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교육방법) 평화실천학습 및 평화구축 시민성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평화교육방법

Ⅰ. 평화실천학습

가. 평화실천학습의 틀
나. 역사 역할 놀이
다. 시민학습

Ⅱ. 평화구축 시민성교육

가. 평화유지
나. 평화중재
다. 평화구축

*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문제점을 지닌
다. 평화유지 전략에는 학급의 평화유지를 위한 앤젤(Angell, 2004)
의 학급회의 사례가 있다.
나. 평화중재
평화중재(Peacemaking) 전략은 대화를 통한 분쟁 해결과 자치
(self-governance)를 강조하는 캘거리(Calgary)와 벤쿠버(Vancouver)
에서 채택하고 있다. 이들은 법의 지배, 학생 자치회에서의 토론, 대
화와 협상 같은 민주적 절차를 통한 분쟁 조정이 가능하다는 입장이
다. 그러나 동료들 사이의 권력 관계를 그대로 인정하여 소외감, 괴롭
힘, 왕따 등의 분재에는 소극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이러한 평화중
재 전략은 학교에서의 중재자 활동을 활용하여 일상적인 분쟁들을
해결해 낼 수 있다는 스탑스키와 리(Stopsky & Lee, 1994)의 사례 소
개가 있다.
다. 평화구축
평화구축(peacebuilding)전략은 동등하면서 건전한 관계를 회복
하는데 역점을 둔다. 즉 위니펙(Winnipeg)과 할리팩스(Halifax)교육
구는 포괄적인 평화구축을 위한 사회적 기반의 달성을 위해 단순한
분쟁 조정이나 처벌보다는 근본적인 인간관계의 건전성을 강조한다.
적극적인 평화교육과정을 운영하여 편견 인식, 양성 평등, 반인종주
의, 대량학살 교육을 실시하며, 인간의 존엄성 보장을 위한 구조적인
기제 형성을 추구하는 관점이다. 평화구축 전략은 구체적 실현 기간
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과 평가가 어렵다는 문제를 지닌다. 평화구축
전략을 사용한 사례로는 커크우드-터커(Kirkwood-Tucker, 2004)의
모의유엔총회 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결국, 평화유지는 가장 소극적인 전략으로써 규제와 처벌을 구
사하여 분쟁을 해결하고 평화를 지향하는 방법이며, 평화중재는 평
화유지 전략을 포함하면서 대화와 민주적 절차를 통한 분쟁 예방과
해결을 강조하는 방법이고, 평화구축은 평화유지와 평화중재 전략을
포괄하는 방법으로 잠재적이고 구조적인 사회적 분쟁까지 해결해 내
려는 전략으로 볼 수 있다.
* 참고문헌
- 이동신, 박기순(1996). 정치커뮤니케이션원론. 서울: 법문사
- 최정호 외(1995). 정보화사회와 우리. 서울. 소화
- 이수윤(1995). 정치철학. 서울: 법문사
- 김병렬 외(1985). 사회과교육. 서울: 한국방송통신대
- 김대환 외(1997). 참여민주주의와 한국사회. 서울: 창작과 비평사
- 전득주 외(1992). 현대민주시민교육론. 서울: 평민사

키워드

평화교육방법,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6.22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59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