문사
- 공병천(2005). 평가와 감사의 연계 방안. 한국행정연구원
- 김명수(2003). 공공정책평가론. 서울: 박영사
- 김명수, 박준(1995). 공공감사론. 서울: 대영문화사
- 안해균(1986). 정책학원론. 서울: 학산출판사
- 정정길(2004). 정책평가: 이론과 적용. 서울: 법영사
다. 즉, 정부업무 평가를 총괄하는 평가기관인 정부업무평가위원회는 국무
총리와 민간 전문가의 공동위원장에 의해 총괄하도록 하며, 위원으로 정부
위원(국무총리실장, 기획재정부 장관, 행정안전부 장관) 외에 각계의 전문
적인 역량을 가진 민간위원 다수로 구성함으로써 평가의 전문성 및 공정성,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이 위원회는 정부업무 평가의 기획 및 조정, 총
괄에 대한 사항 등을 심의 의결하는 것을 주요 임무로 한다.
한편, 각 부처가 운영하는 자체평가위원회를 대폭적으로 개편해 평가 및
정책 분야별 민간 전문가의 활용을 확대하고, 행정 서비스 수요자의 참여
를 보장하며, 자체평가위원에 대한 실질적인 보상책을 강구하는 등의 조치
를 통해 자체평가의 전문성 및 객관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
* 참고문헌
- 노화준(2006). 정책분석론. 서울: 법문사
- 공병천(2005). 평가와 감사의 연계 방안. 한국행정연구원
- 김명수(2003). 공공정책평가론. 서울: 박영사
- 김명수, 박준(1995). 공공감사론. 서울: 대영문화사
- 안해균(1986). 정책학원론. 서울: 학산출판사
- 정정길(2004). 정책평가: 이론과 적용. 서울: 법영사
추천자료
[경영학개론요약, 경영학개론] 경영학개론 핵심정리 서브노트 - 개념정의, 1~15장 요약
사회복지 실천기술론 정신역동모델, 심리사회모델, 인지행동모델의 개념정의
사회복지 실천기술론 정신역동모델, 심리사회모델, 인지행동모델의 개념정의
척추질환치료법(카이로프랙틱, 추나, 전신조정술)의 개념정의와 비교
공공정책(Public Policy) - 공공정책의 개념정의, 공공정책의 기능 및 성격, 공공정책 형성과정
행정관리 (行政管理) - 행정관리의 의의(개념정의), 행정관리의 필요성과 방향, 행정관리 문제점
[행정윤리 行政倫理] 행정윤리의 경향, 행정윤리의 본질(개념정의), 행정책임론, 공직자윤리(...
[경찰조직의 민원 (Civil Application Administration)] 경찰민원의 개념정의, 경찰민원행정...
기대수준(포부수준) - 기대수준 의미(개념정의), 기대수준의 형성
[지방재정의 이론적 기초] 지방재정의 의의(개념정의), 목적, 특징(특성), 기능, 국가재정과 ...
[지방자치단체의 수입] 지방재원의 의의(개념정의), 재원의 종류(자치단체의 자체재원 및 의...
[지방자치단체의 계층구조] 지방자치단체 계층구조의 의의(개념정의), 특징(장단점), 한국(우...
[비동거형 가정] 비동거형 가정의 의의(개념정의)와 유형(종류), 비동거가정의 자녀양육문제,...
[외현기억과 암묵기억] 외현기억과 암무기억의 개념정의, 외현기억-암묵기억의 지지증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